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서울대 최우수 학생의 학업 적응과정 연구 : The Academic Adjustment Process of the Best Student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알뜨리

Advisor
김동일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서울대 학업 최우수 학생학업 적응학업상담근거이론The Best student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Academic AdjustmentAdjustment ProcessAcademic CounselingGrounded Theory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범대학 교육학과(교육상담전공), 2021. 2. 김동일.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d understand the process of adjustment to university and the factors influencing this process through a certain process by which SNU's best academic students go through after admission.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do students with the best grade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experience in the academic adaptation process, and how is the process?
Second, what ar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academic adjustment process of students with the best grade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Third, what are the types of academic adjustment process of students with the best grade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To achieve this goal, the researcher recruited 17 of the best students with a grade point score of at least a certain level (Humanities 4.0, Science and Engineering 3.8 or higher) among students enrolled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conducted personal interviews.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participants were studied and analyzed using the procedure proposed by Strauss & Corbin (1990, 1998) the grounded theory approaches.
Results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ategorizing the interview data through an open coding process, 101 concepts, 45 subcategories, and 23 categories were derived.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ategories based on the paradigm of grounded theory, the central phenomenon was facing realistic anxiety'.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even the best student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face realistic anxiety in the process of adjusting to school at university. The causal conditions that cause these central phenomena were experience unfamiliar freedom', expectations for college study-inconsistency in reality', new academic style is confused', swept in the atmosphere' and A feeling of atrophy'. The context that affects the above-mentioned central phenomenon and at the same time serves as the background of the whole paradigm was presented aslook from the outside' andthe atmosphere within the school that demands a high level'. The best student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seemed to feel burdened with social expectations and fantasies toward Seoul National University student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realistic anxiety was further increased in the process of being aware of competitors who strive to meet the high expectations of professors and study intensely. Among these, the intervening conditions that influenced Seoul National University's best students to adjust to school were goal-related attitude', academic-related attitude', problem coping strategy', anxiety level', and personality'. Under the influence of these intervening conditions,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were presented as to take the initiative of change by turning my eyes from the periphery', Setting a goal to catch the center', To learn my own learning method by hitting and breaking myself', doing my own method' and doing my bes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rocess over time, the academic adaptation process of the best student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is the 7th stage of change awareness, anxiety confrontation, initiative selection, goal setting, execution and trial and error, establishment, stability and reflection. Consequences from this process resulted instrong external rewards', self-directed learning habits', inner satisfaction', still persistent anxiety', and self-reflection'. As a result of arranging the repetitive relationship between each category by type, the academic adaptation types of the best student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we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Each type was found to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whether the specificity of career goals' was high or low, and whether the degree of internalization of the meaning of academics' was high or low.
Third, the core category of the academic adaptation process of the best student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was the process of turning to self in the face of change and anxiety and taking the center through study.
Fourth, six hypotheses related to the academic adaptation of the best student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were generated as a result of continuously compa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entral phenomenon, causal condition, contextual condition, interventional condition, action/interaction.
Fifth, SNU's best students think that the meaning of adapting to study at university means being able to cope with new demands to some extent, and broadly refers to being able to self-directed academic performance and control. Furthermore, it was found that the center of life was self, and it included all stages of preparation for one's career and self-realization. This refers to a state in which it is possible to pursue studies and other activities according to the priorities of one's life. In this regard, it was found that among the best student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students who have high grades but feel that they are not studying independently, or that students without career goals feel that they are still adjusting to their studies.
Last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n intervention plan and follow-up study were proposed for the best student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knowledge and information on the academic adaptation process by in-depth exploration of the psychosocial experiences of the best students in their studies.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able to better understand college students who have difficulty in the process of adjusting to school in the early stages of admission and provide basic data to help them prepare a college-level intervention plan.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that even though the grades are high, subjective experiences may differ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thus, it has provided implications for practical intervention to help the growth of the best students in academic achievement.


□ Key words : The Best student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Academic Adjustment, Adjustment Process, Academic Counseling, Grounded Theory

□ Student Number : 2015-31123
본 연구는 서울대 학업 최우수 학생들이 입학 이후에 어떤 과정을 거쳐 학업에 적응 과정 및 이 과정에 작용하는 요인들을 탐색해보고 이해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대 성적 최우수 학생들은 학업 적응과정에서 무엇을 경험하며, 그 과정은 어떠한가? 둘째, 서울대 성적 최우수 학생들의 학업 적응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셋째, 서울대 성적 최우수 학생들의 학업 적응과정에서 나타나는 학업 적응유형은 무엇인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1·2학년 4학기 가운데 학점이 일정수준 이상(인문계 4.0, 이공계 3.8이상)이 되는 서울대 최우수 학생 17명의 자원자를 모집하여, 개별 면담을 실시하였다. 참여자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Strauss & Corbin(1990, 1998)이 제안한 근거이론 접근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방코딩(open coding) 과정을 거쳐 면접 자료를 범주화한 결과 101개의 개념, 45개의 하위범주, 그리고 23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둘째, 근거이론의 패러다임에 의거해 범주들 간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중심 현상은 현실적 불안감의 직면하기로 나타났다. 즉, 서울대 학업 최우수 학생들의 경우에도 대학에서의 학업 적응과정에서 현실적인 불안감에 직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중심 현상의 원인이 되는 인과적 조건(Casual conditions)으로는 낯선 자유를 경험, 대학 공부에 대한 기대-현실 불일치, 새로운 학업 방식이 혼란스러움, 분위기에 휩쓸림, 주변과 비교하며 위축감을 느낌으로 도출되었다. 위에서 언급한 중심 현상에 영향을 미치면서 동시에 패러다임 전체의 배경이 되는 맥락(Context)은 외부에서 바라보는 시선, 높은 수준을 요구하는 학내 분위기로 나타났다. 서울대 최우수 학생들은 서울대 학생에 대한 사회적인 기대감과 환상에 대해 부담감을 느끼는 것으로 보였다. 또한 서울대 안에서는 교수자의 높은 기대 수준을 충족시키기 위해 애쓰고 치열하게 공부하는 경쟁자들을 의식하는 과정에서 현실적인 불안감이 더욱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가운데 서울대 최우수 학생들이 학업 적응을 해 나가는데 영향을 미친 중재적 조건(Intervening conditions)은 목표 관련 태도, 학업 관련 태도, 문제 대처 전략, 불안 수준, 성격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중재적 조건의 영향으로 참여자들은 주변에서 눈을 돌려 변화의 주도권을 가져오기, 중심 잡기를 위한 목표 정하기, 직접 부딪치고 깨지면서 나만의 학습 방법 터득하기, 자기만의 방법 실행하기, 최선을 다하기의 작용/상호작용(Action/Interaction Strategies)을 나타내었다. 시간의 흐름에 따른 과정 분석을 통해, 서울대 학업 최우수 학생들의 학업 적응과정은 변화 인지 단계, 불안 직면 단계, 주도적 선택 단계, 목표 설정 단계, 실행 및 시행착오 단계, 확립 단계, 안정 및 반성 단계의 7단계 과정으로 요약되었다. 이러한 과정의 결과(Consequences)는 강력한 외적 보상, 자기 주도적 학습 습관, 내적 만족감, 여전히 지속되는 불안, 자기 성찰하기로 나타났다. 각 범주 간에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관계를 유형별로 정리한 결과 서울대 학업 최우수 학생들의 학업 적응유형은 4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각각의 유형은 진로 목표의 구체성이 높은지 낮은지에 따라, 학업의 의미에 대한 내재화 정도가 높은지 낮은지에 따라 그 특징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서울대 최우수 학생들의 학업 적응 과정의 핵심 범주는 변화와 불안에 직면하여 자기에게 눈을 돌려 학업을 통해 중심을 잡아가는 과정으로 요약되었다.
넷째, 면담 자료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드러난 중심 현상과 인과적 조건, 맥락적 조건, 중재적 조건, 작용/상호작용과 결과 간의 관계를 자료와 지속적으로 비교한 결과, 서울대 학업 최우수 학생들의 학업 적응과 관련된 가설들이 형성되었다.
다섯째, 서울대 최우수 학생들이 생각하는 대학에서의 학업 적응의 의미는 좁게는 새로운 요구에 어느 정도 대처할 수 있게 되는 것을 말하며, 보다 넓게는 자기 주도적으로 학업을 수행할 수 있고 조절해나갈 수 있는 것을 말한다. 더 나아가서는 삶의 중심을 자기로 두고 자신의 진로 및 자아실현을 준비할 수 있는 단계까지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신의 삶의 우선순위에 따라 학업과 다른 활동을 병행해나가는 것이 가능한 상태를 말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서울대 학업 최우수 학생들 가운데 학점은 높지만 주체적으로 공부하고 있지 못하다고 느끼거나, 진로 목표가 없는 학생들은 학업 적응에 대해서 여전히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서울대 학업 최우수 학생들에 대한 상담에서의 개입 방안과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학업 최우수 학생들의 학업 적응과정에서의 심리사회적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색하여 학업 적응과정에 대한 지식과 정보를 제공해주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입학 초기 학업 적응과정에서 어려움을 겪는 대학생들을 이해하고 이들에 대한 대학 차원의 개입 방안을 마련하는데 도움이 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학점이 높더라도 개인의 특성에 따라서 주관적인 경험은 다를 수 있음을 밝혀내어, 학업 최우수 학생들의 성장을 돕기 위한 실질적인 개입방안에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주요어 : 서울대 학업 최우수 학생, 학업 적응, 학업상담, 근거이론
학 번 : 2015-31123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6642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580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