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완벽주의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Perfectionism on Depression : The Differential Mediating Effects of Abstract and Concrete Repetitive Thinking
추상적, 구체적 반복사고의 차별적 매개효과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창대-
dc.contributor.author정소담-
dc.date.accessioned2021-11-30T06:48:56Z-
dc.date.available2021-11-30T06:48:56Z-
dc.date.issued2021-02-
dc.identifier.other000000164625-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76646-
dc.identifier.uri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4625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범대학 교육학과(교육상담전공), 2021. 2. 김창대.-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개인기준 완벽주의와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두 반복적 사고의 처리과정 방식이 차별적 매개효과를 지니는지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만 18세 이상 성인 56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Frost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 한국판 반복적 사고 질문지, Zung 우울척도 응답 자료를 수집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해 연구모형의 모형의 적합도와 경로계수의 유의성을 검증하였으며, 팬텀변수를 활용한 부트스트래핑을 적용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개인기준 완벽주의가 우울에 이르는 경로에서 추상적-분석적 반복사고와 구체적-경험적 반복사고가 차별적 매개효과를 나타낸다는 연구모형 1의 적합도는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기준 완벽주의에서 각 처리과정 방식에 이르는 경로가 모두 유의했으며, 두 처리과정 방식을 통한 매개효과 역시 유의하였다. 즉, 개인기준 완벽주의 성향이 높을수록 추상적-분석적 반복사고와 구체적-경험적 반복사고를 많이 하게 되는데, 각 사고 처리과정 방식이 우울에 상이한 영향을 미치므로 그 효과가 서로 상쇄된다.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우울에 이르는 경로에서 추상적-분석적 반복사고와 구체적-경험적 반복사고가 차별적 매개효과를 나타낸다는 연구모형 2의 적합도는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염려 완벽주의에서 추상적-분석적 반복사고에 이르는 경로만 유의했으며, 구체적-경험적 반복사고에 이르는 경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추상적-분석적 반복사고는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우울을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직접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높을수록 추상적-분석적 반복사고 많이 하고, 추상적-분석적 반복사고가 우울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개인기준 완벽주의와 우울의 관계가 일관되지 않게 보고되었던 선행연구 결과를 개인 내적 요인으로 설명할 수 있다는 데에 학술적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개인기준 완벽주의와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우울에 미치는 경로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사고처리과정 방식이라는 변인을 통해 검증했다는 점에서 상담 실제적 의의가 있다. 이는 사고의 처리과정 방식에 개입하는 것이 완벽주의 성향을 지닌 내담자의 우울 감소에 기여할 수 있으며, 이 때 완벽주의 유형에 따라 서로 다른 방식으로 개입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
dc.description.abstract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erfectionism on depression and to verify the differential mediating effects of abstract-analytic thinking and concrete-experimental thinking. For this purpose, 565 adults were surveyed based on the Frost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FMPS), Repetitive Thinking Mode Questionnaire (RTMQ), and Zungs Self-report Depression Scale (SDS)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was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Based on the first research model, personal-standard perfectionism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both abstract-analytic and concrete-experimental thinking, while having a negative effect on depression. The effect of personal-standard perfectionism on depression was differentially mediated by abstract-analytic thinking and concrete-experimental thinking.
Results from the second research model showed that evaluative concern perfectionism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abstract-analytic thinking, but not on concrete-experimental thinking. The effect of evaluative concern perfectionism on depression was fully mediated by abstract-analytic thinking.
This study shed new light on the mediating role of the two modes of repetitive thinking and the inconsistent effects of personal-standard perfectionism on depression with intrapersonal factors. It also verifies that each factor of perfectionism varies in terms of the mode of repetitive thinking that leads to depres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counselors take account of the two different factors of perfectionism when trying to change the modes of thinking of perfectionists with depressive symptoms.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문제 및 연구 가설 8

II. 이론적 배경 10
1. 완벽주의 10
1) 완벽주의의 개념 10
2) 완벽주의 2요인 모델 12
3) 완벽주의와 우울 14
2. 반복적 사고 처리과정 방식 16
1) 반복적 사고의 개념 16
2) 처리과정 방식 이론 19
3) 반복적 사고 처리과정 방식과 우울 21
4) 반복적 사고 처리과정 방식과 완벽주의 23

III. 연구방법 27
1. 연구대상 27
2. 연구도구 27
3. 연구절차 30
4. 분석방법 31

IV. 연구결과 34
1. 인구통계학적 정보 34
2. 주요 변인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34
3. 측정모형의 검증 37
4. 구조모형의 검증 41
5. 매개효과 검증 45

Ⅴ. 논 의 48


참고문헌 56

부록 70
-
dc.format.extent77-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개인기준 완벽주의-
dc.subject평가염려 완벽주의-
dc.subject추상적-분석적 반복사고-
dc.subject구체적-경험적 반복사고-
dc.subject우울-
dc.subjectpersonal standard perfectionism-
dc.subjectevaluative concern perfectionism-
dc.subjectabstract-analytic repetitive thinking-
dc.subjectconcrete-experimental repetitive thinking-
dc.subjectdepressin-
dc.subject.ddc371.4-
dc.title완벽주의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dc.title.alternativeThe Effect of Perfectionism on Depression : The Differential Mediating Effects of Abstract and Concrete Repetitive Thinking-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Jeong Sodam-
dc.contributor.department사범대학 교육학과(교육상담전공)-
dc.description.degreeMaster-
dc.date.awarded2021-02-
dc.title.subtitle추상적, 구체적 반복사고의 차별적 매개효과-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64625-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4▲000000000050▲000000164625▲-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