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노인의 저작기능 감소와 인지기능 저하의 발생위험 : Incidence of chewing status and cognitive impairment in Korean elderly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Authors
- Advisor
- 한동헌
- Issue Date
- 2021-02
- Publisher
- 서울대학교 대학원
- Keywords
- 저작기능 ; 인지기능저하 ; 경도인지장애 ; 치매 ; 고령화패널 ; Cognitive impairment ; Mastication ; Korean
- Description
- 학위논문 (박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치의학대학원 치의과학과, 2021. 2. 한동헌.
- Abstract
- 이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한국 장노년층에서 저작기능 감소가 인지기능 저하의 위험요인이 될 수 있을지 탐색하기 위한 연구이다. 본 논문은 한국 고령화 패널의 장기추적 연구 중 가장 최근 자료인 2018년까지 총 12년의 종단면조사 자료를 이용하였다. 2006년 1차 조사를 시작으로 매 2년마다 동일 대상자를 추적하여 조사했으며, 분석에 포함된 대상자는 각각 2006년 10,041명, 2008년 8,282명, 2010년 7,309명, 2012년 6,883명, 2014년 6,658명, 2016년 6,277명, 2018년 5,793명이었다.
연구 대상자의 인지기능과 저작 능력은 자기보고식으로 측정하였고, 인지기능 저하 상태에 따른 인구사회학적인 요인, 건강 요인, 건강 행동 요인의 차이는 독립표본 t검정과 카이제곱검정을 이용하였다. 또 저작능력과 인지기능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복합표본 분석의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을 이용하였고, 저작 불편 기간을 고려하여 구성한 그룹에서 인지기능 저하 발생률은 일반화 추정 방정식(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표본집단에서 한국인의 저작력 저하는 인지기능 저하의 유병률 및 발생률에 영향을 주었다. 이미 인지기능이 저하된 자를 제외한 대상자를 추적한 이후 각 2차, 3차, 4차, 5차, 6차, 7차 조사에서 모두 저작능력이 나쁘다고 호소한 사람은 저작능력이 양호한 사람보다 인지기능 저하의 유병률이 각각 1.42 배(95% CI=1.12-1.67), 2.02( 배95% CI=1.66-2.45), 2.22 배(95% CI=1.84-2.68), 2.95 배(95% CI=2.41-3.62), 3.60 배(95% CI=2.85-4.55), 2.87 배(95% CI=2.22-2.71), 2.48 배(95% CI=1.91-3.21) 높았다.
그리고 저작불편 기간이 오래 지속될수록[1.54(95% CI=1.29-1.82), 2.18(95% CI=1.86-3.55)], 불편한 저작능력이 회복되지 않을수록 인지기능 저하가 더 많이 발생했다[2.22(95% CI=1.1.88-2.63), 1.81(95% CI=1.50-2.18)].
즉 한국인에게는 저작 불편이 인지기능 저하의 주요한 위험요인일 가능성이 있으며, 저작능력 저하를 방치하면 인지기능 저하가 빠르게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치과의사와 치과위생사를 포함한 보건의료인은 저작기능을 확인하고 저작능력 저하가 발견되면 저작능력을 회복시켜 구강건강의 증진과 함께 인지기능 저하를 늦추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1. Background
This study sough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educed chewing ability on the incidence of cognitive impairment using national representative data from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KLoSA). While the first wave of the KLoSA began in 2006, the study remains ongoing, and the same patients are followed up every 2 years. In the present study, the total duration of follow-up was 12 years. Among the 10,041 people were selected for secondary follow-up. In subsequent years, the numbers of people followed up were 8,282, 7,309, 6,883, 6,658, 6,277 and 5,793 respectively.
2. Methods
Chewing ability and scores on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were recorded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s. Risk factors for dementia taken from systematic literature reviews were used as covariates. We performed logistic regression and created general estimating equation models after controlling for all covariates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mastication and cognitive decline.
3. Results
In Koreans, a decrease in chewing ability affects the prevalence and incidence of cognitive function. After controlling for risk factors related to mastication and cognitive function, those who chewed worse than the normal chewing group had Odds ratios of about 1.42-3.60 times cognitive decline. ORs for each wave were as follows: [1.42(95% CI=1.12-1.67), 2.02(95% CI=1.66-2.45), 2.22(95% CI=1.84-2.68), 2.95(95% CI=1.84-2.68), 2.95(95% CI=2.41-3.62), 3.60(95% CI=2.85-4.55), 2.87(95% CI=2.22-2.71), 2.48(95% CI=1.91-3.21). In addition, The longer the period of chewing discomfort, the greater the incidence of cognitive decline[1.54(95% CI=1.29-1.82), 2.18(95% CI=1.86-3.55). In particular in the group whose chewing ability was bad in the first half and then recovered, it was found to have a low influence on cognitive decline. Therefore, it might be confirmed that the reduction of the chewing function contribute to the deterioration of the cognitive impairment. This group was vulnerable group that must be given more attention for prevention program.
- Language
- kor
- Files in This Item:
Item View & Download Count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