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The Resilience of K-Pop Popularity despite Anti-Korean Sentiments in China and Japan : 반한 감정에도 불구하고 지속되는 케이팝의 인기: 중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전지민

Advisor
박철희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K-popAnti-Korean SentimentChinaJapanConnectedness케이팝반한 감정중국일본연결성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국제대학원 국제학과(국제협력전공), 2021. 2. 박철희.
Abstract
The Korean Wave has been a significant source of cultural soft power by winning the hearts of the foreign public. Hallyu has been most popular in China and Japan, with exports to these countries accounting for more than half of the total net exports of South Korean cultural content. However, anti-Korean sentiments are remarkably high in both China and Japan due to political, diplomatic, and historical conflicts. Anti-Korean sentiment has negatively influenced the sustainability of hallyu, as the export of dramas and movies has decreased. Nonetheless, despite anti-Korean sentiment, the popularity of K-pop continued to increase. Along with relative apoliticism, the core reason for this lies in the sense of connectedness. The nature of the music itself bonds listeners regardless of national borders. Technological development bypassed government control and improved access and connections between K-pop suppliers and consumers. The main supplier, the Korean entertainment industry, strategically managed K-pop with glocal familiarity and interactivity. Furthermore, the digital generation consumers joined together in participatory fandoms to share their collective interests. Altogether, these factors strengthened the connectedness of K-pop, which helped to sustain its popularity in Northeast Asia despite anti-Korean sentiment.
20세기 말 동북아시아로부터 불어온 한류 열풍으로 현재까지도 중국과 일본이 한국의 최대 문화 콘텐츠 수출국이다. 그러나 한류의 인기와 동시에 정치, 외교, 역사적 역학 관계로 중국과 일본에 자리 잡은 반한 감정은 한류의 지속가능성을 불안정하게 했다. 이는 콘텐츠의 하위분류에 따라 상이한 결과가 나타나는데, 드라마나 예능을 포함한 방송 콘텐츠나 영화는 반복적으로 수출액이 급락하는 현상이 관찰된다. 반면에 음악은 이러한 정치나 외교적 영향을 상대적으로 받지 않고 인기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현상을 볼 수 있다. 먼저, 케이팝이 반한 감정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이유는 상대적으로 정치와 무관하기 때문이다. 공급 측면에서 한류는 한국 정부가 이끌지 않은 설계되지 않은 성공이었고, 바텀-업으로 민간의 주도하에 이루어졌다. 수요 측면에서 케이팝은 중국과 일본 정부로부터 규제되기 어려웠고, 소비자들은 케이팝을 정치와 무관한 하위문화이자 여가로 즐겼다. 그러나 케이팝 역시 정치적인 영향력에서 완전히 배제될 수 없다. 따라서 본고는 케이팝의 지속적인 상승세를 연결성 (connectedness)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음악이라는 문화예술은 감정의 소통이 가능하여 공감을 형성한다. 기술의 발전은 시•공간을 넘어 케이팝 콘텐츠에 대한 접근성을 향상해주었고, 소셜 미디어는 스타와 팬 사이의 상호작용을 촉진했다. 한국 엔터테인먼트는 체계적인 인재 양성, 현지화 전략,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소셜 미디어 마케팅, 등을 통해 중국과 일본 소비자들에게 친근감을 형성했다. 중국과 일본의 디지털 세대로 이루어진 팬덤은 정체성을 함께 공유하며 단단한 결속력을 이루었다. 위와 같은 요인들로 인해 케이팝은 완강한 연결성을 가질 수 있었고 이는 중국과 일본에서의 강한 반한 감정에도 불구하고 케이팝이 지속해서 성공할 수 있도록 기여했다. 결론적으로, 케이팝이 반한 감정에도 불구하고 인기를 지속할 수 있었던 이유는 음악적 동감, 기술 네트워킹, 전략적 글로컬 친밀감, 팬덤 연대이고, 이는 연결성으로 사료될 수 있다.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76416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461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