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디지털 가상공간의 회화적 표현 연구 : 디지털 가상공간의 회화적 표현 연구
나의 작품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설고은

Advisor
임자혁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디지털 이미지회화가상공간기하학적 이미지반복과 변주레이어 의 중첩과 전복Digital ImagePaintingCyberspaceGeometric Abstract ImageRepetition and VariationLayor Overlap and Subcersion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미술대학 서양화과, 2021. 2. 임자혁.
Abstract
This paper investigates the subject matter as well as the images and visualization methods of my work from 2019 to 2020. Through this analysis, I aim to explore the gap between a digital image and a painting.
Every time I see a painting-a physical object made of various materials-displayed as a digital image on a slick glass surface, I am often struck with a sense of unease. In the passage from material to immaterial, what was once tangible is now transformed into a flat image on a radiant screen. This transformation juxtaposes two fundamentally different mediums in a forceful manner, disregarding two important factors in the process: first, digital image and painting each possess distinct visual characteristics; second, they activate different range of sensual spectrum.
A painting is not just an image on a canvas. What draws me more than the image is its materiality and transient nature. When I look at a painting, I carefully gauze the depth of each paint layer, forged by the gentle pressure from each time a brush leaves its trail on the canvas; I observe how, in a single painting, sheen and luminosity can vary depending on the amount of medium used. When I visit a gallery, I admire a painting in relation to the space and works displayed next to it; I walk around the room to see it from various positions, taking a close look at all four sides of the canvas. Sometimes I even visit the show more than once to see how light and weather conditions would alter the hue of the work.
In contrast, digital image is constructed with rows of pixels that emanate light on their own. It maintains the same level of hue and saturation regardless of where it is. When looking at something on a smartphone or a computer screen, it becomes irrelevant where that phone or computer is placed—what matters is the image on a rectangular screen. Simply put, digital image severs relationship with the physical reality. An image of a painting, translated into digital image, eliminates complex visual and spatial experience of perceiving a painting. Instead, what is left is a flat, glossy image on the screen, devoid of any texture.
Yet, despite fundamental differences between a painting and a digital image, the increasingly digital visual environment of the current era has prompted irreversible changes to the notion of a painting. Rapid growth of smartphone use in the recent decade has made people to spend more time looking at digital images on their phones rather than looking at paintings in real life. Artists today commonly employ digital media, looking up art works online, advertising their works on various social media platforms, and utilizing digital painting programs in their creative process.
In this intricate situation where seemingly incompatible things are intertwined together, I feel the necessity to explore and clarify their relationship. I capture some of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a cyberspace and reconstruct it with a painterly language. Cyberspace is a boundless space without any restraints of a physical reality. It can expand beyond the bounds of a physical space and surpass the linearity of time and space. In a web-like network of users and information, images are gathered and dispersed in a fraction of a second, perpetually floating around this space, untethered to any fixed or permanent spot.
I use abstract geometric in recreating the cyberspace in my work. Geometric shapes are analogous to a logical and mechanical structure of a technology based on which cyberspace is constructed, and are efficacious in representing unlimited replicability of digital images. I select a unit image, transform it, and paint it repeatedly on a canvas to show omnidirectional expansion of the digital space. In the process, I subvert the order of layers to express the nonlinearity of time and discontinuity of space. By jumbling and reverting the actual order of layers and how they are shown, I create a flexible space on canvas in which the order of layers may differ based on where viewers focuses their attention. As a result, while my painting partially embodies certain characteristics of digital images, such as highly saturated color, flatness, and smooth texture, the methods I use in my work express expandability, replicability, and non-continuity of the virtual digital space. In such manner my work reminds what is increasingly being lost in todays highly digitized world. The only way to fully appreciate the totality of a painting is not by looking at it as an image on a screen but by experiencing it as a material object in space.
이 연구에서 나는 2019년부터 2020년까지 제작한 작품을 대상으로 디지털 이미지(digital image)와 회화의 간극을 탐색하기 위해 내가 선택한 작품의 소재와 이미지, 시각화 방법을 분석한다.
나는 붓, 물감, 캔버스와 같은 물질을 사용해서 만들어진 회화를 단단하고 매끄러운 액정 위의 디지털 이미지로 볼 때 종종 위화감을 느끼곤 한다. 이 위화감은 크게 두 가지에서 비롯된다. 하나는 회화와는 다른 디지털 이미지의 시각적 특성이며, 다른 하나는 디지털 이미지를 볼 때 사용하는 감각과 회화를 볼 때 사용하는 감각의 폭이 다르다는 것이다.
회화는 단순히 캔버스 위에 그려진 이미지가 아니다. 나는 회화 작품을 볼 때 붓이 지나가는 압력에 의해 밀려나며 쌓이는 물감의 두께에 주목하고, 물감에 섞인 미디엄의 농도 차이에 따라 한 작품 안에서도 미묘하게 달라지는 그림의 광택을 살핀다. 작품이 전시된 공간을 거닐며 옆에 있는 다른 작품과의 관계에서 작품을 감상하기도 하며, 작품의 측면에 서서 캔버스 옆면을 관찰하기도 한다. 나는 창문이 있는 공간에 전시된 그림일 경우 시간과 날씨에 따라 달라지는 빛에 의해 변화하는 그림의 색채를 보기위해 여러번 전시를 찾기도 한다.
이와는 달리 핸드폰이나 컴퓨터의 화면에서 무언가를 볼 때 이것이 어디에 놓여있는지 중요하지 않다. 오직 중요한 것은 네모난 액정 안에 떠오르는 이미지로 화면의 안과 밖을 구분하는 것은 무의미하며 실제 공간과의 관계는 단절된다. 작품의 디지털 이미지는 회화를 구성하는 여러 요소의 복합적인 작용을 제거하고, 질감이 부재한 매끄러운 정면 이미지만을 전달한다.
이와 같은 회화와 디지털 이미지의 근본적인 차이에도 불가하고 현대의 디지털 시각환경은 회화에 비가역적인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의 보급, 특히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디지털 기기의 확산은 현실 세계의 대상들을 보는 것보다 더 많은 시간을 화면 위에 떠오르는 디지털 이미지를 보는데 할애하게 만든다. 작품의 이미지를 인터넷으로 확인하고 디지털 페인팅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그림을 그리는 것이 낯설지 않다.
양립할 수 없다고 생각하는 것들이 복잡하게 얽히며 공존하는 상황에서 나는 이 둘의 관계를 보다 명확히 탐색해야 할 필요성을 느낀다. 이를 위해 나는 디지털 이미지의 특성을 기반으로 하는 회화를 만들고, 둘 사이에 필연적으로 존재하는 차이를 바탕으로 회화와 디지털 이미지의 관계에 대해 생각한다.
나는 디지털 가상공간을 소재로 디바이스의 스크린을 보는 것과 같은 이미지를 회화에서 만든다. 그리고 디지털 가상공간의 몇 가지 특징을 포착하여 이를 시각화 할 수 있는 회화의 언어로 치환한다. 디지털 가상공간은 현실의 물리법칙이 적용되지 않는 가상의 세계이며, 공간의 제약없이 무한히 확장하며 비선형적인 구조로 구축 되었다는 특징을 가진다. 또한 사용자들이 수평적인 네트워크를 형성하며, 이 공간을 구성하는 이미지들은 고정되어 있거나 불변하는 것이 아닌 찰나에 흩어지고 모이며, 나타나고 사라지는 일시적인 모습을 보인다.
나는 이러한 가상의 세계를 표현하기 위해 추상 이미지, 특히 기하학적인 도형을 주요 이미지로 사용한다. 기하도형은 논리적이고 기계적인 디지털 공간을 연상시킬 뿐만 아니라 디지털 이미지의 무한한 복제성을 나타내기에 적합하다. 나는 이미지들을 변형하고 복제하여 화면안에 고르게 분산시키고, 이를 통해 모든 방향으로 끝없이 확장하는 디지털 가상공간의 모습을 표현한다. 그리고 레이어의 순서를 교란하여 디지털 가상공간안에서 시간의 비선형적인 흐름과 공간의 불연속성을 표현한다. 실제로 그림이 그려진 레이어의 순서와 이것이 보여지는 시각적인 순서를 의도적으로 뒤섞고 뒤집어서, 그림의 어느 부분에 초점을 맞춰 보는지에 따라 공간의 논리적 순서가 뒤바뀔 수 있는 유동성을 남긴다. 결과적으로 내 그림은 비물질성, 고채도의 색, 평면성, 매끄러운 질감과 같은 디지털 이미지의 특성을 일부 구현하지만, 디지털 가상공간의 확장성, 복제성, 불연속성 등의 특성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은 이렇게 만들어진 그림이 실제 공간에서 볼 때 비로소 총체적으로 경험될 수 있게 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6532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610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