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맥락의 변화 속에서 집단학습에 나타난 단계적 모순인식과 생성적 학습 양상에 관한 연구 : Studying the Recognition of Stepwise Contradiction and Generative Learning Aspects in Collective Learning in the Change of Context
정론일보 편집국 사례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다슬

Advisor
한숭희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집단학습모순생성적 집단학습집단변화collective learningcontradictiongenerative collective learninggroup chang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범대학 교육학과(평생교육전공), 2021. 2. 한숭희.
Abstract
이 논문은 한 사회조직체의 집단적 자기변화를 추동하는 집합적이고 생성적인 학습과정, 혹은 줄여서 생성적 집단학습의 양상을 탐색한 연구이다. 집단적 자기변화란, 사회조직체로서의 집단이 집단을 둘러싼 환경과 조건, 즉 맥락의 변화에 대하여 스스로 내부 모순을 인식하고 구조와 형태를 바꾸어나감으로써 긍정적 방향으로 자기존재를 유지해 나가는 과정을 말한다. 이러한 변화를 이끌어 내는 학습은 일견 개인학습들의 집합으로 보이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에서는 개인학습으로 환원될 수 없는 총합성을 동반한다. 연구자는 이렇게 환원 불가능한 집단의 변화 및 적응과정을 집단학습으로 규정하였고, 이러한 집단학습이 어떤 구조와 양상으로 이루어지는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경험연구 차원에서 포착하기 위해서 먼저 심각한 환경 혹은 맥락의 변화를 경험하고 있는 공동체 조직단위를 설정할 필요가 있으며, 이 조직단위가 환경에 재적응해 나가는 과정에서 개인학습으로 환원할 수 없는 현상의 단위를 포착하고 그 양상을 기술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이런 변화를 학습 특히 집단학습으로 설명하기 위한 이론적 쟁점들을 추출하고 기존의 학습이론체계 안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일이 필요하다.
먼저, 이러한 현상을 경험적 차원에서 잘 드러낼 수 있는 사례로서 연구자는 언론사 기자공동체 집단의 변화과정에 주목하였다. 국내 전통 미디어 언론인 정론일보(가칭)의 기자공동체 집단은 수십 년간 안정적으로 작동하여 왔다. 그러나 정보통신기술의 급격한 발전을 근간으로 사회적 맥락이 변화하면서, 신문사 조직체계에 근본적인 모순이 드러나게 되었고, 전통적으로 수행되어 오던 기능에 균열이 발생하였다. 신문사의 중추가 바로 기자공동체 집단이라고 한다면, 이들이 새로운 맥락을 인식하는 방식과, 이에 대응하기 위해 변화하여 나가는 방향을 통하여 신문사의 변화를 추적 가능하다고 보았다.
실제로 연구자는 정론일보 기자공동체 집단에 대한 심층인터뷰와 참여관찰을 통해 기자공동체의 집단적, 조직적, 소통적, 체계적 변화가 개인 단위를 넘어 집단 차원에서 창발적으로 진화 혹은 자기형성해 나가는 과정을 기술해낼 수 있었다.
이러한 변화를 이론적으로 설명해내기 위해서 연구자는 성인학습 이론 가운데 특별히 집합체를 단위로 하는 변화와 학습의 양상을 다루어 온 상황학습, 활동이론과 확장학습 등을 선별하였고, 이들의 시각에서 연구자가 포착한 정론일보의 집단적 자기적응 과정을 어떻게 정합성있게 설명해 낼 수 있는지를 비판적으로 성찰하였다. 특히, 이 가운데 기존 이론들이 이 현상이 보여주는 집단학습적 차원에서의 독특성을 설명할 수 있는 관점과 개념체계를 제공해 주고 있는지에 주목하였다. 다시 말해서 맥락과 집단 사이에 발생한 균열을 집단적 차원에서 어떻게 모순으로 인식하고 변화를 추동하게 되는지, 그리고 그것을 어떻게 집합적 기억의 차원으로 창발해 내는지를 설명할 수 있는지를 성찰해보고자 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 논문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 세 가지이다. 첫째, 환경(혹은 맥락)의 변화 속에서 편집국 기자공동체 집단은 집단의 내·외부적 모순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둘째, 편집국 기자공동체 집단의 활동체계는 어떠한 단계를 거쳐 변화하였는가? 그 형태는 어떠한가? 셋째, 이러한 변화의 과정에는 어떠한 형태의 집단학습이 전개되었고, 그 학습의 양상은 어떠한가?
연구의 발견점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기존의 전통적인 기자공동체 집단은 집단-지식-학습이 순환적으로 서로를 규정하며 기존 집단을 존속시키는 집단재생산 학습을 통하여 유지되고 있었다. 정론일보 기자공동체 집단은 전통 미디어 독점적 환경에 맞는 권위주의적이고 위계적인 소통구조를 지속적으로 재생산해내고 있었고 신입기자 입문식으로서 수습기자 교육 기간은 그런 맥락을 현상적으로 재생산하기 위한 과정이었다. 집단의 지식은 이러한 집단 특성을 반영한 가치관과 세계관, 사상, 문화와 정서 등으로 집약되었으며, 지식을 가장 효과적으로 담아낼 수 있는 신문이라는 객체를 통하여 드러났다. 이때의 학습은 집단의 지식을 후대에 전수하고 집단을 효과적으로 존속시키는 집단재생산 학습으로서 기능하였고, 이 과정이 반복되며 집단은 오랜 기간 안정적으로 작동하였다.
둘째, 이러한 안정화된 전통 체계를 흔드는 맥락의 변화 속에서 집단 내부에 모순이 나타났으며, 구성원들은 생존을 위하여 그런 모순을 단계적으로 인식하고 극복해 나가는 양상을 보였다. 즉, 모순의 전개 과정은 (모순전개의 전단계)-모순의 구조화-개인적 모순인식-모순극복의 시도-모순의 응집-집단적 모순인식-모순 극복-(모순인식의 순환적 전개) 등 약 6단계로 나타났다. 초기 단계에서는 이런 변화가 상징하는 모순을 개인 차원에서만 인식하기 시작한다. 즉, 모순 극복을 위해 시도되는 과도적 변화는 보통 모순의 본질에 접근하지 못하고, 집단 내 인식 수준의 격차를 극복하기 어려워 실패로 귀결된다. 하지만, 모순이 더욱 응집하고 집단의 균열이 심해지면 집단적 모순인식이 일어난다. 시스템 전반으로 집단의 질문이 확산되고, 새로운 시스템을 만들어내는 생성적 집단학습을 통하여 모순이 극복되고 집단변화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모순 전개 과정은 모순이 극복되면서 집단변화가 완료되는 선형성을 가지기보다, 모순인식과 극복의 과정이 반복되며 끊임없이 새로운 시스템이 만들어지는 순환적 전개의 특징을 가진다. 정론일보 기자공동체는 이러한 모순 전개의 과정에 따라 총체적인 질적 변화를 경험하였다.
셋째, 모순은 객체-지식-학습-활동-구조의 층위에서 단계적으로 구조화되며, 집단변화를 이끌어 내는 본질적 모순의 특성을 내재화하는 양상으로 나타났다. 집단의 모순은 먼저 객체의 층위에서 드러났다. 변화한 맥락에서 객체가 미디어 수용자들에게 외면받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객체만을 변화시켜 모순을 극복하려는 시도는, 객체와 유기성을 가지는 지식 층위의 모순이 드러나면서 미봉책에 그치게 된다. 이에 집단 지식을 전달하며 집단을 재생산해 온 학습의 층위에서도 모순이 드러나게 되며, 점차 모순은 집단의 활동, 구조 등 시스템의 전반에서 나타난다. 모순은 이러한 확장적 구조화 과정을 통하여 집단의 총체적 변화를 촉발하였다. 모순의 구조화 단계를 분석함으로써, 기자공동체에 드러난 모순이 집단 전반의 총체적인 변화를 요구하는 본질을 가졌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넷째, 집단학습이 가진 생성적 힘은 집단의 객체, 규칙, 분업체계뿐만 아니라, 학습 방식, 집단의 공간과 문화, 그리고 집단변화의 주체인 집단의 유닛마저 변화시키는 집단의 총체적 변화를 이끌어 냈다. 생성적 집단학습은 새로운 시스템을 만들어내는 집단의 힘을 가지며 구성원들의 의지와 함께, 변화한 지식이 부여한 새로운 권력으로부터 강화되었다. 이 학습은 집단 주체가 모순을 인식하고 변화의 방향을 논의하는 과정에서 발현하여 기존의 시스템을 해체한다. 따라서 생성적 집단학습은 집단의 보수성을 극복하고 집단의 자기변화를 이끌어 내었다.
다섯째, 집단학습은 집단 구성원의 주체적 변혁활동 속에서 집단의 실질적인 변화로 연결되었다. 정론일보 기자공동체에서 초기에 시도되었던 관료적이고 하향적인 변화는 기자들의 동의를 얻어내지 못하고 지속력을 잃었다. 반면, 집단 구성원이 집단의식을 매개로 모순을 인식하고 변화의 주체가 되면서 집단변화 과정은 집합적 기억으로 전환되었다. 상향식 변화는 하향식 시도에 비하여 즉각적이고 강한 동력을 갖지는 못하지만, 자발적이고 생성적인 집단학습을 출현시킨 주요 기반이 되었다.
여섯째, 집단의 모순인식이 실제 변화를 이끄는 행동으로 이어지는 데는 집단의 자기극복을 위한 의식적 노력이 존재하였다. 자기극복은 안정되어 있던 기존의 시스템과 조직 구조에 균열을 내는 행위로, 자기 스스로를 해체하는 강한 의지와 노력이 필요하였다. 집단변화 과정에서 기존 시스템은 곧 권력이 되어 변화에 저항하였다. 그러나 집단에 모순이 응집하고 이들이 모순을 인식하고 소통하는 과정에서 구성원들의 직업적 소명감이나 연대의식 같은 정성적 요소가 자기극복 의식을 가능하게 하는 지지대가 되었고 생성적 집단학습의 동력이 되었다.
이러한 현상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상황학습, 활동이론, 확장학습 이론 등은 나름의 한계를 노정하였다. 우선, 상황학습 이론은 집단 구조에 대한 분석을 배제하여 집단학습을 설명하는데 한계를 지닌다. 상황학습은 집단에서 이루어지는 학습을 설명하는 이론이지만, 집단의 성격과 구조에 대한 논의보다는 집단 참여자의 학습과정에 논의를 집중하고 있었고, 따라서 집단재생산 학습을 일어나게 하는 집단과 지식, 학습의 관계 구조를 설명하지 못하였다. 또한, 집단에 작용하는 힘이나 정치적인 특성을 파악하지 않기 때문에 학습과정을 설명할 때 집단의 불균형성을 간과하고 있었다. 또한 집단을 고정적으로 주어진 것으로 인식함으로써 집단의 변화 및 집단학습에 대한 논의에 이론적인 설명을 제공하는데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집단의 변화를 논의하는 확장학습은 활동시스템의 도식 안에서 이루어지는 표면적인 논의에 집중하여 집단변화 과정의 체계와 구조를 밝혀내는데 제한점을 드러내었다. 집단과 집단의 맥락에 대한 분석이 미흡하기 때문에 주요 개념인 모순이 집단에 구조화되는 방식, 집단의 변화를 촉발하는 과정을 잘 드러내주지 못하였다. 또한 집단을 변화시키는 동력에 대한 설득력이 부족하고, 집단변화의 핵심에 다가가기 어렵다는 한계를 드러내었다. 집단에 대한 역사적이고 구조적인 이해가 결여되어 활동시스템의 변화가 보다 지역화되고, 자본주의 사회의 구조적 모순을 토대로 하는 확장학습을 평범한 조직변화 이론으로 축소하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이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는 실제 집단의 변화과정에서 나타나는 구체적인 양상을 깊게 들여다봄으로써, 집단학습의 본질에 다가가고자 했다. 집단을 다루는 기존 연구들은 특정한 이슈나 문제의 해결 과정에 주목하는 경향이 강했다. 반면, 이 연구는 문화기술지를 통하여 연구 참여자들과 오랜 기간 라포를 형성하여 긴 시간 동안 형성되어 온 집단의 관습과 작동방식을 분석하고, 집단의 이면에 존재하는 힘의 흐름에 가까이 다가가는 과정에서 집단변화에 대한 보다 근본적인 질문과 실체적 특성을 탐색할 수 있었다.
둘째, 학습을 통한 집단 변화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생성적 집단학습은 집단의 시스템을 변화시켜 나가는 총체적인 변화를 촉발하는 힘을 가지고 있다. 집단학습은 좁은 의미의 학습활동을 넘어 집단의 존재양식 자체를 규정하는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특징은 보다 확장적 차원에서 학습을 통하여 사회체계를 변화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셋째, 맥락에 터한 성인학습의 구체적 장면에 대한 이론적 분석을 통하여 그 양상과 특징을 논의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성인학습은 제도화된 교육보다 맥락에 터하여 일어나는 경우가 많아 성인학습 연구에 있어서 이를 이론화하는 데 어려움이 존재하였다. 이 연구는 일터에서의 집단학습에 주목하여 지식이 전수되고 집단을 재생산하는 학습의 작동원리 및 집단변화 과정을 밝히는 것을 핵심으로 하였다. 따라서 성인학습 연구에 이론적 시사점을 제공한다는 의미를 가진다.
넷째, 이 연구는 집단변화를 설명하기 위하여 기존의 이론을 활용하는 데 그치지 않고, 새로운 이론적 발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집단변화를 특정한 학습이론으로 설명하기에는 한계가 있었으며, 기존의 학습이론들에서 주목하지 않거나 결여되어 있는 영역이 확인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경험연구를 통하여 발견한 이론적 발견점을 통하여 집단변화를 설명하는 기존 이론의 한계를 짚어내고 그 설명력을 넓히고자 하였다.
This paper explores the collective and generative learning process driving the collective self-change of a social organization, or the aspect of generative collective learning. Collective self-change refers to the process by which a group, like a social organization, maintains its existence positively through the rearrangement of its structure and form, owing to the recognition of internal contradictions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environment and conditions surrounding it. At first glance, learning that leads to such a change may appear as being individual learning; however, such changes are accompanied by a total synthesis that cannot be reduced to individual learning. This study defined this irreducible change and the adaptation process of the group as collective learning and explored the structure and aspects of such learning.
To capture this purpose in an empirical study, it is necessary to locate an organizational unit experiencing serious environmental or contextual changes. In the process of re-adapting to the environment, this organizational unit must be able to capture the unit of phenomena that cannot be reduced to individual learning and describe its aspect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xtract theoretical issues to explain these changes as learning, especially collective learning, and critically review them within the existing learning theories.
As a case that can reveal this phenomenon at the empirical level, this study focused on the process of change in a journalist community group. The journalist community group of Jeongron-Ilbo (tentative name), a legacy media in Korea, has been operating stably for decades. However, as the social context changed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fundamental contradictions were revealed in the group system, and cracks occurred in its longstanding functions. Assuming that the journalist group is the backbone of the newspaper; it was considered that the change in the newspaper company could be traced by studying how the journalist group recognized a new context and changed to adapt to it.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and recorded the participatory observations of the Jungron-Ilbo journalist community group. Through this, the process by which the collective, organizational, communicative, and systematic changes of the journalist community group occurred at the collective level either through evolution or self-formation was described.
To explain these changes theoretically, this study selected situated learning, activity theory, and expansive learning, which have dealt with the aspects of learning and changes in the collective unit among adult learning theories. This study critically reflects on how these theories can consistently explain the process of collective self-adaptation of Jeongron-Ilbo. Particularly, it focuses on whether the existing theories provide a perspective and conceptual system that could explain the uniqueness of the collective learning dimension of this phenomenon. In other words, how the cracks that occurred between the context and the group are perceived as contradictions at the collective level which drive change and how collective learning emerged as a dimension of collective memory.
Specifically, three research questions are proposed in this study. First, how does the journalist community group perceive the internal and external contradictions of the group in a changing environment (or context)? Second, what are the stages of the activity system of the journalist community group and what are its aspects? Third, what kind of collective learning was developed in this process of change, and what is the aspect of learning?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journalist community group has been maintained through collective reproductive learning, in which group – knowledge - learning cyclically define each other and persist in the existing group. The Jungron-Ilbo journalist community constantly maintained an authoritarian and hierarchical communication structure suitable for the traditional media monopoly environment and the trainee journalist system as an introductory ceremony for new journalists was a process of phenomenal reproduction in that context. The knowledge of the group was concentrated on values, worldview, ideology, culture, and emotion reflecting these group characteristics, and was revealed through newspapers as factors that can most effectively contain knowledge. Learning at this time functioned as collective reproductive learning that transferred the group's knowledge to future generations and effectively sustained it; this process was repeated and the group operated stably for a long period of time.
Contradictions emerged within the group amidst the change of context that can shake such a stable traditional system, and the members recognized and overcame such contradictions step by step for survival. These steps were as follows: (previous stage of contradiction) - structuring of contradiction - personal contradiction recognition - attempt to overcome contradiction - aggregation of contradiction - collective contradiction awareness - overcoming contradiction - (circular development of contradiction awareness) In the early stages, the contradictions symbolized by these changes were recognized only at the individual level. In other words, transitional changes that attempted to overcome contradiction usually failed to approach the essence of contradiction, and it was difficult to overcome the gap in the level of perception within the group, resulting in failure. However, when the contradictions became more cohesive and the group's cracks intensified, collective contradiction awareness arose. Group questions spread throughout the system, and contradictions were overcome. Group changes were made through generative collective learning that created new systems. This contradictory development process is characterized by a cyclical development in which a new system is constantly being constructed, rather than having a linearity that is completed as the contradiction is overcome. The journalist community of Jeongron-Ilbo experienced a total qualitative change in the process of unfolding this contradiction.
Contradiction appeared as an aspect of internali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essential contradiction that led to group change through the structuring process with five layers; object – knowledge – learning – activity - structure. The contradiction of the group was first revealed in the layer of the object. This is because media audiences neglect objects in the changed context. However, the attempt to overcome the contradiction by changing only the object failed, revealing the contradiction between the object and the knowledge layers organicity. Accordingly, contradictions emerged from the learning layer that had transmitted group knowledge and reproduced the group, and gradually, they appeared in the overall system, such as the group's activities and structures. This contradiction triggered the overall change in the group through this expansive structuring process. By analyzing the structure layer,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tradiction revealed in the journalist community of Jeongron-Ilbo required a total change of the group.
The generative power of collective learning led to a total change in the group. It changed not only the objects, rules, and divisions, but also the learning method, the space and culture, and even the unit of the group, the subject of change. Generative collective learning had the power of the collective creation of new systems and was reinforced with the will of its members and from the new power imparted by changed knowledge. This learning emerged in the process of the group recognizing contradictions and discussing the direction of change, and dismantling the existing system. Therefore, generative collective learning overcame the group's conservatism and led to the group's self-change.
Collective learning was linked to actual change in the group in the subjective transformation activities of group members. The bureaucratic and downward changes that were initially attempted by the Jungron-Ilbo journalist community lost their persistence as the consent of the journalists was not obtained. Contrarily, the qualitative change of the group was transformed into collective memory when the group members recognized the contradiction through group consciousness and became the subject of change. The bottom-up change did not have an immediate and strong effect compared to the top-down change, but it became the basis for spontaneous and generative collective learning.
The conscious effort for the group's self-overcoming existed the most at points where the group's perception of contradiction led to the action leading to actual change. Self-overcoming is an act that breaks the existing system and organizational structure that is stable and requires a strong will and effort to dismantle oneself. In the process of group change, the existing system soon came to power and resisted change. However, in the process of cohesion of contradictions, and in the process of group recognition and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qualitative elements such as professional vocation and solidarity of group members became the support that enabled the consciousness needed for self-overcoming and in turn became the engine of generative collective learning.
In explaining these phenomena, situated learning, activity theory, and expansive learning theory have their own limitations. First, situated learning theory has limitations in explaining collective learning because it excludes the analysis of group structure. Situated learning is a theory that explains the learning that takes place in a group, but rather than discussing the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 of the group, the discussion focused on the learning process of group participants. Therefore, it has not been able to explain the structu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group, knowledge, and learning that causes collective reproduction learning. In addition, the group's imbalance in the learning process was overlooked because it did not grasp the forces or political characteristics acting on the group. In addition, by recognizing the group as a fixed unit, there was a limitation in providing a theoretical explanation for the discussion of group change and collective learning.
Expansive learning that discusses group change revealed limitations in explaining the system and structure of the group change process by focusing on the superficial discussion within the schematic of the activity system. Since the analysis of the group and the context of the group is insufficient, the structure of the main concept of contradiction, and the process of triggering the change of the group, were not well-detailed. In addition, it revealed the limitations of the lack of persuasive power for the force to change the group and difficulty in approaching the core of group change. Due to the lack of historical and structural understanding of the group, the change in the activity system became more localized, and the tendency to reduce extended learning based on the structural contradictions of the capitalist society to the ordinary organizational change theory was observ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attempted to approach the essence of collective learning by examining the specific aspects appearing in the actual group change process. This study explored the substantive characteristics of group change while analyzing the group's customs and methods of operation and its longstanding ethnographical forces.
Second, the possibility of a group change through learning was confirmed. Generative collective learning has the power to trigger a total change effecting the groups system. Collective learning played a role in defining the group's own way of being, beyond learning activities in a narrow sense. These characteristics suggest the possibility of changing the social system through learning in a more expansive dimension.
Third, it is significant that th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adult learning were discussed through a theoretical analysis of the specific scenes of adult learning in context. This study focused on collective learning in the workplace and focused on clarifying the working principle of learning to transfer knowledge and reproducing the group and the process of group change. Therefore, it can provide theoretical implications for research on adult learning.
Fourth, this study attempted to present new theoretical findings, rather than using existing theories to explain group change. Using theoretical findings discovered through empirical research,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theories explaining group change were indicated. Finally, the study attempted to expa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se theorie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6681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527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