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코로나19 치료·방역인력의 직무요구, 직무자원이 직무소진, 이직의도,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Job Demands and Job Resources on COVID-19 Healthcare Workers Burnout, Turnover Intention, and Stress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유명순-
dc.contributor.author장연훈-
dc.date.accessioned2021-11-30T06:39:56Z-
dc.date.available2021-11-30T06:39:56Z-
dc.date.issued2021-02-
dc.identifier.other000000164876-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76580-
dc.identifier.uri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4876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보건대학원 보건학과(보건정책관리학전공), 2021. 2. 유명순.-
dc.description.abstract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유행이라는 공중보건위기에서 치료·방역인력은 감염병 대응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본 연구에서는 치료·방역인력의 직무소진과 이직의도, 스트레스의 수준을 확인하고, 그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경기도에 소속된 공공병원, 민간병원의 간호사, 의사 등의 의료인과 보건소 공무원 등 코로나19에 투입되는 치료·방역인력을 대상으로 2020년 7월에 온라인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분석에 활용된 응답의 수는 599명이었다. 수집된 응답자의 데이터에 대해 기술 통계량과 상관분석, 분산분석, 그리고 다중회귀 분석이 수행되었다. 분산분석 결과, 직종과 코로나19 확진자와의 접촉 근무 여부에 따라 직무소진(Burnout), 이직의도(Turnover Intenion), 스트레스(Stress)에 차이가 유의했다.

분석 결과, 코로나19 확진자와 미접촉 근무하는 보건소 공무원의 직무소진이 가장 높았고(p<0.001), 간호사의 이직의도가 가장 높았으며(p<0.001) 스트레스는 보건소 공무원이 다른 직종보다 높은 것이 나타났다(p=0.001). 다중회귀분석 결과 여성이 남성보다 스트레스를 더 많이 경험하였고, 연령은 직무소진과 스트레스와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배우자가 있는 응답자의 경우 직무소진이 더 낮았고, 코로나19 확진자와 접촉하여 근무하지 않는 응답자가 직무소진이 더 높게 나타났다. 업무 과부하 등 직무요구는 직무소진(β=0.19, p<0.001), 이직의도,(β=0.45, p<0.001) 스트레스(β=0.25, p<0.001)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조직지원인식 등의 직무자원은 직무소진(β=-0.2, p<0.001), 이직의도(β=-0.27, p<0.001), 스트레스(β=-0.14, p=0.001)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개인적 자원에서는 주관적 건강인식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직무소진의 세부영역에서 업무 과부하 등의 직무요구는 감정고갈(β=0.17, p<0.001)과 냉소주의(β=0.28, p=0.007) 뿐만 아니라 전문 효능감(β=0.26, p=0.006)에도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치료‧방역인력의 개인적 특성과 더불어 직무요인을 함께 분석함으로써 치료‧방역인력의 직무실태를 파악하고자 했다는 의의가 있다. 코로나19로 야기된 공중보건위기가 장기간 지속되는 상황 속에서 조직 수준에서의 코로나19 치료·방역인력의 특성을 고려한 지원과 더불어 코로나19 업무 관련 직무요구를 감소시키고 직무자원을 높이는 등의 효과적인 인력관리가 필요하다.
-
dc.description.abstractIn the public health crisis, a trend of the novel coronavirus infectious disease (COVID-19), healthcare workers (HCWs) play a key role in responding to infectious disease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HCWs who worked in the middle of the COVID-19 situation, including medical personnel from public, private hospitals including nurses, doctors, and public health officials, to identify their burnout, turnover intention, and stress in July 2020. 599 of healthcare workers responsed to the survey.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test, ANOVA and multivairate regression were performed with the data. Results showed that public health officers who were in contact with confirmed patients reported higher burnout score, nurses showed higher turnover intention score than other HCWs.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significant difference in burnout, turnover intention, and stress were reported among their jobs and whether they worked in contact with the COVID-19 confirmed patients. Women experienced higher stress level, and age ha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burnout and stress. HCWs who live with spouse showed lower burnont, and those who did not work in contact with the COVID-19 confirmed cases showed higher burnout. Job demands such as work overload had a significant impact on burnout(β=0.19, p<0.001), turnover intention(β=0.45, p<0.001), and stress(β=0.25, p<0.001), and job resources such as job control,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or support from colleagues had negatively impact on burnout(β=-0.2, p<0.001), turnover intention(β=-0.27, p<0.001), and stress(β=-0.14, p=0.001). Perceived health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ersonal resources.
This study tried to figure out the job status of HCWs in COVID-19 situation with personal factors and job factors, including job demands and job resources. In the long-term public health crisis caused by the COVID-19, it is necessary to effectively manage and support HCWs through differential support according to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COVID-19 HCWs at the organizational level, as well as reducing job demands and increasing job resources.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3
II. 문헌 고찰 4
1. 직무요구-자원 모형 이전의 이론들 4
2. 직무요구-자원 모형 9
3. 직무요구, 직무자원, 개인적 자원 14
4. 직무소진, 이직의도, 주관적 건강인식 16
III. 연구 방법 22
1. 연구설계 및 연구가설 21
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22
3. 측정 도구 23
IV. 연구 결과 29
1. 대상자의 인구학적 특성과 직무 특성 29
2. 측정변수의 특성 30
3. 변수 간 상관관계 31
4. 분산분석 34
5. 다중회귀분석 36
V. 논의 43
1. 연구결과에 대한 고찰 43
2. 연구의 의의 및 한계 46
VI. 결론 및 제언 51
Abstract 53
참고문헌 55
-
dc.format.extentiii, 68-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코로나19-
dc.subject직무요구-
dc.subject직무자원-
dc.subject이직의도-
dc.subject직무소진-
dc.subject스트레스-
dc.subject.ddc614-
dc.title코로나19 치료·방역인력의 직무요구, 직무자원이 직무소진, 이직의도,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dc.title.alternativeEffects of Job Demands and Job Resources on COVID-19 Healthcare Workers Burnout, Turnover Intention, and Stress-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Yeonhoon Jang-
dc.contributor.department보건대학원 보건학과(보건정책관리학전공)-
dc.description.degreeMaster-
dc.date.awarded2021-02-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64876-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4▲000000000050▲000000164876▲-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