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동영상 플랫폼에서의 미세먼지 관련 보도 미리보기 이미지 프레임 분석 : Visual framing of fine dust thumbnail images on video platforms: Focusing on YouTube
유튜브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철순

Advisor
윤순진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미세먼지프레임유튜브미리보기 이미지Fine dustFramingYouTubeThumbnail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2021. 2. 윤순진.
Abstract
Fine dust is recognized as a social hazard, due to its negative health implications and potential impacts on the climate. With such dangers, the media can influence the judgement and actions of individuals. Modern media relies on video forms of communication, especially since news consumption is increasing rapidly on platforms accessible from PC and mobile devices, most notably YouTube.
Within YouTube, thumbnail images heavily influences users video selection. Thumbnails draw users attention and encourages clicks. It can also act as a communication device, providing users with information through visual messaging. Therefore, this investigated how fine dust is perceived and communicated by analyzing thumbnail images of news reports regarding fined dust on YouTube. Content analysis was used to understand the frames used to depict fine dust, and the differences that may exist according to video upload date or channel.
YouTube channels of 9 major broadcasting networks were selected, with thumbnails of videos uploaded from January 5, 2015 to September 30, 2020. Results showed the most common frame used was the response frame with a total of 677 cases(41.01%), followed by the danger frame (582 cases, 35.25%), and the cause frame (246, 14.90%).
Next, frequency analysis was used to find the frequency of videos by year. Results showed the frequency of video uploads increased with higher concentrations of fine dust. This was especially the case in 2019, when fine dust levels were most severe, which showed a huge spike in the number of videos uploaded. Also, from December to March, in months when fine dust levels are higher, video reports on fine dust increased.
Finally, content analysis was used to find the most frequent images used, and the visual frames they convey. The most common image used were landscapes of Korean cities enveloped in fine dust particles (408, 29.07%). The tones of such images were calm, and colour codes simple, often depicting major tourist attractions within Seoul. These images emphasize the severity of the fine dust levels. Such images may be effective in getting public attention, however may lead to individuals neglecting to take action as they may consider the problem to be overwhelming.
Another image that was often used to depict the issue was politicians, emphasizing the political aspects to the fine dust issue. In addition, although most politicians were depicted with a neutral stance or expression, at times, positive elements were expressed with the politicians clapping their hands or shaking hands with other politicians, while negative elements were expressed with serious facial expressions or confrontational photo arrangement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research has two implications. First, visual frames of thumbnail images on YouTube were analysed. YouTubes influence as a news media outlet is continuously expanding, and since media is a major aspect in forming public opinion, research regarding the platform is meaningful. In addition, research results identified visual frames used to communicate the fine dust issue. Images are intuitive, and can help viewers to remember news and related information. Therefore,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visual framing major social issue as fine dust is valuable.
미세먼지 문제가 지속되면서 하나의 사회적 위험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위험에 대한 사회 구성원들의 판단과 행동에는 미디어의 영향이 크다. 현대 미디어는 다양한 매체 중에서도 영상 매체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특히 영상 매체 중에서도 PC와 모바일 환경에서 접근이 가능한 유튜브 등의 플랫폼을 활용한 뉴스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유튜브 플랫폼의 특성상 영상 미리보기 이미지가 사용자의 영상 선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미리보기 이미지는 이용자의 시선을 이끌어 해당 영상에 주목하게 하여 영상에 대한 더 많은 정보를 확인하도록 유인할 뿐만 아니라, 하나의 이미지로서 메시지 전달이 가능해 정보 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 우리나라 뉴스 이용자가 급증 중인 유튜브 플랫폼에서의 미세먼지 관련 보도 미리보기 이미지를 분석함으로써, 미세먼지 문제가 사회적으로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미리보기 이미지가 어떠한 프레임이 설정되어 있는지, 연도, 언론사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마지막으로 이미지 내용분석을 통해 활용되는 이미지의 종류까지 분석하였다.
해당 연구는 국내 주요 언론사의 유튜브 채널 총 9개를 선정하여, 2015년 1월 5일부터 2020년 9월 30일까지 업로드 된 영상의 미리보기 이미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미리보기 이미지에 나타난 가장 많은 프레임은 대응 프레임으로 총 677건(41.01%)이다. 그 뒤로 피해 프레임(582건, 35.25%), 원인 프레임 (246건, 14.90%), 기타 프레임 (146건, 8.84%)이 잇따랐다.
두 번째로 연도별 보도 빈도를 분석한 결과, 미세먼지가 농도가 높아지는 시기에 보도 빈도도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미세먼지가 가장 심했던 2019년에 가장 많은 보도가 집중되어 있고, 미세먼지 농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봄과 겨울에 가장 많은 영상이 개시되는 것을 보여주며, 이는 월별 평균 농도의 물리적 증가량과 비슷한 양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미세먼지 보도 관련 이미지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가장 많이 등장한 이미지는 미세먼지로 덮인 도심의 이미지(408건, 29.07%)였다. 또한 우리나라 명소를 풍경으로 하고 이미지의 톤도 차분하고 단순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것은 미세먼지를 국내문제로 인식하는 것을 표현하고 그 심각성이 광범위하고 우울함을 강조하는 이미지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는 대중의 이목을 끄는데 효과적일 수 있으나 한편으로는 미세먼지는 개인이 해결할 수 없는 문제라고 여겨 개인적 차원의 대응을 소홀하게 하는 행동으로도 이어질 수 있다.
또 많이 사용된 이미지는 정치인의 모습으로, 미세먼지가 하나의 정치적 이슈와 논점으로 다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 동일한 인물이 등장하더라도, 손뼉 치는 손짓 혹은 악수하는 장면 등의 경우 어떠한 긍정적인 요소를, 심각한 표정 혹은 정치인 간 대립되는 사진 배치 등의 경우 부정적인 요소를 표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두 가지 시사점을 가지고 있다. 첫 번째는 최근 영상 뉴스매체의 주요 채널로 여겨지는 유투브의 미리보기 이미지에 대해서 프레임을 형성했다는 것에 큰 의의가 있다. 국내에서 뉴스매체의 하나로 유투브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이용률은 여론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유투브 플랫폼을 통한 미세먼지 위험 관련 보도가 어떻게 보도되는지 확인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
또 미세먼지 위험이 현재 어떠한 이미지로 구성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선행연구 중 신문 기사를 활용한 텍스트 중심의 프레임 연구는 있었지만, 국내 미세먼지 문제에 대한 이미지 프레임을 구축한 연구는 없었다. 이미지는 다른 형태의 메시지와 달리 보다 직관적이며, 또 시청자의 관심과 생각을 눈길이 향하는 곳으로 돌릴 수 있다. 따라서 언론이 어떠한 이미지를 구축해서 미세먼지를 보도하는지 살펴보는 것은 의미가 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6276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618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