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인지감각차원(PSDs) 및 회복환경지각척도(RPRS)를 활용한 도시숲의 회복환경 특성 연구 :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Forests as Restorative Environments with the Use of PSDs(Perceived Sensory Dimensions) and RPRS(Revised Perceived Restorativeness Scale)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장윤선

Advisor
손용훈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건강관련 삶의 질녹지생활권심리적 회복감주의회복이론(ART)회복경험Attention Restoration Theory(ART)Green spaceHRQoL(Health-related Quality of Life)Neighborhood forestPerceived restoration experiencePsychological restorativeness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환경대학원 협동과정 조경학, 2021. 2. 손용훈.
Abstract
The importance of urban forests, which can improve physical and mental health in daily life, is emphasized by the prolonged global trend of COVID-19. Forest spatial planning"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to plan urban forests as a restorative environment that can increase the value of health benefits and maximize restorative effects, but less is known about which qualities of the forest environments promote health in Korea.
On the other hand, PSDs(Perceived Sensory Dimensions) are discussed and utilized as frameworks for designing urban forest as restorative environments overseas. PSDs are the main characteristics recognized as restorative environments in urban forests. Since forests using PSDs can induce various recreational activities, positively affect the quality of recreation, human well-being, and also affect the recognition and visit rate of urban forests, many countries have used PSDs to verify their feasibility and design the forest by applying PSDs.
This study explored the applicability of PSDs in Korea and aimed to present a restorative environment design model that maximizes psychological restorativeness by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forests as restorative environment from a macro perspective and understanding the restorative experience process with PSDs from a microscopic perspective.
To this end,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and adaptation process of PSDs, three urban forests in Korea (Namsan Park, Dream Forest, and Yangjae Citizens' Park) were surveyed (PSDs, RO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forests as restorative environments from a macro perspective. Dream forest, which encompasses various elements of PSDs, was designated as the site for micro-analysis, and eight sites of Dream Forest were selected and spatial components of each site were derived. In addition, surveys (PSDs, RPRS)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PSDs recognition and restorative experience of users and interviewed to understand the subjective meaning of restorative experience with IPA(Interpretative Phenomenological Analysis). Finally, a restorative environment design model was derived by linking empirical analysis results with spatial components of each site.
An analysis of the restorative environment characteristics of urban forests from a macro perspective showed, first, that PSDs perceptions differed depending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Gender, age, residence and occupation all differed in the perception of PSDs, and in the case of residence, the overall perception of PSDs was relatively high, except for the 'Space' dimension. In other words, whether or not people live in a neighborhood contributes significantly to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PSDs, indicating that "forest accessibility" is an important factor in designing a restorative environment. Second, PSDs perception has been shown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ype of urban forest. In the case of Namsan Park, which is a Forest type, recognition of "Refuge," "Rich in species " and "Serene" was high, while the Dream Forest which correspond to Semi-forest type, were highly recognized for "Culture" and "Prospect." On the other hand, Yangjae Citizens park, corresponding to the Urban type was analyzed relatively low in overall PSDs perception.
An analysis of PSDs influencing the restorative experience showed that the restorative effects of urban forests were maximized when combined in the order of Refuge(β=0.267, p<0.001), Serene(β=0.180, p<0.010), and Nature(β=0.153, p<0.020)', and the restorative effects were maximized when combined in the order of Nature(β=0.342, p<0.05)' and 'Serene(β=0.245, p<0.05)' in Dream Forest. In other words, it has been confirmed that people ultimately want to encounter nature at the most fundamental(basic) level.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erceived restorativeness, the visitors of Dream Forest generally perceived the restorative environment in the order of Coherence(5.07), Compatibility(4.70), Fascination(4.63) and Being away(3.96). This is attribu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forests that are physically close to their residence, easy to perform desired activities and richly organized with natural & landscaping elements for the user's activities.
By aggregating the above results, it presents a restorative environment design model by classifying PSDs into five types (Serene, Open nature, Independent territoriality, Historical culture and Ecological landscape) as a result of this study. "Serene" and "Open nature" were classified as the main components, while "Independent territoriality," "Historical culture" and "Ecological landscape" were divided into minor components. In other words, "Serene" and "Open nature" types are essential to plan urban forests that maximize restorative effects, and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forest or location conditions, "Independent territoriality," or "Historical culture" or "Ecological landscape" types can be added. The combination of "Serene" and "Open nature" types was analyzed to be an orderly and open environment with some artificiality in nature with natural sounds or free activities of visitors without any disturbance. In order to plan such an environment, it is important to create natural sounds by utilizing various natural elements such as wind and sunlight, and to minimize factors (such as congestion, noise, waste, etc.) or design a landscape to immerse in nature. It also requires a variety of natural factors and interesting content that can attract attention, and aims to design a natural environment with proper traces of artificiality. It should also be focused on creating open environment to allow free movement.
As this environment requires a large area (Berggren-Barring and Grahn, 1995), it is important to devote more than a certain amount of space to the green area when planning forests in the development and enrichment of the city.
In the policy paradigm shift in urban forests, urban forest planning is needed to maximize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users instead of focusing on quantitative growth. It is especially important to make them easily accessible in the living area. If the main and minor components of the model are flexibly utilized in urban forest planning, they can be widely used in various types of urban forests. This study is the first empirical study to apply PSDs to domestic urban forests in the absence of empirical research and examples in Korea, and it is meaningful that it provided implications for planning an urban forest as a restorative environment.
From an academic point of view, it is differentiated from prior research which mainly focused on field surveys. This study combine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pproaches such as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 surveys. From a social perspective, it is meaningful that the design implications of urban forest restorative environment has been proposed to improve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id the social trend that has recentl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urban forests with COVID-19.
However, the concept of PSDs is still in its early stages and there is a limit to the fact that this study only deals with certain sites, so verification needs to be done by conducting various empirical analyses in the future. As a result, if the concept of PSDs is more organized, it is expected that Korean PSDs will be able to be upgraded to meet the domestic situation and will be used in practice in the field.
정신적 질병이 세계적으로 큰 질병 부담의 원인이 되고, 코로나-19의 세계적 유행이 장기화되면서 도심 거주지 가까이 일상에서 육체적, 정신적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도시숲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도시숲을 건강효용가치를 높이고 회복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공간으로 조성하기 위해서는 숲 공간계획이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지만,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회복환경 관점의 공간 구성요소와 조성기준이 부재하다.
한편, 국외에서 도시숲의 회복환경 조성 프레임워크로 인지감각차원(PSDs, Perceived Sensory Dimensions)이 논의 및 활용되고 있으며 PSDs를 도시숲에서 회복환경으로서 인지되는 공간적 특징으로 보고 있다. PSDs를 활용한 공간은 다양한 휴양활동을 유도할 수 있고 휴양의 질과 인간의 웰빙에 긍정적 영향을 주며 도시숲의 인지도 및 방문율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에 많은 연구들이 국외에서 진행되면서 타당성이 검증되고 PSDs를 적용하여 공간을 조성한 사례들이 있을만큼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PSDs의 국내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고 거시적 관점에서 도시숲의 전반적인 회복환경 특성을 파악하고 미시적 관점에서 PSDs를 통한 회복경험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분석함으로써 이용객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 극대화할 수 있는 도시숲 회복환경 조성모델 제시를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해 PSDs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번안 과정을 거쳐 국내 도시숲 세 곳(남산도시자연공원, 북서울꿈의숲, 양재시민의숲)을 대상으로 설문조사(PSDs, ROS)를 실시함으로써 거시적 관점에서 도시숲의 전반적인 회복환경 특성을 파악하였다. 이 중에서 PSDs의 다양한 요소를 포괄하는 북서울꿈의숲을 미시적 분석의 대상지로 설정하여 현장조사, 전문가 체크리스트 조사, 공간의 물리적 분석을 수행하여 북서울꿈의숲 내 PSDs 요소를 각각 대표하는 8곳을 선정하고 각 공간의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또한 이용객의 PSDs인식과 회복경험을 파악하기 위해 설문조사(PSDs, RPRS)를 실시하였으며 회복경험의 주관적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인터뷰 조사(해석현상학적 분석)를 하였다. 끝으로 실증적 분석결과와 공간구성요소를 연계함으로써 회복환경 조성모델을 도출하였다.
도시숲의 전반적인 회복환경 특성 분석 결과,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PSDs 인식은 다르게 나타났다. 성별, 연령, 거주지, 직업은 모든 장소에서 부분적으로 PSDs 인식에 차이가 있었고 거주지의 경우 개방성 항목을 제외하고 PSDs에 대한 전반의 인식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생활권 거주 여부가 PSDs에 대한 인식 차이에 중요하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나 회복환경 조성에 있어서 숲 접근성이 중요한 요소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도시숲의 유형에 따라 PSDs 인식은 다르게 나타났다. 산림형에 해당하는 남산도시자연공원의 경우, 고요함(6.14), 독립성(5.98), 종 다양성(5.68)에 대한 인지가 높았으며 준산림형에 해당하는 북서울꿈의숲은 조망성(5.99), 문화성(5.78) 에 대한 인지가 높게 나타났다. 반면, 도심형에 해당하는 양재시민의숲은 전반적인 PSDs 인식이 상대적으로 낮게 분석되었다.
회복경험에 영향을 주는 PSDs 요인을 분석한 결과, 대상지 세 곳은 전반적으로 독립성(β=0.267, p<0.001), 고요함(β=0.180, p<0.010), 자연성(β=0.153, p<0.020) 순으로 결합될 때 회복효과가 극대화되었으며 실증 사례인 북서울꿈의숲에서는 자연성(β=0.342, p<0.05), 고요함(β=0.245, p<0.05) 순으로 결합되었을 때 최적의 회복환경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도시민들은 궁극적으로 가장 원초적인(기본적)인 레벨에서 자연을 접하고 싶어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회복환경지각 관점에서 살펴본 결과, 북서울꿈의숲 이용객들은 대체로 짜임새(5.07), 적합성(4.70), 매혹감(4.63), 벗어남(3.96) 순으로 회복환경을 지각하였다. 이는 거주지로부터 물리적으로 가까이 위치하여 원하는 활동을 하기 수월하고 이용객의 활동에 맞게 자연적, 조경적 요소가 풍부하게 잘 짜여져있는 도시숲만의 특성에서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위의 결과를 종합하여 회복환경 영향인자를 중심으로 PSDs를 유형화한 결과, 5가지 유형(고요함, 개방적 자연성, 독립적 영역성, 역사문화성, 생태경관성)으로 구분되었고 이를 근거로 도시숲의 회복환경 조성모델을 제시하였다. 또한 중요도에 따라 고요함과 개방적 자연성을 주 구성인자로, 독립적 영역성, 역사문화성, 생태경관성을 부 구성인자로 구분하였다. 즉 회복효과가 극대화되는 도시숲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고요함과 개방적 자연성 유형이 필수적으로 필요하며 숲의 특성이나 입지적 여건 등에 따라 독립적 영역성 혹은 역사문화성, 생태경관성 유형이 부가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고요함과 개방적 자연성 유형이 결합된 형태는 자연에 약간의 인위성이 가미되어 질서정연하고 개방적인 환경이며 자연의 소리가 들리거나 이용객의 자유로운 활동에 방해요소가 없고 자연에 몰입할 수 있는 환경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환경이 조성되기 위해서는 완벽하게 고요한 환경을 만들기보다 바람, 햇빛 등 다양한 자연요소를 활용하여 자연의 소리를 연출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용객의 주체적 활동에 방해가 되는 요소(혼잡, 소음, 쓰레기 등)를 최소화하거나 자연경관 조망환경 등을 조성하여 자연에 몰입하도록 유도해야한다. 또한 시선을 끌 수 있는 다양한 자연요소와 흥미로운 콘텐츠가 요구되며 인위적이지 않은 환경 조성을 목표로 하되 적절한 조경적 요소의 결합이 필요하며 자유로운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개방적으로 조성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어야한다. 이러한 환경은 물리적으로 넓은 규모가 요구되므로 (Berggren-Bärring & Grahn, 1995) 점점 도시가 개발되고 고밀화되는 과정에서 녹지에 일정 규모 이상을 확보하거나 숲 조성 시 좀 더 물리적 규모에 비중있게 할애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회복환경 중심의 도시숲으로 정책 패러다임이 변화하는 흐름속에 양적 증대에 치중하기보다는 이용객의 건강 관련 삶의 질을 극대화하는 효율적인 도시숲 계획이 필요하며 특히 생활권에서 쉽게 이용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도시숲 계획에 있어 도출된 모델의 주 구성인자와 부 구성인자를 유연하게 활용한다면 도시숲의 여러 유형에 폭넓게 확대되어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본 연구는 국내 도시숲의 회복환경계획에 대한 실증적 연구와 사례들이 많이 부족한 상황에서 PSDs를 최초로 국내 현장에 적용해본 실증적 연구이며 도시숲 회복환경 조성에 계획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데 의미가 있다. 학술적 관점에서는 주로 현장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던 기존의 PSDs 선행연구에서 나아가 설문조사, 심층 인터뷰 조사 등 양적, 질적 접근법을 병행했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 차별성을 지닌다. 사회적 관점에서는 최근 코로나-19로 도시숲의 중요성이 다시 한번 강조된 사회적 흐름 속에 건강관련 삶의 질을 증진시키기 위한 도시숲 회복환경 계획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
다만, PSDs 개념이 아직까지는 초기 단계이고 본 연구에서는 특정 대상지만을 다루었다는 한계가 있어 향후 다양한 실증적 분석이 수행됨으로써 계획요소에 대한 검증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로써 PSDs에 대한 개념이 보다 체계화된다면, 국내 실정에 맞게 한국형 PSDs를 고도화할 수 있을 것이며 현장에서 실무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6259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546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