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SSI수업에서 과학교사들은 어떻게 정보를 탐색하는가 : How Science Teachers Search for Information in SSI Lessons
고등학교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천지은

Advisor
송진웅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SSI 교사교육SSI 정보탐색정보 판단과 신뢰SSI teacher educationSSI information searchjudging and trusting information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범대학 과학교육과(물리전공), 2021. 2. 송진웅.
Abstract
Science-related socio-scientific issue (SSI) lessons are helpful for developing the ability to make decisions on various issues, which is required in modern society. In general,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are applied to SSI, and the topic and content of SSI lessons are unstructured. Therefore, science teachers have difficulty understanding the science content of SSI and organizing learning materials for SSI lessons (Lee et al., 2006). Thus, it is necessary to take note of how science teachers conducting SSI lessons search for information related to SSI despite the complexity and difficulty of SSI lessons.
This study examined the process science teachers conducting SSI classes take in searching for science information while preparing for the lessons. Four high school teachers with different major, age, gender, and SSI class experience were recruited as participants for this study, and the entire process of SSI lessons from the beginning of class preparation to class implementation was carefully examined. SSI lessons reflect a variety of lesson goals and beliefs of the teachers. Therefore, a qualitative research in the form of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each teacher's information search process in detail. In addition, the teaching materials made by the teachers, instructional materials, searched sites, and other literature were reviewed for reference.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searched for information in accordance with the SSI lesson goals. The common goal was to connect students' lives with the science lesson. The goals of the respective teachers were to cultivate decision-making skills given consideration to various perspectives, to recognize the value of science and technology, to improve science learning effect and self-efficacy, and to enhance critical thinking skills. The science teachers searched for information on several controversial stances on SSI, interesting technologies and examples that may attract students' attention, and information on broad socio-scientific contents.
Second, the information sources mainly used by the teachers and the grounds for their judgement of science information were as follows. The information sources were human resources, online mass media, online press media, online academic media, public institutions, and publications. When making a judgement about science information, the science teachers considered the authenticity and ethics of the information as the base factors of trust. In addition to the trust factor, other factors such as lesson suitability, convenience of information search and social concerns were also considered in selecting information.
Third, the science teachers differed in terms of trust in science information and attitude toward information search. Teacher A was uncritical about science information, and Teacher B, while trusting science information, judged that the authenticity of the information should be determined with a critical eye during information search. Teacher C also judged that science information should be trusted and gathered in abundance. Teacher D had no trust in science information itself and showed a doubtful attitude in the ability to gather and judge information.
Fourth, the teachers' perception of science information was revealed in their teaching strategies for information search and especially influenced the students' information search activities. Teachers A and C, who had relatively little distrust of information, encouraged students' information search activities. On the other hand, teachers B and D discouraged students' information search activities. Teacher B personally found all the information and provided them to the students, and Teacher D used a book by a reliable author, who abundantly presented scientific evidence.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drawn from the findings. First, the level of scientific knowledge of the science information found by teachers varies widely from science textbooks to academic papers. The teachers had different perceptions of the level of scientific knowledge necessary to conduct SSI lessons. This difference in perception was influenced by the SSI goals respectively established by the teachers. The more the goals were based on science learning, the higher the knowledge level of the information. Second, teachers' personal experiences and perception of science information influence their choice of and trust in information sources and science information. Personal experience especially had a considerable effect on the selection of information sources. For example, the teachers' trust and distrust of YouTube and science articles were contradictory. The teachers with extensive experience in information search gave more consideration to the intent and context of information, but such extensive experience did not affect their trust. Third, teachers' human resources and prior knowledge of SSI lessons influence their support for students' information search activities. The teachers, who were capable of cooperation with their human resources, took the process of information sharing and information verification, and their prior knowledge of SSI lessons had an effect on adopting a permissive attitude toward student information search activities in SSI lessons.
In the cases discussed in this study, the four science teachers showed great differences in the course of conducting SSI lessons, from the SSI lesson goals and criteria for selecting information sources and science information to supporting students' information search activities and teaching strategies. These differences suggest that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eaching strategies for SSI classes and that a teacher's implementation agency is important in SSI classes. In addition, for the spread of SSI classes, the need for supporting science information that are presented at various levels could be discussed for science teachers who lack human resources such as a teacher community. In providing such information, consideration could be given to teachers' intent, judgement, and instructional characteristics that were elucidated in this study.
과학관련 사회적 쟁점(socio- scientific issue, SSI)수업은 현대사회에서 요구하는 다양한 쟁점에 대한 의사결정 능력을 키우는 데 도움을 준다. 대체로 SSI는 첨단 과학기술이 적용되며, SSI수업은 그 주제와 내용이 비구조화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과학교사들은 SSI의 과학내용의 이해와 SSI수업에서의 학습자료의 구성에 어려움을 가진다(Lee et al., 2006). 따라서 SSI수업이 가지는 복잡성과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SSI수업을 실행하는 과학교사들이 어떻게 SSI와 관련된 정보탐색을 하는지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SSI lessons 을 하는 과학교사들이 수업준비를 하면서 과학정보를 탐색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전공, 나이, 성별, SSI수업 경력이 서로 다른 4명의 고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수업준비 시작부터 수업을 실행까지의 과정을 탐구하았다. SSI수업에는 교사들의 다양한 수업목표와 신념이 반영된다. 그래서 교사 각각의 정보탐색 과정을 자세히 알아보기 위해 심층 면담 형식의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외에도 교사들이 제작한 교재, 수업자료, 검색한 사이트와 문헌 등도 참고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SSI수업 목표에 의해 정보를 탐색하였다. 공동 목표는 학생의 삶과 과학수업을 연결하는 것이다. 교사들 각각의 목표는 다양한 관점을 고려한 의사결정 능력 함양, 과학과 과학기술의 가치 인식, 과학 학습 효과와 자아효능감 증진, 비판적 사고력 신장이었다. 과학교사들은 SSI에 대하여 논쟁이 될 만한 여러 입장들에 대한 정보, 흥미롭고 학생들이 관심을 가질 만한 기술과 사례들, 사회적이고 폭넓은 과학 내용에 대한 정보를 찾았다.
둘째, 교사들이 주로 활용한 정보원과 과학정보 판단 근거는 다음과 같다, 정보원은 인적 자원과 온라인 대중매체, 온라인 언론매체, 온라인 학술매체, 공공기관, 출판물이었다. 과학교사들이 과학정보를 판단할 때 신뢰하는 근거 요소들은 정보의 진위성과 윤리성이었다. 정보의 선택은 신뢰 요소 외에도 수업 적합성과 정보탐색의 용이성, 사회적 관심사 반영 등을 고려하였다.
셋째, 과학교사들이 과학정보에 대한 신뢰도와 정보탐색의 태도에서 차이를 보였다. A교사는 과학정보에 대하여 무비판적이었으며, B교사는 과학정보를 신뢰하지만 비판적으로 정보탐색에서 진위를 가려야 한다고 판단했다. C교사도 과학정보를 신뢰하고 정보를 많이 수집해야 한다고 판단했다. D교사는 과학정보 자체에 대하여 신뢰하지 않았으며 정보의 수집과 판별 능력에서도 회의적인 태도를 보였다.
넷째, 교사들의 과학정보 인식은 정보탐색에 대한 교수전략으로 나타났다. 먼저, 학생들의 정보탐색 활동에 영향을 미쳤다. 상대적으로 정보에 대한 불신이 적은 A교사와 C교사는 학생들의 정보탐색 활동을 독려한 반면, B교사와 D교사는 학생들의 정보탐색 활동을 지양하였다. B교사는 교사가 모든 정보를 찾아서 학생들에게 제공하였으며 D교사는 신뢰하는 저자가 과학근거 자료를 풍부하게 제시한 책을 활용하였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이 찾은 과학정보의 과학지식 수준은 과학교과서부터 학술 논문까지 큰 차이를 보인다. 교사들은 SSI수업을 하기 위해 필요한 과학지식 수준에 대하여 서로 다른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교사들의 SSI목표가 영향을 미쳤는데 과학학습에 기반할수록 정보의 수준이 높아졌다. 둘째, 교사들의 개인경험과 과학정보에 대한 인식이 정보원, 과학정보의 선택과 신뢰에 영향을 미쳤다. 특히, 정보원의 선정에 있어서 개인경험이 미치는 영향이 컸는데 유튜브와 과학기사 같은 경우 교사의 신뢰와 불신이 상반되게 나타났다. 정보탐색 경험이 많은 교사들은 정보의 의도와 맥락을 더 고려하였으나 신뢰에 영향을 주지는 않았다, 셋째, 교사들의 인적 자원과 SSI수업에 대한 사전 지식은 학생들의 정보탐색 활동 지원에 영향을 미쳤다. 인적 자원이 있어 협력이 가능한 교사들은 정보의 공유와 정보의 검증 과정을 가졌으며, SSI수업에 대한 사전 지식은 SSI과정에서 학생 정보탐색 활동에 대하여 허용적인 태도를 갖는데 영향을 끼쳤다.
본 연구에서 밝힌 사례에서 네 명의 과학교사는 SSI수업 목표에서부터 정보원과 과학정보의 선택 기준, 학생 정보탐색활동 지원과 교수전략에 걸쳐 많은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차이는 SSI수업에서 교수 전략이 일반화되기 어려움을 시사하기도 하며, SSI수업은 교사들의 실행 주체성이 중요함을 시사하기도 한다. 또한, SSI수업 확산을 위해 교사 공동체 등의 인적 자원이 없는 과학교사들을 위해 다양한 수준에서 풍부하게 제시되는 과학정보 지원의 필요성을 논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정보 제공에 있어 본 연구에서 밝힌 교사들의 의도와 판단, 수업의 특성이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6600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574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