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서울시 문화지구의 유형 및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Type and the Development of the Cultural District in Seoul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영훈

Advisor
전상인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문화지구문화정책도시계획인사동대학로서초동 Cultural DistrictCultural PolicyUrban PlanningInsa-dongDaehak-roSeocho-dong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2021. 2. 전상인.
Abstract
The cultural district is a system designed to foster cultural facilities and cultural industries, promote specialized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and preserve cultural resources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In 2000, the system was designed based on Insa-dong, and six regions are currently operated as cultural districts. The cultural district system has been around 20 years since its enactment, but it has not been able to keep up with the changing urban and cultural environment due to the lack of supplementation of the system and since it was modeled on Insa-dong, there is a limit to encompass the region and cultural resource characteristics of other cultural districts. Therefore, the current cultural district system is considered to have failed to prevent the commercialization of the region and preserv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cultural resources. Nevertheless, the cultural district system is necessary. The cultural district is the first system to support the abstract value of culture in terms of regional and urban planning, and is a means to preserve the increasingly commercialized cultural district.
This study began with a problem consciousness that the cultural district system does not reflect the differences between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cultural resources. The cultural district system is operated by a management plan established by the local government. However, the cultural district management plan is similarly formulated in any region regardless of the cultural resources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laws and ordinances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Local Culture Promotion Act」 and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Ordinance on the Management and Promotion of Cultural Districts」 specify what should be included in the cultural district management plan, and if the details are included, approval of the cultural district management plan is not difficult. Therefore, the six areas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and cultural resources, but all of them are operated by similar management plans. As a result,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are fading, and cultural resources that were intended to be preserved are being pushed aside by commercial events and programs. It would be ideal to organize experts for each cultural district to establish a customized management plan, but in this case, it is inevitable to inject a lot of resources and it could undermine the autonomy of local governments, which are the main agents of managing the cultural district.
Therefore, the local government was able to formulate a management plan autonomously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and cultural resources by classifying cultural districts according to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cultural districts and the nature of cultural resources. By analyzing prior studies on the typification of cultural districts, cultural distric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traditional cultural districts', 'cultural arts districts' and 'cultural industrial districts' and the criteria for classification were compiled. It also investigated cases of overseas cultural districts and classified them according to type before analyzing the main points of management of overseas cultural districts by type. In addition, by combining prior research and examples of overseas cultural districts, the plan for managing cultural districts by type was derived. In addition, the three districts of Insa-dong, Daehangno, and Seocho Music and Culture District in Seoul were classified by type according to the criteria, and Insa-dong was classified as a traditional cultural district, Daehak-ro as a cultural and artistic district, and Seocho Music and Culture district as a cultural industry district. In addition, each of the currently established cultural district management plans was analyzed and compared with the cultural district management plan by type to draw up deficiencies in the existing management plan and proposed improvement measures. In addition, in order to preserve local characteristics and cultural resources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designation of cultural districts, a close analysis of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cultural resources of the candidate areas should be preceded at the stage of designation of cultural districts. Based on this, it was concluded that classification of the types of cultural districts and establishment of management plans by type are ways to improve the problems of the current cultural district system.
문화지구는 문화시설과 문화업종의 육성, 특성화된 문화예술 활동의 활성화, 문화자원과 문화적 특성 보존을 위해 만들어진 제도이다. 2000년 인사동을 모델로 제도의 기초가 설계되었고, 현재 전국 6개 지역이 문화지구로 지정·운영되고 있다. 문화지구 제도는 제정 이후 지금까지 약 20년이 지났으나 제도의 보완이 없어 변화하는 도시와 문화 환경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으며 인사동을 모델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다른 문화지구의 지역과 문화자원 특성을 아우르기에 한계가 있다. 그래서 현재 문화지구 제도는 지역의 상업화를 막고 지역적 특성과 문화자원을 보존하는데 실패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문화지구 제도는 필요하다. 문화지구는 지역 및 도시계획적 측면에서 문화라는 추상적 가치를 지원하는 최초의 제도이며 갈수록 상업화되는 문화지구를 보존하기 위한 방편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문화지구 제도가 지역적 특성과 문화자원의 차이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시작되었다. 문화지구 제도는 지자체에서 수립하는 관리계획에 의해 운영된다. 그러나 문화지구 관리계획은 지역별 문화자원 및 문화적 특성과 무관하게 어느 지역이나 유사하게 수립되고 있다. 그 이유는 「지역문화진흥법 시행령」과 「서울특별시 문화지구 관리 및 육성에 관한 조례」등의 법과 조례에서 문화지구 관리계획에 포함되어야 하는 내용이 명시되어 있으며, 명시된 내용만 포함하면 문화지구 관리계획 승인에 별다른 어려움이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문화지구로 지정된 6개 지역은 각기 다른 특성과 문화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나 모두 유사한 관리계획에 의해 운영되고 있다. 그러다보니 지역의 특성은 옅어지고, 보존하고자 했던 문화자원은 상업적인 행사와 프로그램에 의해 밀려나고 있다. 각각의 문화지구별로 전문가를 구성하여 맞춤형 관리계획을 수립하면 이상적이겠으나, 이 경우 많은 자원 투입이 불가피하며 문화지구 관리주체인 지자체의 자율성을 저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지자체에서 지역과 문화자원의 특성을 고려하여 관리계획을 자율적으로 수립할 수 있도록 문화지구의 지역적 특성과 문화자원의 성격에 따라 문화지구를 유형화하고 유형별 관리방안을 도출했다. 문화지구 유형화에 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전통문화지구, 문화예술지구, 문화산업지구 세 가지로 문화지구를 분류하고 분류기준을 정리했다. 또한 해외의 문화지구 사례를 조사하고 유형에 따라 분류한 후에 유형별 해외문화지구 관리의 주안점을 분석했다. 그리고 선행연구와 해외 문화지구 사례를 종합하여 유형별 문화지구 관리방안을 도출했다. 이 내용을 바탕으로 서울시의 인사동·대학로 문화지구, 서초음악문화지구 등 3개 지구를 기준에 따라 유형별로 분류한 결과 인사동은 전통문화지구, 대학로는 문화예술지구, 서초음악문화지구는 문화산업지구로 분류할 수 있었다. 그리고 현재 수립되어 있는 각각의 문화지구 관리계획을 분석하고 유형별 문화지구 관리방안과 비교하여 기존 관리계획에서 부족한 점을 도출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했다. 또한 문화지구의 지정 취지에 맞게 지역적 특성과 문화자원을 보존하기 위해서는 문화지구의 지정 단계에서 후보지역의 지역적 특성과 문화자원에 대한 면밀한 분석이 선행되어야 하며, 이를 토대로 문화지구가 어느 유형에 해당하는지 분류하고 유형별 관리방안을 참고하여 관리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현재 문화지구 제도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이라는 결론을 도출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6280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520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