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A Comparative Study on the DPRK's Foreign Policy Toward Africa : 김일성과 김정은 시대 북한의 아프리카 정책 비교 연구
- During the Kim Il Sung and the Kim Jung Un Era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정지혜

Advisor
박태균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North KoreaAfricadiplomacymilitary assistancesanction북한아프리카,외교 관계,군사교류,국제 제재,남한의 할슈타인(Hallstein Doctrine) 원칙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국제대학원 국제학과(한국학전공), 2021. 2. 박태균.
Abstract
국문 초록
(ABSTRACT IN KOREA)

핵무기 보유를 견제하기 위한 국제사회의 제재와 징벌적 조치에도 불구하고, 국제사회에서 고립되어 있으며 재정으로도 열악한 북한은 여전히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정권을 유지하고 있다.
북한의 국제 관계 연구에 있어 자세히 연구되지 않았던 비주류에 속하는 외교적 현상에 대한 정밀한 분석은 국제사회에 위협이 되는 북한 문제를 다른 방식으로 다룰 수 있는 대안적인 관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아프리카에 대한 북한 대외정책의 방향 전환의 배경과 구체적인 외부요인이 김일성 시대 데탕트 시대(1960~1979)와 김정은 시대(2011~2011년)의 비교연구를 기준으로 본 논문에서 분석된다.

어떤 측면에서 북한과 아프리카 외교 관계 연구가 의미가 있는 것인가? 우선, 김일성 통치 시기에 속하는 데탕트 시대의 경우, 북한은 주체사상을 기반으로 군사 및 인력 그리고 재정적 지원을 아프리카에 제공하는 등 안정된 외교 관계를 아프리카 국가와 맺기 위해 적극적인 외교적 노력을 기울였다. 이후에도, 고립된 국제적 위치에서 벗어나기 위해 수십 년 동안 북한은 아프리카 국가들과 우호적인 외교 관계를 유지했다. 또한, 김정은 시대에 들어서는 일부 아프리카 국가와의 지속적인 경제적 교류는 유엔과 미국의 제재로 인해 궁핍한 재정을 보충하는 중요한 기회를 제공하였다. 북한의 아프리카 외교 정책이 가장 활발했던 시기와 전례 없이 심각한 국제적 제재에 직면한 김정은 정권 시대의 아프리카 외교를 비교하면 북한의 외교정책변화를 가장 극명하게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서로 다른 시기에 변화된 북한의 아프리카 외교 정책 연구는 양측간의 고위급 간부의 상호 방문의 빈도와 방문목적 그리고 북한의 아프리카 국가들에 대한 군사적 지원 행태 분석 등의 지표로 측정될 것이다. 북한 대외정책에 영향을 주고 있는 4가지 주요 대외적 요인에는 국제사회의 제재와 아프리카에 대한 북한의 군사적 지원, 남한의 할슈타인(Hallstein Doctrine)원칙에 기반한 외교정책 그리고 비동맹운동(NAM) 연대 등이다. 이와 같은 대외적 요인이 실제로 북한과 아프리카의 외교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또한 북한의 아프리카 대외정책의 시기별 전환 과정은 어땠는지 자세히 검토할 예정이다.

Key words :북한,아프리카,외교 관계,군사교류,국제 제재,남한의 할슈타인(Hallstein Doctrine) 원칙
Student Number: 2017- 20782
ABSTRACT

North Korea, an isolated and impoverished nation, still maintains its relatively stable regime despite all the international sanctions and punitive measures. The deep analysis of the hidden foreign relation between the DPRK and Africa could extend our existing perceptions and offer alternative perspectives to handle continuous threats posed by this secretive country in different ways. In this background, crucial external reasons for the reorientation of North Korean foreign policy in Africa will be analyzed by a comparative study between the Détente period (1960-1979) during the Kim Il Sung era and the Kim Jung Un eras (2011- present).
Why does the foreign relation between North Korea and African nations matter? In the past, North Korea pursued amicable diplomatic relations with African nations for decades ultimately to obtain reliable supports from them on the international stage in the diplomatic competition with South Korea. Besides promoting the ideology Juche (self-reliance) and providing infrastructure and military assistance to African countries, North Korea passionately tried to bond close ties with the African counterparts to escape from its isolated international position.
Even until Nowadays, some African countries have still functioned as financial lifelines for the benefits of the DPRK against severe sanctions imposed by the U.N. and the United States, the official diplomatic exchanges between the two regions have significantly decreased. The difference in the previous and current North Korean foreign policy strategies in Africa can be more clearly presented by comparing the détente period when North Korea established the most robust diplomatic relations with African nations and the recent Kim Jong Un regime when its whole external relation is greatly limited under the unprecedentedly severe international sanctions.
Firstly, the shifted North Korean foreign policy in Africa during the two different periods will be measured by two indicators: the exchange of high-level officers and the military assistance from North Korea to African nations. Secondly, the four external factors that have been influencing North Koreas foreign policy were selected: international sanctions, military assistance from the DPRK, the Hallstein doctrine of South Korea, and the solidarity of the Non-Aligned Movement (NAM). By closely reviewing these factors individually and analyzing what influence they have had on the diplomatic relation between the DPRK and Africa, it will be revealed how the reorientation of the DPRKs foreign policy in Africa has been evolved.



Keywords: North Korea, Africa, diplomatic relation, military exchange, international sanction, Hallstein doctrine of South Korea
Student Number: 2017- 20782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76423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626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