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A Study on Communication Design for Spaces with Dominant Visual Intent : 시각적 의도가 지배적인 공간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에 관한 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전재운

Advisor
김경선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Spatial GraphicsVisual SpaceGraphic SpaceCommunication DesignSpatial PracticeEnvironmental Graphics시각 공간공간 그래픽스페이스 그래픽커뮤니케이션 디자인비주얼 공간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미술대학 디자인학부 디자인전공, 2021. 2. 김경선.
Abstract
This dissertation seeks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visual communication design within the field of spatial design. Spatial Graphics is defined as a means of communication in which the nature and intention of the space is effectively communicated through visual expression. The aim of this thesis, on the one hand, is to articulate practices and strategies of visual communication as legitimate spatial design, while at the same time expanding the understanding of space with dominant visual intent so that new interactions and forms of communication can be revealed.

Countless graphic designers have utilized visual language as a means of organizing and designing space, resulting in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s between architects, interior designers, and other artists. Thus, one can observe traces of aesthetic and cultural influences on the work of contemporary graphic designers, reflecting a development toward greater independence. In this context, design as a concept is no longer confined to static, closed forms, but is largely integrated with dynamic environments in which life is lived and experienced.

This dissert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a contribution to understanding how graphic design as a discipline can extend its potential to encompass spatial design. The latter is an area that has been relatively less examined within the graphic design field. Expanding the potential of graphic design, this dissertation seeks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reading the field as an articulation of a multi-sensory experience by paying particular attention to graphic designs contextual diversity in a variety of disciplinary contexts.

The dissertation thus focuses on a central trend in the graphic design field: the ways in which the practice of graphic design as a communicative discourse constitutes crucial and aesthetic interventions into public space. These interventions illustrate, among other things, how central properties within graphic design methodologies and approaches can recite and intensify spatial strategies and potentials in the environmental framework inhabited by people. To this end, an important dimension for the conduction of this research was the professional background knowledge and diverse work experiences of the researcher as a seasoned practitioner within the field of graphic design.

The specific methods of conducting research for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the concepts, historical meaning, and components of space are examined and analyzed. Secondly, the method of spatial graphics is described through case analysis and spatial characteristics. The main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constructing a significant model that stages, frames, and enables the coordinates for future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raphic design and space consciousness, and more specifically a model that draws the coordinates of a new spatial interpretation and visualization within the field of graphic design.
본 논문은 공간 디자인 영역에 내재하는 비주얼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의 가능성을 탐구한다. 공간 그래픽이란 시각적 표현을 통해 공간의 성격과 의도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의사소통 수단을 일컫는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공간 디자인으로서 비주얼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의 타당성을 표명하고, 나아가 시각적 의도가 지배적인 공간에 대한 이해를 확장함으로써 새로운 상호작용과 의사소통 형식을 발견하는 데 있다.

디자인은 우리가 삶을 경험하는 방식, 그러므로 물리적 공간을 경험하는 방식에 큰 영향을 미친다. 대다수의 그래픽 디자이너들은 공간을 구성하고 설계하는 수단으로 시각적 언어를 활용하여 건축가, 실내 디자이너, 그 밖의 다양한 예술가들과 함께 학제적 협업을 이루어 왔다. 이러한 동시대 그래픽 디자이너들의 작업은 더욱 발전된 독립성을 반영함으로써 미학적, 문화적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맥락에서, 디자인이라는 개념은 고정되고 폐쇄된 형식으로 국한될 수 없으며, 오히려 우리가 살아가고 경험하는 역동적인 환경과 융합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은 그래픽 디자인 연구에서 상대적으로 간과되어 온 공간 디자인으로서 그것의 확장 가능성을 규명하기 위해, 하나의 학문으로서 그래픽 디자인이 어떻게 공간 디자인 분야에 영향을 미치는지 다양한 사례를 통해 살펴본다. 특히 본고가 주목하는 지점은 다학제적 관점을 수용함으로써 생산되는 그래픽 디자인의 다양한 맥락이며, 이는 그래픽 디자인을 다감각적 경험의 표현으로 이해하는 데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오늘날 그래픽 디자인 분야에서 나타나는 중심적인 경향에 초점을 맞춰, 그래픽 디자인 실천이 담론적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공공 공간에 비판적이고 미적으로 개입하는 방식을 탐구한다. 이러한 개입은 무엇보다도 그래픽 디자인의 방법론 및 접근 방식에 내재된 고유한 특성에 의한 것으로, 그래픽 디자인은 그 자체로 우리가 생활하는 환경 체제 내부의 공간적 전략과 잠재성을 상연하고 또 강화하는 방식을 명시하기 때문이다. 연구자가 그래픽 디자이너로 활동하면서 쌓은 전문적인 시각과 실무 경험은 이러한 연구를 수행하는 데 중요한 배경이 된다.

본 논문의 구체적인 연구 방법론은 다음과 같다. 먼저, 공간의 개념과 그것의 역사적 의미 및 구성요소를 검토하고, 이를 그래픽 디자인 연구의 관점에서 살펴본다. 둘째, 동시대 그래픽 디자인의 다양한 사례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공간 그래픽의 기법과 그것의 공간적 특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본 논문이 궁극적으로 목표하는 바는 그래픽 디자인과 공간 인식 사이의 관계를 상호작용의 맥락에서 파악하고, 이를 새로운 공간 해석 및 시각화를 가능하게 하는 환경 구성의 원리로 논하는 것이다. 나아가 후속 연구를 위한 기틀을 마련하고자 이를 상연하고, 생산하고 또한 작동시키는 주요한 모델의 구축 가능성을 탐구한다.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76515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579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