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중국 전통 기록화의 시각 요소 분석 및 디자인 적용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Visual Elements Analysis and Application Design of Chinese Traditional Documentary Paintings : Based on the Chinese Sports Paintings of the Tang and Song Dynasties and Emperors' Travel and war Paintings of the Ming and Qing Dynasties
당송시기 운동회화와 명청시기 황제 출행도와 전쟁화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Wu Hui

Advisor
김경선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중국 전통 기록화당송시기 운동회화명청시기 황제 출행도전쟁화그래픽 표현아트북Chinese documentary paintingsMing and Qing dynastiesGraphic expressionIllustrationTypographySports paintings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미술대학 디자인학부 디자인전공, 2021. 2. 김경선.
Abstract
흔히 중국 전통회화라고하면 대표적인 산수화, 화조화, 인물화를 떠올리는 경우가 많다. 이들 중국 고대 회화는 대부분 전신의 표현 수법을 핵심으로 하여 경지미를 표현하였는데, 사람들의 머릿속에는 대부분의 중국 전통화가 정적인 아름다움의 고유한 인상을 남겼다. 표현 기법상 산수화,화조화 같은 소재는 사실적인 표현 기법으로 그려지는 경우가 드물고, 보통 이미지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정적 미감을 전달하는 것도 한 요인이다. 이런 주류 회화 장르를 제외하고도 중국 고대 회화에는 사실(寫實)을 주요 표현으로 하는 동태미의 기록화들이 다수 존재한다. 이들 기록화에는 스포츠를 기록하기도 하고 황제의 행적과 군사 전쟁도 기록하기도 한다. 이들 기록화는 인물을 둘러싼 일련의 행동으로 당시 사회의 풍습을 그림으로 담아냈다. 필자는 이 글에서 당송(唐宋)시기 체육 회화와 명청(明淸)시기 황제 출행도와 전쟁화를 중심으로 중국 고대 기록화 속의 시각 요소를 연구하고자 한다.
운동기록화에는 당송시기 한때 유행했던 스포츠를 소재로 한 마구도와 축구도를, 황제 출행도에는 명청시기 황제가 출궁알릉(巡陵)을 떠나거나 순시(巡視)한 출행(出行)을 소재로, 전쟁화에는 명청시기 일부 전쟁을 다룬 군사장르화를 담았다. 중국 고대 회화에 전쟁 소재로 쓰인 그림이 희박한 상황과 그 원인에 대해 간략하게 논술한 이라는 논문을 읽은 적이 있다. 그래서 연구자는 중국 고대의 회화에 기존의 전쟁 그림에 관심을 가지면서, 중국 고대 회화에 있어 군사 전쟁을 나타내는 그림이 과연 적을까 하는 의문을 갖게 되었다. 고대 회화에서 전쟁을 주제로 한 그림이 상대적으로 적은 이유는 무엇인까? 전쟁 그림에서 다른 시각적 요소도 있으까? 이로부터 중국 고대 전쟁을 주제로 한 회화를 조사하여, 명청시기에 상대적으로 군사 전쟁을 주제로 한 회화에 집중된 것을 발견하였다. 이 세 가지 기록화를 연계해 자세히 살펴보면 화면에 나타난 인물들의 시각 이미지가 크게 나타나고 공통점이 있는 것 같아서 연구해 볼 만하다.
전쟁에 대해 말하면 으레 싸움, 대항, 이런 액션이 떠오른다. 전쟁 자체도 갈등과 불평화를 뜻하는데, 의미하기도하는데, 이러한 갈등과 모순을 표현하는 장면은 현대 스포츠 나 경기와 같은 장면을 쉽게 연상시킨다. 반면 스포츠 경기장에선 헤치고 맞서는 장면이 많지만 그 내면의 핵심은 평화경쟁의 정신이다. 그래서 옛 전쟁화가 오늘날 21세기에도 재해석 될 수 있다고 대담하게 믿고있다. 역사 속에서 피 말리는 몸싸움이 옛말이 되었을 때, 미래는 평화와 사랑으로 가득 찬 미래다. 이런 대담한 상상을 바탕으로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연구했다.
첫째, 당송시기의 운동회화, 명청시기의 황제 출행도 그리고 전쟁화 세가지 장르의 전통 기록화를 중심으로 이들 세 가지 장르의 회화에서 표현된 내용을 살펴본다. 세 가지장르의 기록화 가운데 각 대표작의 표현하는 기본적인 내용과 정보를 정리한다.
둘째, 화면에 나타난 내용 정보와인물 이미지를 시각적 대비를 통해 분석한다. 이 세 가지 장르의 기록화를 시각적으로 분석하고, 기록화의 대표적인 미학 요소를 분석한다.
셋째, 중국 전통화의 내용이 현 단계에서 개발되고 활용되는 현황을 조사하고, 재시각화되는 중국 전통화의 시각 요소에 어떤 표현이 있는지 분석한다.
넷째, 전통 기록화 요소를 추출, 재구성하고 현대적 디자인 요소와 융합해 전통과 현대적 디자인을 실험적으로 시도한다. 이런 기록화나 시각요소가 문화매체에 활용되고 있는지, 또 다른 발전이 있는지 검토한다.
본 연구는 중국 전통 기록화 속의 사람 수가 작은 단체(小衆)'이라는 소재로 한 그림의 시각적 요소나 시각 이미지를 재활용, 재해석할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기록화는 전통 회화의 일종으로 그해 일어난 역사를 기록하는 것 외에 현대 대중과 어떻게 더 잘 연결할 수 있을까? 이는 전통 회화가 직면한 전통과 혁신에 대한 문제점을 반영하고 있으며, 중국 전통 문화도 최근 몇 년간 끊임없이 계승과 혁신의 방법을 찾고 있다. 이들 기록화는 중국 전통문화의 한 부분으로 전통 문화의 잠재력을 어떻게 홍보하고 발전시킬 것인가가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다. 이런 상황에서 이 논문은 중국 전통 기록화의 미학 요소를 연구하면서 현대적인 요소를 사용하여 전통적인 형태를 혁신하는 방법의 가능성과 의미를 고민하고 생산적 활용방안을 제시하려 한다.
Traditional Chinese paintings, such as sports paintings of the Tang and
Song dynasties, war paintings of the Ming and Qing Dynasties, and
pictures of emperors travel, are still inherited as one of the traditional
cultures. This study focuses on sports paintings, emperor travel pictures
and war paintings in traditional Chinese documentary paintings, and
- 132 -
analyzes the dynamic visual images of the characters in the documentary
paintings, and carries forward the inheritance and innovation spirit of
traditional Chinese culture through visual design. Combining traditional
documentary paintings with modern elements, exploring the re-application
design methods of traditional documentary paintings. This study attempts
to complete an art book through design experiments different from
traditional illustration forms and graphic languages such as editing and
layout.
The way of re-visualization of traditional Chinese painting is becoming
more and more diversified, and illustration expression is still the main
method of use. The innovative designs and changes of in traditional
paintings are gradually forming a whole. Through visual design, the
artistic value behind these traditional paintings can be discovered and
given new vital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search and analyze the elements of
minority theme paintings in traditional Chinese paintings, and then to
explore the inheritance and innovation of traditional cultural content, as
well as the implementation of the re-visualization and utilization of the
program.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6524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600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