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인물 모습의 과장된 표현을 통한 세태풍자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Satire on Society through Exaggerated Expressions of the Human Figure: based on my embroidery and print work
나의 자수와 판화 작품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구지현

Advisor
임자혁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주변 사람풍자와 유머얼굴과 신체의 과장거친 물성의 자수겉과 속의 괴리일상 속 부조리소통과 공감의 장(場)social bubblesatire and humorexaggeration of facial and bodily formroughly textured embroiderytwo-faceddaily injusticeart as modes of communication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미술대학 서양화과, 2021. 2. 임자혁.
Abstract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my work that satirizes human society. I observe and depict the concept of the two-faced person, and those who exploit and take advantage of weak people. I capture peoples gestures and micro-facial expressions and reveal them through an exaggeration of facial and bodily form. Additionally, I vividly express the true nature of people whom I want to criticize with rough textures through the use of threads and a diverse range of bold colors. In particular, I focus on people who are two-faced and reside in urban areas. I started off drawing self-portraits in order to disclose my negative feelings. Then, I started to observe people around me and was naturally drawn to satirizing their negative attributes. However, I realized that pretentiousness, saving face, and hypocrisy were not caused by their nature itself, but by the structural problems of our society. In addition, I depict people around me who discriminate against and exploit others by evaluating people on an arbitrary basis. It all started by observing people around me, but I could expand these stories to societal problems. I try to read the psychology of people by reading the characteristics of peoples facial expressions, gestures, attitudes and tones of voice. Based on this, I satirize people by highlighting their face and body through my work. I use three main methods of exaggeration. First, I create psychological distortion through facial portraits. I emphasize facial expressions and various reactions felt in the body by external stimuli through the use of colors and the intricate internal shape of the body. Moreover, I combine human faces with plants, objects, and animals all in one, and express them as new hybrids in which different types intersect each other. I depict facial expressions in an intuitive and universal form, in order to make it easily understandable to the audience, who may not have experience with art. Second, I underscore important parts by using bold colors and bigger shapes while the rest of the piece will consist of simple shapes like in a childs drawing, making the work easier to approach. By this method, I want to convey details about people and situations with a familiar drawing style that appeals to the audience. Thirdly, I use an expression that combines humorous elements with that of deformed, eccentric and grotesque elements in various proportions. While fully conveying my sense of criticism towards the subject of satire, I want to convey it to the audience in a way that it makes them feel neither heavy nor light. Through this, I want to break down the boundaries of normal vs. abnormal through unfamiliar and heterogenous images, so as to call for coexistence for all different kinds of human beings. In order to maximize such effects, I use printmaking techniques with a diverse range of colors and shapes that are cut from soft foam boards. I roughly cut foam boards into various shapes, color them and print them by overlapping multiple layers at one time. In addition, I repeatedly overlap colored threads and use embroidery line drawings in order to give a unique three dimensional feel that has rough textures. By doing so, I reveal the hidden nature of the human being in the form of relief, a form that we can actually touch and feel. I explored humor in my work through this study and confirmed that works containing satire and humor can be a place of communication and empathy that comforts people who live in the same generation and share similar concerns. In this study, I mainly analyzed two-dimensional works. In the future, I wish to analyze more three-dimensional works, installation and object, etc. to seek other expressions and effects.
본 연구는 내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겉과 속이 다른 사람들의 모습과, 상대적 약자를 이용하고 착취하는 양태를 관찰하고 그리며 인간 사회의 세태를 풍자한 내 작품에 대한 분석이다. 나는 인물의 미세한 표정과 몸짓 등의 특징을 포착하여, 얼굴과 신체의 과장을 통해 드러낸다. 그에 더해 실의 거친 물성과, 높은 채도의 색을 사용하여 풍자하고자 하는 인물의 본질을 생동감 있게 표현한다. 나는 항상 바쁘게 돌아가는 도시 속 겉과 속이 괴리된 인간의 모습에 주목해 왔다. 스스로의 모습을 폭로한 자화상을 시작으로 타인의 모습을 풍자한 그림은 처음에는 부정적 속성을 가진 인물을 고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그려졌다. 그러나 가식과 체면치레, 위선 등이 개인의 유별난 천성에 기인한 것이 아니라, 사회의 구조적 문제에 의한 것임을 깨달은 뒤에는, 이러한 상황에 처할 수밖에 없게 만드는 사회를 풍자의 대상으로 삼게 되었다. 또한, 자의적인 기준으로 타인을 평가하여 우열을 가리거나, 차별 혹은 착취하는 등 상대적 약자를 억압하는 인간의 모습을 풍자하여 우리 주변의 이야기를 사회적인 담론으로 확장하였다. 나는 인물에게 스쳐 가는 찰나의 표정이나 몸짓, 태도, 어조 등의 특징적인 부분을 읽어내어 관계 속에서 상대를 대하는 인물의 심리를 파악한다. 이를 바탕으로 인물의 얼굴과 신체를 과장하여 묘사함으로써 비판하고자 하는 인물의 모습을 효과적으로 풍자하고자 한다. 여기서 나는 크게 세 가지의 과장법을 사용한다. 첫째, 얼굴 초상화를 통해 인물의 심리를 과장한다. 이때 외부의 자극에 대해 육체적으로 엿보이는 여러 가지 반응을 색과 신체 내부 형태 등을 과장되게 표현함으로써 나타낸다. 또한, 인간과 식물, 사물, 혹은 동물의 모습을 한 얼굴에 조합하고 개체 간의 구분 없이 두 형상이 교차하여 포개어진 새로운 혼성체를 창조한다. 이처럼 대상의 얼굴에 나타난 상을 직관적인 형태로 표현하거나, 때로는 인물의 속성을 다른 개체의 특징에 빗대어 재미있게 표현하여 이미지에 대한 관객의 이해를 돕는다. 둘째로, 유아적인 간단한 모양과 형상을 반복하면서, 상황의 전달에 있어서 핵심적인 요소만을 색, 크기 등으로 돌출시켜, 다른 부분보다 과장하여 드러내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는 생소하지 않고 친숙한 그림체로 관객에게 호감을 주면서 풍자하고자 하는 인물과 상황을 재미있게 전달하기 위함이다. 셋째, 유머러스한 요소와 기형적이고 기이한 그로테스크적 요소를 다양한 비율로 혼합하여 나타내는 표현법을 사용한다. 풍자의 대상에 대한 나의 비판 의식을 충분히 전달하면서도, 이것이 관객에게 마냥 무겁거나 가볍게 느껴지지 않게 전달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현실과 다른 낯설고 이질적인 이미지를 통해 정상과 비정상을 분류하는 경계를 허물고, 인간이 살아가는 다양한 모양에 대한 존중과 공존에 대해 환기하고자 한다. 나는 과장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자수의 선묘와, 판을 모양대로 오려 다양한 색으로 찍는 판화의 기법을 택했다. 거친 물성의 색실을 반복적으로 중첩해 특유의 입체감을 주고, 숨겨진 인물의 본질을 질감과 촉각을 느낄 수 있는 부조의 형태로 드러낸다. 또한, 판을 투박하게 오려내어 다양한 모양과 색을 서로 겹쳐 찍어내거나, 여러 층으로 분할하여 찍어내는 다색판법을 활용하여 인물의 인상을 높은 채도의 색으로 생동감 있게 드러낸다. 나는 본 연구를 통해 인물을 모습을 과장하여 풍자한 작품이 가지는 유머와, 이것이 관객과의 소통과 공감의 장을 형성하는 방식에 관해 탐구하였다. 나는 풍자와 유머가 담긴 그림이 동시대를 함께 살아가는 사람들과 삶의 노고를 위로하고, 그들의 고민을 나누는 소통과 공감의 장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주로 평면적인 작품들의 주제와 표현법을 분석하였는데, 향후에는 매체와 형식을 입체, 설치, 오브제 등으로 확장하며 다양한 표현 효과를 모색하고자 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6533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585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