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과학탐구실험 과목의 세부평가기준 특성 분석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Detailed Assessment Criteria for Scientific Inquiry Experiment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Method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고의준

Advisor
유준희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과학탐구실험성취기준언어 네트워크 분석세부평가기준탐구 기능 요소학생 평가Scientific inquiry experimentsachievement criterialanguage network analysisdetailed evaluation criteriaInquiry functional elementsStudent Assessment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범대학 과학교육과(물리전공), 2021. 2. 유준희.
Abstract
2015 개정 교육과정이 도입되면서 과학탐구실험 과목이 신설된 이후, 다방면의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보다 구체적인 교사의 어려움에 관한 연구가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과학탐구실험 과목의 세부평가기준의 특징을 확인하여 평가와 교사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절대평가가 도입된 2019학년도의 전국 국‧공립 고등학교 과학탐구실험 과목의 평가계획서를 수집하고, 세부평가기준에 대해 단원별, 성취기준별로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진행하고 네트워크 구조를 내용, 맥락, 과정, 태도 4개 영역의 틀로 해석하였다.
단원별 세부평가기준을 분석한 결과 교육과정 문서상에 제시된 요소들이 고루 반영되어 있지 않았다. 내용 요소 중에는 과학의 본성, 연구 윤리, 선조들의 첨단 과학이 누락 되었으며, 맥락 차원과 과정 차원에서는 일부 요소를 제외하면 교육과정 문서에 제시된 대부분의 요소가 평가계획에 반영되었다. 반면, 태도 차원의 요소는 교육과정 문서에 제시된 과학적 태도, 흥미와 호기심 등이 모두 평가계획에서 누락 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성취기준별 세부평가기준을 분석한 결과 각 성취기준에 제시된 모든 요소가 고루 반영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으며 15개 성취기준 중 4개 성취기준을 제외하고 모두 누락 된 요소가 확인되었다. 특히, 한 개의 성취기준에 여러 개의 과정 요소가 제시된 경우 특정 과정 요소에 치중된 평가계획이 수립되었으며, 정의적 요소, 의사소통 요소 등 태도 차원에 해당하는 요소들도 모두 평가계획에 누락 되었다. 세부평가기준에 포함된 탐구 기능 요소의 특징을 분석한 결과, 탐구 설계와 수행, 자료의 수집·분석 및 해석, 결론 도출 및 평가에 치중되어 평가계획이 수립되었다. 또한, 위 3개의 기능 요소만이 연계되어 평가계획에 반영되었으며, 문제 인식, 증거에 기초한 토론과 논증, 모형의 개발과 사용과 같은 요소들은 상호 연계되지 못하고 분절적으로 반영되어 있었다.
종합하자면, 교육과정 문서상에 제시된 요소들이 충분히 평가계획에 반영되지 않고 있었으며, 특히 내용 차원과 태도 차원의 요소들이 평가계획에 충분히 반영되지 않았다. 내용 차원은 교육과정 문서에 제시된 핵심 개념에 해당하기 때문에 누락 되는 요소 없이 평가계획에 모두 반영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태도 차원의 경우 정의적 요소에 대한 평가의 어려움으로 인해 평가계획에 반영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므로 이를 지원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탐구 기능 요소의 각각의 요소가 따로 평가되기보다는 학생들이 탐구의 전체적인 흐름을 학습할 수 있도록 일련의 과정을 통해 연계되어 평가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공개된 평가계획서만으로 연구를 진행하였기에 실제로 이루어진 평가의 내용을 모두 파악하지 못하였으며, 국‧공립 고등학교에 대해서만 분석을 진행하였기 때문에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는데 한계점을 갖고 있다. 본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전국 모든 고등학교의 평가기준을 대상으로 하는 분석과 과학탐구실험 과목의 담당 교사의 인터뷰 등과 같은 질적 분석을 동반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As core competencies were emphasiz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emphasis on course-oriented evaluation, the newly introduced science exploration experimental subjects were expected to play a complementary role with concept-oriented science subjects. However, there was a lack of research on how assessments were being made in science exploration subject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detailed evaluation criteria of science exploration experimental subjects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 status of evaluation in the absolute evaluation system an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valuation criteria. To this end, evaluation plans for 2019 science exploration experiments of national and public high schools were collected and detailed evaluation criteria were analyzed by unit and achievement criteria, and the network structure was interpreted as a framework for 4 areas of content, context, process, Attitud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etailed evaluation criteria for each unit, the evaluation was focused on some of the key concepts and content elements presented in the curriculum. Analysis of detailed evaluation criteria for each achievement standard revealed that all factors presented in each achievement standard were not evaluated evenly.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6601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618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