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Between Entrapment and Proliferation : 연루와 핵확산의 딜레마: 남북한 핵개발에 대한 미국과 중국의 동맹 관리
Alliance Management of the US and China over Two Koreas' Nuclear Weapons Program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재원

Advisor
신성호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entrapmentnuclear proliferationsecurity commitmentalliance managementthe US-South Korea alliancethe China-North Korea alliance연루핵확산안보 공약동맹 관리한미동맹북중동맹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국제대학원 국제학과, 2021. 2. 신성호.
Abstract
By examining the alliance management of the US and China over two Koreas nuclear weapons programs, this dissertation finds the cause of nuclear restraint from security commitment. It asserts that a patron takes entrapment risk and increases security commitment when it fears nuclear proliferation greater than entrapment. This dissertation employs the combination of a case comparison method and a within-case method because nuclear restraint is a complex process that follows multiple steps, including rollback, suspension, or resumption of the nuclear weapons program.
From 1974 to 1982, the US provided South Korea with an increasing commitment level because Washington worried more about nuclear proliferation than entrapment. The US perceived high risk of nuclear proliferation, which might cause a major destabilizing effect in Asia, where Washington built a security network of bilateral alliances. To avoid nuclear proliferation, the US took entrapment risk and terminated South Koreas nuclear weapons development.
In contrast, from 1993 to 2009, China provided North Korea with a decreasing commitment level because Beijing was more concerned with entrapment than nuclear proliferation. China perceived high risk of entrapment from a possible North Korean regime collapse and a massive refugee influx across the border. To avoid entrapment, China remained at a low commitment level to North Korea, which eventually conducted nuclear tests and withdrew from nuclear negotiations.
This finding expands our knowledge about the commitment by differentiating the risks of entrapment and nuclear proliferation. It also emphasizes the role of positive security commitment for nuclear restraint.
이 논문은 남북한 핵개발에 대한 미국과 중국의 동맹 관리를 연구함으로써 핵무기 개발 제지의 원인을 안보 공약에서 찾고, 후견국이 연루보다 핵확산을 더 두려워할 때 연루의 위험을 감수하면서 안보 공약을 증가한다고 주장한다. 핵 제지는 핵개발의 롤백(rollback), 잠정중단, 재개 등 여러 단계를 거치는 복잡한 과정인 점을 고려하여, 사례 비교와 단일 사례 연구 방법을 활용한다.
1974년부터 1982년까지 미국은 연루보다 핵확산을 더 두려워했기 때문에 한국에 대한 공약을 증가했다. 미국은 양자 동맹 형태의 안보 네트워크를 구축한 아시아에서 주요한 불안정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보고 핵확산의 위험을 높게 인식했다. 미국은 핵확산을 회피하기 위해 연루의 위험을 감수했고, 한국은 핵개발을 종료했다.
이와 대조적으로 1993년부터 2009년까지 중국은 핵확산보다 연루를 더 두려워했기 때문에 북한에 대한 공약을 감소했다. 중국은 북한 체제 붕괴 및 대규모 난민 유입 가능성을 보고 연루의 위험을 높게 인식했다. 중국은 연루를 회피하기 위해 낮은 수준의 공약을 유지했고, 결과적으로 북한은 핵실험을 감행하고 핵협상으로부터 철수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연루와 핵확산의 위험을 구별함으로써 안보 공약에 대한 지식을 확장하는데 기여하며, 핵 제지(nuclear restraint)를 위한 적극적 안전보장(positive security assurance)의 역할을 강조한다.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76385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404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