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A Non-technical Dimension of the Pedagogical Role of Teachers: Based on Max van Manens Phenomenological Pedagogy : 교사의 교육적 역할의 비기술적 차원: 막스 반 매넌의 현상학적 교육학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Stella Nikiko ROOSTANTO

Advisor
곽덕주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Max van ManenPedagogical RelationshipPhenomenological PedagogyPedagogical TactPedagogical ThoughtfulnessPedagogical AdultTeacher Education막스 반 매넌교육적 관계현상학적 교육학교육적 요령교육적 사려심교육적 성인교사교육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범대학 교육학과(교육학전공), 2021. 2. 곽덕주.
Abstract
Compared to their previous generations, children and young people today live in a severely fractured world full of changes, conflicts, plurality, contradictions of values, beliefs, and living conditions that make their living experiences contingent. In this study, an attempt was made to understand and explore the role of adults in a childs growth and personhood formation at present. Since the reality of these changes have also caused the erosion of parental involvement in a childs life, this study sought to identify the roles of teachers as pedagogical adults acting in in loco parentis to encounter and fulfill the needs of the younger generation in their complex lived present. This study examined the works of Max van Manen, a Dutch-born Canadian scholar who specializes in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and pedagogy.
The aims of this thesis are three-fold. The first aim is to examine the characterization of the phenomenological pedagogy to which Max van Manen subscribes. Works about phenomenological pedagogy were studied because it is critical to our understanding of Max van Manens ideas. Next, the second aim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common role with respect to children shared by teachers and parents as adults, according to Max van Manen. Third,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pedagogical teacher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found that possessing pedagogical hope, pedagogical tact, and pedagogical thoughtfulness is essential to the forming of a pedagogical teacher. Moreover, this study also found that the concept of Max van Manens pedagogical relationship can uniquely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an interactive and responsive pedagogy of field-based teacher education that is based on thoughtfulness and tact as the conceptual frameworks.
이전 세대에 비해 오늘날 아동 및 청소년은 그들의 삶의 경험을 예측할 수 없게 만드는 변화, 갈등, 다원성/복수성, 가치 및 신념과 삶의 조건의 모순으로 가득 찬 심각하게 분열된 세상에 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세상에 살고 있는 현재 아동의 성장과 인격 형성에서 성인이 해야 할 역할을 이해하고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변화와 갈등으로 가득한 이러한 현실로 인해 아동의 삶에 대한 부모의 관여가 점점 약화되거나 왜곡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어려움과 위기 속에서 살아가는 젊은 세대의 요구를 마주하고 충족시키기 위해 부모를 대신한다(in loco parentis) 는 교육적 전통 하에서 의무를 부여 받는 교육하는 성인(pedagogical adult)으로서 교사의 역할을 새롭게 확인하고자 하였다. 특히 이 연구는 현상학적 방법으로 교육학을 탐구한 네덜란드 태생의 캐나다 학자 막스 반 매넌(Max van Manen)의 교사에 대한 철학적 관점에 기초하여 그것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상술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논문이 검토한 문제는 세 가지다. 첫째, 막스 반 매넌이 옹호하는 현상학적 교육학(phenomenological pedagogy)의 핵심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것은 막스 반 매넌의 교육학적 사유를 이해하는 데 중요하기 때문이다. 둘째, 반 매넌이 말하는 교사와 부모가 성인으로서 분담하는 어린이들에 대한 공통적인 교육적 역할을 검토하였다. 이것은 그가 성인에게 부여하는 어린 세대들에 대한 교육적 역할에 대한 원칙에 입각한 교육 철학적인 관점을 이해하게 하기 때문이다. 셋째, 본 연구는 반 매넌이 말하는 '교육적' 교사의 구체적 특성을 검토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은 오늘날과 같이 복잡하고 갈등이 많은 사회를 살아갈 젊은 세대의 교육에서 교사에게 필요한 것은 특정 교과 지식에 대한 전문성 뿐만 아니라, 아이들에 대한 교육적 희망(pedagogical hope), 교육적 요령(pedagogical tact), 교육적 사려심(pedagogical thoughtfulness) 이라는 것이다. 더 나아가 이 연구는 막스 반 매넌의 교육적 관계 (pedagogical relationship) 개념이 개념적 틀로서의 사려 깊음(pedagogical thoughtfulness)과 교육적 요령(tact)에 기반한 현장 기반 교사 교육(teacher education)의 상호 반응적 교육의 형성에 독창적으로 기여할 수 있음을 보인다.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76648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577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