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기후변화 SSI-STEAM수업에서 나타난 교사의 실천적 지식 : A Teacher's Personal Practical Knowledge in SSI-STEAM Classrooms Dealing with Climate Change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원아랑

Advisor
김찬종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실천적 지식과학교사기후변화SSI-STEAM수업Science TeacherClimate ChangeSSI-STEAM ClasPractical Knowledge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범대학 과학교육과(지구과학전공), 2021. 2. 김찬종.
Abstract
Teachers do not simply deliver a set of teaching knowledge, but rather are engaged in classes based on practical knowledge reconstructed by their own values, beliefs, situations and experiences. Therefore, it is meaningful to look at the practical knowledge of the teacher who conducts the class in terms of orientation, structure, and content in depth to understand the teacher's knowledge, conflict, and trial and error in the class. In this study, we sought to explore the practical knowledge of a teacher conducting SSI-STEAM classes under the theme of climate change, which is a risk and a result of a dangerous society caused by human greenhouse gas emissions.
SSI-STEAM classes can engage students in controversial topics in society based on rich real-world cases and allows them to look at many of the interests and solutions involved in issues in a variety of academic domains. Looking at the practical knowledge of the teacher conducting classes in a new context, climate change SSI-STEAM classes, will provide many implications for future SSI-STEAM classe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 First, we identify the teacher' practical knowledge of conducting climate change SSI-STEAM classes in terms of orientation, structure, and content. Second, we explore the conflicts that emerged in the Climate Change SSI-STEAM class and what practical knowledge has influenced in resolving those conflicts.
For the study, one earth science education professor and two earth science teachers under a master's course together developed the first climate change SSI-STEAM class, and the participating teacher finally reconstructed and conducted classes based on his practical knowledge. In the process, class videos, teacher interviews, teacher's teaching materials, and class impressions were collected, and practical knowledge of teachers was analyzed in terms of orientation, content and structure based on the Constant comparison metho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 reconstructed climate change classes, influenced by experiential orientation based on three years of university volunteer club activities, and by the social orientation of recognizing the need for action-oriented classes through teacher evaluation, teacher training, and various lectures. Classes were conducted with five images under the theme of climate change: 'Guide', 'Climate Change Associated with Various Subjects', 'Cooperative and Comfortable School Environment', 'Classes Tailored to the Eye Level' and ' Personal Action to Cope with Climate Change'. Second, the teacher expressed a conflict between his belief in the science class and climate change class goals in the process of reconstructing the climate change class, and was able to organize the class and resolve the conflict in a way that could foster students' personal will to cope with climate change, influenced by his practical knowledge. In addition, a conflict emerged between the continuous interaction with students and the goal of finding a direction for action to respond to climate change within a limited class time. The teacher tried to secure class time as much as possible by utilizing his practical knowledge, but he could not continue to interact with the students and deeply seek various measures with the students to cope with climate change.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premise that exploring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can provide the most in-depth look into teachers' practice. Therefore, we were able to look closely at how the teacher organizes the climate change class and how he leads the action of the students in the action-oriented class through the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This is meaningful that unlike previous studies that have explored only some aspects of practical knowledge that science teachers have so far, we have analyzed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in depth according to orientation, content and structure in the context of the climate change SSI-STEAM class and looked at conflicts between them. In addition, we expect that this study, which examines the practical knowledge of a novice teacher, will serve as the first step in narrowing the gap between preliminary teacher education and school sites for SSI-STEAM education.
교사는 정해진 교과 내용을 단순히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가치관, 신념, 상황 및 경험에 의해 구성된 실천적 지식에 근거하여 수업을 실행해 나간다. 따라서 수업을 실행하는 교사의 실천적 지식을 정향, 구조, 내용의 측면에서 살펴보는 것은 수업에 반영된 교사의 지식, 갈등 및 시행착오에 대하여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간의 온실가스 배출로 인해 만들어진 위험이자 위험사회의 결과인 기후변화를 주제로 SSI-STEAM수업을 실행하는 교사의 실천적 지식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SSI-STEAM수업은 풍부한 실제 사례를 바탕으로 학생들을 사회에서 논쟁의 여지가 있는 주제에 참여시킬 수 있으며 쟁점에 얽혀있는 많은 이해관계와 해결 방안을 다양한 학문적 영역에서 살펴 볼 수 있게 해준다. 이와 같이 기후변화 SSI-STEAM수업이라는 새로운 맥락의 수업을 실행하는 교사의 실천적 지식을 살펴보는 것은 향후 SSI-STEAM수업에 많은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다룬 주요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후변화 SSI-STEAM수업을 실행하는 교사의 실천적 지식을 정향, 구조, 내용의 측면에서 규명한다. 둘째, 기후변화 SSI-STEAM수업에서 나타난 갈등과 그 갈등을 해결하는데 영향을 미친 실천적 지식이 무엇인지 탐색한다.
연구를 위하여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지구과학교육과 교수 1인과 석사과정 중인 지구과학교사 2인이 함께 기후변화 SSI-STEAM수업을 1차로 개발하였으며, 연구 참여 교사가 자신의 실천적 지식에 근거하여 최종으로 재구성하고 수업을 실행하였다. 그 과정에서 7차시의 수업 영상, 교사 면담, 교사의 수업 자료, 수업 소감문이 수집되었으며 반복적 비교 분석법(constant comparison method)에 근거하여 교사의 실천적 지식을 정향, 구조, 내용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교사는 다양한 교과 수업을 재구성하고 실행했던 3년 동안의 대학봉사 동아리 활동에 기반한 경험적 정향과 교원평가, 교사연수, 다양한 강의를 통하여 실천 지향의 수업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게 된 사회적 정향에 영향을 받아 기후변화 수업을 재구성하였으며 인도자, 다양한 교과와 연관된 기후변화, 협력적이고 편안한 학교환경, 눈높이에 맞춘 수업, 개인적 실천의 5가지 이미지를 가지고 수업을 실행해 나갔다. 둘째, 교사는 기후변화수업을 재구성하는 과정에 있어서 과학수업에 대한 신념과 기후변화 수업 목표 사이의 갈등을 나타냈으며 자신의 실천적 지식의 원리에 영향을 받아 학생들이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개인적 실천 의지를 키울 수 있는 방향으로 수업을 구성하고 갈등을 해결해나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한정된 수업 시간 안에서 학생들과의 지속적 상호작용과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실천의 방향 모색이라는 수업 목표 사이의 갈등이 나타났다. 교사는 자신이 가진 실천적 지식을 활용하여 최대한 수업시간을 확보하고자 노력하였지만 학생들과 지속적으로 상호작용하지 못하고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실천 방안을 모색하는 토의 활동에서 학생들의 다양한 의견 공유를 이끌어내지 못했다. 교사는 수업 소감문에서 이에 대하여 아쉬움을 표현하며 향후 학생들과의 상호작용에 중점을 두고 학생들의 요구에 맞는 과학 수업을 하겠다는 계획을 밝히는데 이를 통해 교사는 갈등 속에서 자신의 실천적 지식을 조정해나감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교사의 실천적 지식을 탐색하는 것이 교사의 수업 실행을 가장 심도 있게 들여다볼 수 있다는 전제 아래서 연구를 수행하였다. 따라서 교사가 기후변화 수업을 어떻게 구성하고, 실천 지향의 수업에서 학생들의 어떠한 행동을 이끌어내는지 교사의 실천적 지식을 통해 면밀하게 살펴볼 수 있었다. 이는 지금까지 과학교사가 가진 실천적 지식의 일부 양상만을 탐색한 이전의 연구와는 달리 기후변화 SSI-STEAM 맥락에서 교사의 실천적 지식을 정향, 내용 및 구조에 따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그 사이의 갈등을 살펴보았다는데 의의가 있다. 더불어 교직 전반에 대한 이미지를 만들고 결정적 시기라 할 수 있는 초임교사의 실천적 지식을 살펴본 이 연구가 SSI-STEAM교육을 위한 교사교육과 학교현장 사이의 간극을 줄이는데 단초가 되기를 기대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6612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467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