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비규범 표기 분석을 통한 표기 교육 내용 연구 : A Study on Educational Contents of Writing System Based on Analysis of Informal Spelling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종관

Advisor
구본관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문법 교육표기 교육표기 문제비규범 표기자소 변동형태음운론적 교체관습적 표기문제 해결grammar educationwriting systemorthographyinformal spellingsspelling errorsgraphemic alternationmorphophonological alternationproblem-solving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범대학 국어교육과(국어교육전공), 2021. 2. 구본관.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education of writing system, mainly on Hangul, as a sub-area of grammar education, and develop educational contents considering didactical transposition. To achieve these goals, the author gathered informal spellings by systematic reviews for graduation theses. Informal spellings produced by students suggest that how they understand Hangul system and what difficulty is in their writing Hangul. Therefore, by describing aspects of informal spellings in contrast with correct forms in terms of graphemic alternation and morphophonological grammar knowledge, we can find what grammatical knowledge is needed for students. When they are found, educational contents can be created.
The modern Hangul orthography was enacted in 1988. It is based on the orthography of 1930s which is affected by Ju si-kyeongs theory who studied Korean language uniquely. As a result of the reform, the modern Hangul system is similar to the phoneme system of modern Korean language. In addition, Hangul has much more vowel letters than the Roman alphabet, so most of a letter corresponds to a phoneme, and that makes learning Hangul very easy. However, letters should be written in a syllable unit, and the same morpheme should be kept in an identical form. It makes learning Hangul orthography difficult, because each person has different morphological intuition, and dialect. Therefore, in Korea, orthography education has been understood as teaching right spellings, especially of standard language.
However, considering rapid technological advance these days, we dont use just the right forms but also various forms which are interesting or funny in written communication on-line, with some intentions. Then, we can question that orthography education really should manage called wrong spellings for students to write right even in their private area.
The orthography education which is correction-oriented can only deal with a part of the written communic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ocus on how informal spellings work effectively on written communication. Paradoxically, to know that what are informal things, and why they are effective, they should know the principles of the Hangul system. Based on this point of view, the author uses writing system instead of orthography, and calls spelling errors as informal spellings.
Based on analysis of informal spellings, the core structure of educational grammatical knowledge is derived. Hangul is sensitive to pronunciation. It means that Hangul is enough to transcribe Korean oral language without IPA. So, informal spellings should be carefully analyzed because some of them are not just errors but dialect forms. Casual pronunciation is also represented by them. Therefore, it is the key to organize educational grammatical knowledge structure that discriminating principles of writing system such as phoneticism from dialect or informal pronunciation.
The structure of explicit grammatical knowledge finally derived consists of conceptual knowledge and procedural knowledge. The conceptual knowledge includes grammar concepts which are related to phoneme system, morphophonological alternation and morpheme. The procedural knowledge is stated as a guide to how to use conceptual knowledge to write with Hangul. However, the structure is not for students but for teachers. They can use it as a kind of tool to create learning contents with. As an example of using it, based on problem-solving processes, the author illustrates how to create some learning contents. This study is, eventually, expected to help develop instruction design for writing system education.
표기 교육은 주로 규범 표기에 비추어 비규범 표기를 교정하는 규범 교육의 일환으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기술의 발달과 그에 따른 표기 행위의 변화 양상을 고려하면, 교정 중심의 대증적(對症的)인 표기 교육은 현실의 언어생활의 일부분만을 다룰 수 있을 뿐이며, 표기 교육의 실천 국면에서 주체적인 언어 사용자로서 변화하는 언어 환경에 능동적으로 적응해 가는 학습자의 능력은 과소평가될 가능성이 커진다. 이러한 문제의식하에 본 연구는 표기가 문법 지식과 관련을 맺는 방식을 근원적인 교육 내용으로 삼음으로써 표기를 매개로 학습자의 문법 능력을 신장하는, 문법 교육의 하위 영역으로서의 표기 교육을 정립하고 교육 내용을 구안하였다.
Ⅱ장에서는 먼저 표기 체계 및 표기 행위의 속성을 검토하여 표기 교육이 문법 교육에서 차지하는 위상을 점검하였다. 표기 체계 및 표기 행위의 속성을 검토함으로써, 표기 교육의 대상은 음성 언어와의 관련성을 유지하는 표기형으로 한정하였고, 표기 교육의 내용은 표기 행위를 문제 해결 과정으로 봄으로써 마련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리고 표기 교육의 목표를 표기와 매개된 문법 능력의 형성 및 신장, 이를 기초로 한 표기 문화에 대한 안목 형성으로 설정함으로써 표기 교육이 문법 교육학의 이론적 발전에 부합할 수 있음을 보였다.
이러한 표기 교육을 실제로 구현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가 산출한 비규범 표기에 주목하였다. 학습자가 산출한 비규범 표기에는 학습자의 초보적인 문법 능력이 반영되어 있다. 따라서 비규범 표기로써 학습자의 언어 해석 수준을 진단할 수 있으며, 학습자가 가지고 있는 철자 지식에서 내실화가 이루어져야 하는 부분을 확인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비규범 표기가 존재하는 양상을 기술하고, 관련 문법 지식을 분석함으로써 학습자에게 우선적으로 제공해야 할 표기 교육 내용으로서의 문법 지식을 도출할 수 있으리라 기대하였다.
Ⅲ장에서는 문헌 고찰의 방법을 사용하여 수집한 비규범 표기에 대해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규범 표기와 비규범 표기 간 자소의 차이를 자소 변동으로 명명하고, 자소 변동의 유형을 도출하였다. 자소 대조 시 표면적으로 대체, 누락, 삽입을 관찰할 수 있다. 이 세 유형의 자소 변동을 단순 유형으로 보고, 단순 유형이 규칙적으로 함께 발생하는 양상을 분석해 복합 유형을 도출하였다. 단순 유형과 복합 유형은 각각이 독립적인 단일 유형으로서, 비규범 표기의 복잡성은 단일 유형의 거듭 발생이 증가함으로써 커진다고 설명할 수 있다. 따라서 단일 유형을 설명하면, 단일 유형의 거듭 발생은 자연스럽게 설명되므로, 본 연구에서는 전체 비규범 표기 중에서 단일 유형만을 분석 대상으로 추렸다.
비규범 표기를 분석하는 데에 동원될 수 있는 문법 개념들은 학문 문법으로 구축되어 있으나, 어떠한 개념을 선택하여 어떠한 방식으로 비규범 표기를 구조화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는 그동안 부족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자소 변동을 분석한 후, 비규범 표기와 관련된 문법 지식을 입력하고 범주화하여, 표기 교육 내용의 구조를 도출하는 데 활용하였다. 이 과정에서 비규범 표기가 표상하는 대상 언어의 변별이 중요한 요인으로 부각되었고, 비규범 표기를 표준 발음을 표상하는 표기, 유사 표준 발음을 표상하는 표기, 비표준 발음을 표상하는 표기로 구분하였다. 발음을 제대로 표상하지 못한 표기는 발음 표상에 실패한 표기로 따로 분류하였다.
Ⅳ장에서는 Ⅲ장의 분석을 토대로 하여 표기 교육 내용을 학문적 지식 층위에서 구조화한 후 가르칠 지식 층위로 구체화하는 방안을 논의하였다. 학문적 지식 층위에서 표기 교육 내용은 중핵 구조와 확장 구조로 구분하여 조직될 수 있다. 중핵 구조는 형태음운론적 교체 현상을 원리로 삼아 음운론적 지식과 형태론적 지식을 중심으로 조직하였다. 중핵 구조에서의 학습에서 설명되지 않는 표기는 관습적 표기로 분류하여 결과적으로 표기 교육 내용의 핵심적인 범주는 문자 체계와 음운 체계, 표기법과 음운 변동, 형태소 그리고 관습적 표기로 구분할 수 있었다.
중핵 구조에서의 학습은 새로운 교육 내용에 대한 동기로 작용하여 표기 교육 내용의 확장 구조가 만들어진다. 표기 교육 내용의 확장 구조는 표기 교육 내용과 다른 문법 교육 내용이 어떻게 관련되는지를 보여 주면서, 문법 교육에서 표기 교육이 가지는 위상을 드러내 준다.
최종적으로 표기 교육 내용의 중핵 구조와 확장 구조를 기초로 하여 구체적인 학습 문제를 예시하였다. 학습 문제는 학습자의 문법 탐구를 촉발하는 제재이자 문법 탐구로서의 문제 해결 과정을 조정할 수 있는 수단이다. 따라서 학습 문제는 문법 탐구 경험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 문제 개발 과정의 실례를 보임으로써, 본 연구에서 도출한 표기 교육 내용 구조의 활용 가능성을 보였다. 이로써 본 연구는 문법 교육의 이론과 문법 수업의 현장을 매개하는 중간 지대의 연구로서 의의를 지닌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6693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594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