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현대 도시에서 기억 경관의 형성 과정과 표현 특성 : The Landscape of Memory in Contemporary Cities: Its Formation and Characteristic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손은신

Advisor
배정한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기억 경관장소 기억공적 기억회상포스트 인더스트리얼 공원메모리얼 공원근대 역사 경관기억의 선별과 표현Landscape of MemoryPlace MemoryPublic MemoryRememberingPost-industrial ParkMemorial ParkModern Historic LandscapeSelection and Expression of Memories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환경대학원 협동과정 조경학, 2021. 2. 배정한.
Abstract
본 연구는 현대 도시의 장소와 경관을 만드는 중요한 전략으로서 기억에 주목한다. 오늘날 장소 기억은 새로운 도시 경관을 만드는 재료이자 전략으로 제시되고 있다. 폐쇄된 탈산업 시설과 노후한 인프라스트럭처를 재활용하는 포스트 인더스트리얼 공원, 과거의 사건을 특정 장소에 남겨 기억하고 추모하는 메모리얼 공원, 근현대 역사적 흔적을 보존하여 활용하는 근대 역사 경관 등이 장소 기억을 활용한 대표적 도시 경관의 유형이다. 한편 오래되고 낙후된 도시 활성화를 위해 기존 건물 및 시설을 재활용하는 도시재생 정책은 남겨진 기억의 흔적을 활용하면서 도시 공간을 재편하는 도시계획 방식으로 부상해왔다.
이처럼 장소 기억을 활용하여 조성된 도시 경관을 본 연구에서는 기억 경관(landscape of memory)이라 지칭한다. 이때 기억이란 역사의 흔적 및 과거의 사건이 현재화되는 과정에서 의미를 부여받은 대상이자 장소에 남겨져 있는 흔적으로서 장소 기억(place memory)이며, 경관에서 표출되어 회상의 방식을 통해 경험할 수 있는 대상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기억 경관이 언제, 어떻게 출현하였는가를 고찰하고, 오늘날 실제 기억 경관 조성 시 대상지에서 기억이라는 요소가 어떻게 다루어지며 표현되는가를 탐구하는 것이다.
기억 경관은 언제, 어떻게 출현하였는가? 본 연구에서는 20세기 후반의 시대적 상황에 주목한다. 이 시기는 기억에 대한 주목과 변화가 일어났으며 이와 동시에 기억 경관이 출현한 시기이기도 하다. 기억의 붐(memory boom) 시기로도 불리는 1980년대를 전후로 기억이라는 주제에 대한 관심이 폭발적으로 증가하였고 여러 학문 분과 내에서 기억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었으며, 기억 담론이 사회적으로 부상하였다. 또한 기억의 방식으로서 암기가 쇠퇴하고 회상이 부상하였는데, 오늘날 도시 경관에서 기억을 떠올리고 경험하는 방식은 바로 이 회상의 방식으로 나타난다. 방문자들은 남겨진 흔적을 매개로 기억을 떠올리며 상상을 통해 이를 재구성함으로써 기억을 현재화하고 공간에서 경험한다.
이러한 기억 담론의 전환이 물리적 도시 경관에 반영되면서 기억 경관이 출현하였다. 본 연구는 20세기 후반 등장한 기억 경관의 유형을 크게 세 가지로 정리한다. 첫 번째는 탈산업 시설 및 인프라스트럭처를 공원 및 공공 공간으로 재활용한 포스트 인더스트리얼 공원(post-industrial park)이다. 포스트 인더스트리얼 공원의 등장은 1960년대 이후 유럽과 북미 지역을 중심으로 시작된 탈산업화와, 산업 도시의 쇠퇴로 인해 촉발된 도시재생 담론을 배경으로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시 경관의 새로운 구성 요소로 주목받게 된 산업 기억은 경관에서 미적 대상으로서 인식되었다. 경관에서 산업 기억은 주로 산업 폐허 재활용 및 산업 자연 조성의 방식으로 표현되었다.
두 번째 유형으로 메모리얼 공원(memorial park)을 들 수 있다. 메모리얼 공원의 등장은 기억의 방식이 기념에서 추모로 변화한 것과 관련이 깊다. 기억 방식의 변화로 인해 조각상과 기념비가 아닌 추모 공간이 조성되기 시작했고, 공적 추모(public commemoration)가 확산되면서 이를 위한 공간을 필요로 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도시 구조적 차원에서도 시체가 직접 매장되는 도시 외곽의 공원묘지와 달리 메모리얼 공원은 기억의 회상과 추모 행위를 수행하는 도시 내부의 공공 공간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또한 조각상과 기념물 중심으로 조성되던 기념비가 점차 경험 공간 중심의 메모리얼 공원으로 변화하는 양상이 일어났다.
세 번째 유형은 근대 역사 경관(modern historic landscape)이다. 근대 역사 경관은 상대적으로 보존 가치가 낮은 것으로 인식되던 근현대 시기 역사의 지위가 향상되고, 전쟁․식민지․테러 등 윤리적 문제를 야기하는 불편한 역사에 대한 인식 전환이 일어나면서 등장하였다. 근대 역사 경관이 단일 건축물의 범주를 넘어 경관으로 조성될 수 있었던 과도기적 경관 사례로 먼저 1970-80년대 등장한 에코뮤지엄을 들 수 있다. 에코뮤지엄은 19세기에 등장한 박물관이 경관 단위로 확장된 현장 야외박물관이다. 이후 근대 역사 경관 형성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진 것은 근현대 역사가 도시재생의 새로운 콘텐츠로 인식된 이후로 볼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역사․문화적 도시재생의 자원으로서 근현대 시기의 역사 및 기억이 적극적으로 활용되는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각 경관 유형의 범위가 확장되고 세 경관의 유형이 서로 혼성되면서 기억을 활용하여 조성된 경관의 유형과 범주가 점차 넓어지고 있기도 하다.
그렇다면 구체적으로 어떤 기억들이 중요하며, 이는 경관에서 어떤 방식으로 표현되고 있는가? 즉, 경관을 구성하는 주요 기억의 요소는 무엇이며, 이 기억은 왜 그러한 방식으로 표현되었는가? 본 연구는 경관에서 기억의 표현 양상을 실제적이고 심층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사례 연구를 수행하여, 경관 형성 과정 및 기억 표현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먼저 기억 경관 조성 단계를 크게 기억 선별과 표현의 두 단계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단계를 거쳐 부지의 여러 장소 기억 중에서 중요한 의미를 부여받은 기억이 선별되며, 이 기억은 특정 방식으로 경관에서 표현된다. 연구의 사례 대상지로는 서서울 호수공원, 서소문 역사공원, 남산공원 회현지구를 선정하였는데, 현장 답사 및 자료 수집이 용이한 국내 사례이자 앞서 다룬 기억 경관의 세 유형을 포괄하는 사례이며, 또한 경관에서 기억 활용 시 나타나는 문제점을 짚어볼 수 있는 사례로 선정하였다.
사례 대상지의 기억 활용 방식은 크게 세 가지로 나타난다. 가장 주요한 방식은 기억의 흔적 활용으로, 부지에 남겨져 있던 물리적 장소 기억의 흔적이 활용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반대로 부지에 남겨져 있던 흔적임에도 조성 과정에서 제거된 흔적들도 있다. 이처럼 삭제된 흔적과 원인을 분석함으로써, 역으로 남겨진 장소 기억이 현재 우리에게 어떤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가를 살펴볼 수 있다. 한편 부지에 남아 있지 않거나 존재하지 않는 기억이 복원되기도 한다. 이는 물리적으로 복원된 기억의 터라 할 수 있는데, 기억 복원 과정에서는 복원되지 않는 다른 기억이나 사라질 가능성이 높은 현재의 흔적을 어떻게 다룰 것인가가 중요한 문제로 떠오른다.
이러한 기억 활용 방식의 목적은 경관에서 기억을 주제화하고 개념화하여 표현하기 위한 것이다. 장소 기억을 특정 주제와 개념으로 묶어내고 표현함으로써 해당 장소를 다른 장소와 구분하는 특정한 장소정체성과 장소감이 형성된다. 장소 기억을 기반으로 만들어지는 장소정체성은 장소를 매력적이고 특별하게 만드는 요인이 된다. 이로 인해 방문자들은 독특한 장소감을 경험할 수 있게 되는데, 특히 장소와 경관이라는 매체를 통해 기억을 회상하면서 독특하고 매력적인 미적 경험이 가능해진다.
이처럼 중요한 기억을 선별하고 특정 주제 및 개념에 따라 기억이 표현되며, 이러한 장소를 가치 있게 인식하고 경험하는 것이 가능한 것은, 이러한 기억 경관이 공공의 기억을 기반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공적 기억(public memory)의 개념을 토대로 설명한다. 공적 기억이란 특정 집단 내에서 공유되고 통용되는 기억을 말한다. 이는 유사한 배경 지식과 경험을 가진 동일 기억 집단으로서 대중이 경관에서 물리적으로 표출되는 특정 기억의 의미와 역할을 유사하게 인식하는 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 또한 공적 기억은 기억 경관 조성 시 기억 집단 간 충돌이 발생하는 문제를 설명하기에 적절하다. 기억이 공론화되는 과정에서는 집단 간 충돌이 발생할 수 있는데, 도시 공공 공간으로서 기억 경관은 이러한 충돌을 수용한 결과물로 표현된다. 즉, 기억 경관은 공적 기억이 표출된 결과물이자, 오늘날 동일한 기억 맥락과 배경을 가진 대중에게 공적 기억의 이미지로 인식된다.
본 연구는 추상적 개념으로서 기억 및 기억 행위가 물리적 경관 조성에 영향을 미치는 지점을 고찰하면서, 특히 기억에 대한 주목과 변화가 일어난 20세기 후반의 변화로 인해 같은 시기 기억 경관이 형성되었음을 탐구하였다. 이는 추후 기억 경관 조성 시 재료이자 구성 요소가 되는 장소 기억을 어떻게 인식하고 선별해야 하며 물리적으로 이를 어떻게 표현할 것인지 고안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또한 공적 기억의 개념을 적용하여 살펴보면, 기억 경관이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특정 장소 기억의 중요성을 설정하고 기억의 현재적 의미를 정립하는 부분이 중요하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다. 만약 어떤 기억의 중요성이나 의미가 공적 차원에서 충분한 당위성을 획득하기 어려울 경우, 경관 형성 과정에서 여러 충돌과 논란이 벌어질 수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 이 충돌의 과정은 경관에서 공적 기억의 형성 과정으로도 이해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경관은 기억 충돌과 논쟁의 결과물로서 종합적으로 형성된 공적 기억이 표출되는 이미지이기 때문이다.
오늘날 기억에 대한 관심은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땅의 흔적을 간직한 기억의 장소 또한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앞으로 기억 경관은 계속해서 도시 공간에 조성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기억 경관에서, 기억은 경관을 구성하는 주요 요소이며 경관을 특별하고 유의미한 경험의 대상으로 만들어주는 요소다. 물리적인 도시 경관을 조성하는 비물리적 구성 요소로서 기억에 대한 고찰와 탐구를 통해, 본 연구는 보다 진정성 있고 다채로우며 지속 가능한 현대 도시의 기억 경관 조성에 기여하고자 했다.

Memory is a strategy which has constructed places and landscapes in contemporary cities. Today, the place memory is presented as a source and strategy for creating a new urban landscape. This dissertation explores three major types of urban landscapes utilizing particular place memories. First, the post-industrial park, recycling closed post-industrial facilities and aging infrastructure. Second, the memorial park, where memories are left in a specific place to be remembered and commemorated. Lastly, modern historic landscape, which preserves and utilizes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ical traces. Meanwhile, the urban regeneration policy that recycle existing buildings and facilities, to revitalize old and outdated cities, has emerged as a key urban planning program that often reorganizes existing urban spaces while utilizing traces of memories left behind.
I would refer to these urban landscapes that are created by utilizing place memory, as the landscape of memory. Here, the memory means an events of the past that is given meaning in the precess of expressing the traces of history, a place memory as a trace left in a particular place, and also an object that can be experienced through a reminiscence and be physically visualized in the landscap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examine when and how such a landscape of memory emerge, and how memories as elements that constitute a landscape is handled and expressed in actualized landscapes of memory.
When and how did the landscape of memory emerge? In this study, I weigh on the late 20th Century, especially around 1980s. This period was the time when attention and change in the discourse related to memory took place, and the landscape of memory appeared simultaneously. At this time, the interest in the subject of memory exploded around 1980s, so-called the period of the memory boom, and discussions about memory began within the various academic disciplines, and also the social discourses of memory emerged widely. In addition, memorization has declined and reminiscence has emerged, and today, this mode of remembrance has become a way of recalling and experiencing memories in urban landscapes. Many visitors recall memories through traces left behind in the place and landscape, and reorganize the landscape of memory through their imagination.
As a change in the discourses of memory was reflected in the physical urban space, the landscape of memory emerged. In this study, there are three categories in the landscape of memory that emerged in the late 20th Century. The first is a post-industrial park that recycles post-industrial facilities and infrastructure into parks and public spaces. It emerged with the de-industrialization that began in Europe and North America since 1960s, and the urban regeneration triggered by the decline of industrial cities. In this process, industrial memory become recognized as attractive and aesthetic object. Industrial memory was mainly expressed in the way of recycling industrial ruins and presenting industrial nature in the post-industrial parks.
The second category is the memorial park. Its emergence is deeply related to the change in the way of remembering, from celebrating to commemorating in memorials. A memorial space, rather than a statue or monument due to these changes, began to be created, and its demand increased due to spread in public commemoration. In the aspect of urban planning, unlike a cemetery outside the city where bodies are actually buried, memorial park has become a public space inside the city that carries out remembering and commemorating a loss. In addition, the monument that centered on sculptures or objets have gradually changed into memorial park as experiential space.
The third and final category is the modern historic landscape. It emerged when the low status of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perceived to have relatively little value for preservation, was improved, and the shift in perception of the uncomfortable and difficult history that caused ethical problems such as war, colonization, and terror took place. The eco-museum that appeared in 1970s and 1980s is a transitional example in which the modern historic landscape could be created as a landscape beyond a single building. It is an on-site and open-air museum, in which a building-centered museum, which appeared in the 19th Century, has been extended to the town and landscape. Since then, the formation of the modern historic landscape could be seen in the earnest after the modern history was recognized as a new content for appropriation in urban regeneration. In particular, the modern periods memory and history have been actively utilized as a source for historical and cultural urban regeneration. Meanwhile, in recent, the categories of landscape of memory are gradually expanding because the scope of each landscape type has been expanded and the categories of three landscapes are intermixing.
If so, what memories are specifically important, and how are they expressed in an urban landscape? In other words, what are the main memorable elements of memory that make up the landscape, and why was this memory expressed in such a way? I conduct case studies, and then attempt to analyze the formation process of landscape and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memory.
First, I divided the process of making a landscape of memory into two steps: memory selection, and memory expression. Through these steps, memories carrying important meanings are selected from various memories on the site, and these selected memories are expressed in the landscape in specific ways. For the case studies, West Seoul Lake Park, Seosomun Historic Park, and Hoehyeon district in Namsan Park were selected. They are cases in South Korea where on-site survey and data collection are readily available, and which can encompass the three categories of the landscape of memory as I discussed earlier, demonstrating the problems that arise when utilizing place memory for constructing landscape.
There are largely three ways to use memories in the said cases. The most important method is to utilize the traces of memories. That is the utilization of the traces as the physical elements of memory left on the site. However, on the contrary, there are traces removed during the formation process even though they were left on the site. The removed traces and their cause imply what is the important meanings of the memories utilized. On the other hand, in some cases, memories that do not exist or remain on the site are restored. This landscape can be said to be a site of memories where a genius loci has been physically restored. In such process of restoration, questions of how to deal with other memories that cannot be restored, or the traces that are likely to disappear, are raised as important issues.
The purpose of the utilization, removal, and restoration of memories is to thematize and conceptualize them in the landscape. By grouping and expressing place memories into specific themes and concepts, a specific identity and a sense of place that distinguish the place from other places are formed. An identity of place based on place memory becomes a factor that makes a place attractive and special. As a result, visitors can experience a unique sense in the landscape. In particular, a unique and attractive aesthetic experience is attainable while recalling memories in the place and landscape as the medium of place memory.
How does one select important memories, express them according to specific themes and concepts, and experience these places valuably? This is made possible because the landscape of memory in urban space is formed based on the public memory. What is the public memory? It is defined as the circulation of recollections among members of a given community. This term can explain the phenomenon where a public, the same memory group with common background knowledge and experience, similarly recognize the meaning and role of a specific place memory. Also, public memory is an appropriate concept to explain the problem of conflict among the contested groups around a memory. In the process of publicizing a memory, a conflict among some groups may occur. The landscape of memory, as an urban public space, is expressed as the accumulation of the responses to these conflicts. In other words, the landscape of memory is the result of public memory being expressed physically, and recognized as an image of public memory by the public with the shared social context and background.
This study examines how memory and remembering as an abstract concepts affect the formation and expression of the physical landscape. In particular, I demonstrated that the landscape of memory has emerged and formed during the same period due to the changes in the late 20th Century where attention and changes took place in the discourse of memory. This suggests that when creating a landscape of memory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how to recognize and select place memories on a site, and how to express them physically in landscape. In addition, when the concept of public memory is applied, it is possible to discover why it is principal to establish the importance of a certain place memory, and to identify the present meaning of memory in the process of making a landscape of memory. This is because, if the importance or meaning of a certain selected memory is difficult to obtain justification at the public level, various conflicts and controversies may arise during the formation process. However, in some respects, this collision becomes part of the public memory in the urban landscape. In the end, the landscape of memory can be an image that visualize the public memory, comprehensive result of conflict and debate around memory.
Today, interests in a theme of memory continues to increase, and places of memory have been also constantly emerging, so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landscape of memory will continue to be constructed in urban spaces in the future. Memory is the main component of the landscape of memory, and the element that makes the landscape special and meaningful. Through consideration and exploration of memory as a nonphysical component that constitute a physical urban landscape, I hope to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a more contextual, authentic and sustainable landscape of memory in contemporary citie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6260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569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