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온라인 서비스 초기 구축을 위한 태스크 기반 디자인 가이드 연구 : A Study of Task Oriented Service Design Guide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나은

Advisor
김수정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인터페이스 패턴인터페이스 디자인온라인 서비스 디자인사용자 경험 디자인Interface patternInterface designOnline service designUser experience design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미술대학 디자인학부 디자인전공, 2021. 2. 김수정.
Abstract
사용 목적이 유사한 서비스는 유사한 화면 구조를 갖고 있다. 맛집 발견 및 주문이 주된 사용 목적인 배달 앱은 사용자가 빠르게 원하는 장소의 맛집을 발견할 수 있도록 홈 화면을 구성하며, 주문 화면에서는 주문 및 결제가 빠르게 처리될 수 있도록 디자인한다.
앱 서비스 시장의 호황으로 수많은 서비스들이 출시되었고, 각 서비스들은 보다 많은 수의 활성 사용자 확보와 사용자가 보다 오래 서비스에 머물게 하기 위해 사용성을 실험하고 경쟁해왔다. 서비스 디자인은 시장에 최적화하며 사용 목적에 따라 점점 좋은 사용성의 답을 찾아왔다. 이렇게 사용 목적에 따라 필요한 태스크(task, 과업)와 그에 따른 화면이 패턴화되고 있지만 현재 서비스를 초기에 출시하려는 비전문가나 디자이너가 참조할 수 있는 자료는 사용 목적이라는 맥락이 배제된 파편화된 인터페이스 컴포넌트 가이드 뿐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용 목적과 필요 태스크에 따른 인터페이스 패턴을 연구하여 서비스 구조를 손쉽게 제작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연구자의 시도이다.
본 연구를 위해 먼저 사용 목적 별 인터페이스 특징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데이터를 수집한 패턴스(pttrns.com) 웹사이트는 웹 상에서 가장 큰 인터페이스 라이브러리 중 하나로 디자이너들이 참조할만한 최신 출시 앱의 대표적인 사용 화면의 스크린샷이 선별되어 업로드된다. 각 스크린샷에는 패턴스 웹사이트에서 인터페이스 특징을 분류하는 85개 태그 중 해당되는 특징이 태깅되어 있고, 앱 이름을 선택하면 앱 스토어로 이동하여 앱 마켓 카테고리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 범주화를 위해 앱 마켓 내 카테고리가 같으면 사용 목적이 같은 것으로 간주하였다. 패턴스 웹사이트 스크래핑으로 인터페이스 특징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인터페이스 특징 데이터의 사용 목적에 따른 특수성, 고유성 정도에 따라 범주를 재분류하였다. 그리고 각 마켓 카테고리 별 인터페이스 특징성이 높은 태그들을 카드 소팅하여 각 마켓 카테고리, 즉 사용 목적 달성을 위한 태스크를 도출하였다.
마켓 카테고리 별 태스크를 도출하는 과정에서 사용 목적 별로 필요한 태스크가 중복된다는 사실이 증명되었다. 예를 들어 게시글을 작성하는 태스크의 경우 어떤 특정 마켓 카테고리의 서비스가 아닌 게시글을 작성할 수 있는 모든 서비스에서 나타날 수 있는 특성이다. 이렇게 서비스의 특성은 어떤 마켓 카테고리에 속해있는지 보다 어떤 태스크를 갖고 있는가에 따라 구분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물 또한 태스크를 중심으로 제작하게 되었다.
태스크를 조합하여 온라인 서비스 구조를 제작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제작하고자 하는 서비스의 사용 목적을 정의한다. 그리고 사용 목적 달성을 위해 필요한 기능을 정의한다. 이후 각 기능을 본 가이드의 태스크로 맵핑하고, 태스크에 정의된 화면 흐름을 연결한 뒤 홈 화면을 정의하면 완결성을 갖춘 서비스 구조를 손쉽게 설계할 수 있다.
Services with similar purpose are composed of similar screen arrangement. For example, food delivery apps help finding and ordering the foods from the best restaurants. In order to do so, the home screen of the delivery app is intended to find restaurants with ease and speed, and the order screen is designed to make quick payment.
With the booming app service market, numerous apps have been released. Services have been experimenting usability to acquire active users and to achieve higher service retention rates. The service design has been optimized for the market. In other words, the design has become a good fit for the purpose of use. Service design is patterned by the purpose of use, but the only material that designers can refer to is the fragmented component guide out of purpose. This study is a researcher's attempt to make service design easier like block stacking by studying the interface pattern for the purpose of use.
First, interface data for each purpose of use were collected. The data was collected from Pttrns, one of the largest interface libraries, where screenshots of the latest apps are uploaded. Interface features are tagged in each screenshot, and market category information can be collected from the app store by selecting the app name of the screenshot. In this study, market categories were considered as the purpose of use for data categorization. By web scraping, 4,213 screenshot data of a total of 20 market categories and 320 apps were collected. The tag data was reclassified as how much the tag characterizes the market categories. 37 tasks were defined by card sorting the tags that most characteristically represent the market category.
In the process of defining the task, it was found that tasks were featured in several market categories, not the only one market category.
For example, in any service that can create posts, the task of creating posts is featured. The characteristics of a service are defined as what task it has rather than what market category it belongs to. Therefore, this study was focused on tasks.
How to easily create an online service structure by combining tasks is as follows. First, define the purpose of using the service. Then, define the functions to achieve the purpose of use. The service structure is completed by mapping each function to the task of this study, connecting the screen flow belonging to the task, and defining the home screen.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6520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609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