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초등학교 교사의 양가적 성차별주의가 성평등적 교수 태도에 미치는 영향 : Influence of the Ambivalent Sexism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Gender-equal Teaching Attitude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규정

Advisor
모경환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양가적 성차별주의적대적 성차별주의온정적 성차별주의성평등교육성평등적 교수 태도ambivalent sexismhostile sexismbenevolent sexismgender equality educationgender-equal teaching attitudes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범대학 사회교육과(일반사회전공), 2021. 2. 모경환.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gender-equal teaching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e factors of ambivalent sexism that have influence on teaching attitudes. Due to recent incidents and controversies related to gender issues, the demand for gender sensitivity education is increasing soci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talize discussions on gender equality culture in the educational field in response to these social needs and to suggest practical plans. To this end, consideration started with how gender equality education has been mainly conducted in subject areas such as social studies, and in what areas it has been concentrated. As a result, gender equality education in the subject most often dealt with the issue of discrimination based on the hostile view of a specific gender and the social role in the public domain. However, this study was conducted under the awareness that the various gender-related controversies that are occurring today are not necessarily the result of explicit discrimination issues.
To this end, 'Does elementary school teachers' sexism affect gender-equal teaching attitudes?' was set as a research question. The sub-hypothesis established to find out this is as follows.

Sub-hypothesis 1. The weaker the hostile sexism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higher the gender-equality teaching attitudes.

Sub-hypothesis 2. The weaker the benevolent sexism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higher the gender-equality teaching attitudes.

In order to verify the above research hypothesis, this study conducted an online survey on 291 elementary school teachers nationwide who have experience in guiding students' life. The analyzed data included hostile sexism and benevolent sexism as independent variables. Gender, age, teaching experience, number of completion of gender equality training, and recognition of the need for gender equality education were set as control variables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by setting gender-equal teaching attitudes as the dependent variable. In addition, variance analysis was performed by dividing the sample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the pattern of ambivalent sexism.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The sexism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s affecting the gender-equal teaching attitudes. Both benevolent sexism and hostile sexism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at p <.001 level. Therefore, the hypothesis 'The weaker the hostile sexism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ll have a higher gender-equal teaching attitudes' and 'The weaker the benevolent sexism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ll have a higher gender-equal teaching attitudes.' all were adopted.
Through the above analysis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teachers had more benevolent sexism that existed implicitly than hostile sexism that was explicitly seen. However, until now, it has been very rare that the training for teachers and school education for students has officially dealt with benevolent sexis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pare the discussion about other levels of sexism with reference to these results.
Second, both hostile sexism and benevolent sexism of teacher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gender-equal teaching attitudes. Among them, benevolent sexism has a greater influence. If the problem of gender equality only focuses on hostile sexism without such awarenes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factors tha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practice of gender equality by teachers may be missed. Therefore, gender equality education with diverse perspectives should be reflected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policies and education.
Third, irrespective of the two types of sexism, the dichotomy of gender roles and gender characteristics negatively affects teachers' gender-equal teaching attitudes. When looking at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the items of competitive gender differentiation and complementary gender differentiation were simultaneously negatively affecting the dependent variable. Gender differentiation refers to the view that men and women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so that there are separate fields and roles for each gender. Teachers showed that their stereotypes about jobs and social roles have decreased a lot, but they are still not free from stereotypes about gender characteristics. Therefore, before discussing social roles and division of work in the hom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more fundamental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personalities.
Finally, some implications can be obtained from the influence of the controlling variable. First, as a result of statistical verification, the training program for gender equality has not played a major role in raising teachers' gender equality awareness and willingness to practic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whether the contents and methods of the gender equality training program currently being conducted are appropriately implemented to produce desirable results. The second is the awareness of teachers' need for gender equality education. Nearly half of the teachers are aware of the need for gender equality education in order to cultivate students' citizenship, but because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they advocate maintaining the current state. In this situation, it is possible to think about ways to deal more actively with related topics in subject areas such as social studies. If timely issues of the current society are treated as learning topics, students would feel more closely with their own problems and actively cultivate the spirit of democratic citizenship.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사의 성평등적 교수 태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양가적 성차별주의 요인들을 탐구해보았다. 최근에 불거진 성 관련 사건과 논란들 때문에 사회적으로 성 인지 감수성(gender sensitivity) 교육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여 교육 현장에서 성평등 문화에 대한 논의를 활성화하고 실천적인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지금까지 사회과 등의 교과에서 성평등 교육이 주로 어떤 양상으로 진행되었는지, 어떤 영역에 집중되었는지부터 고찰했다. 그 결과 교과에서의 성평등 교육은 특정 성에 대한 적대적 시선을 바탕으로 한 차별 문제, 그리고 공적 영역에서의 사회 역할을 가장 많이 다루고 있었다. 하지만 오늘날 이루어지는 다방면의 성 관련 논란들이 꼭 명시적 차별 문제로 인해 도출된 결과는 아니라는 문제의식 아래 본 연구를 실행하게 되었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교사의 성차별주의는 성평등적 교수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연구 문제로 설정하였다. 이를 알아보기 위해 설정한 하위 연구 가설은 다음과 같다.

하위가설 1. 초등학교 교사의 적대적 성차별주의가 약할수록 높은 성평등적 교수 태도를 가지고 있을 것이다.

하위가설 2. 초등학교 교사의 온정적 성차별주의가 약할수록 높은 성평등적 교수 태도를 가지고 있을 것이다.

위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전국의 초등학교 교사들 중 학생들의 생활 지도를 담당해 본 경험이 있는 담임교사 291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행하였다. 분석된 자료는 연구 가설의 검증을 위해 적대적 성차별주의와 온정적 성차별주의를 독립변인으로, 성별, 나이, 교직 경력, 양성평등 연수 이수 횟수, 양성평등 교육에 대한 필요성 인식을 통제 변인으로, 성평등적 교수 태도를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양가적 성차별주의의 양상에 따라 표본을 네 집단으로 나누어 분산 분석을 실행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등학교 교사의 성차별주의는 성평등적 교수 태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온정적 성차별주의, 적대적 성차별주의 모두 p < .0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가설 초등학교 교사의 적대적 성차별주의가 약할수록 높은 성평등적 교수 태도를 가지고 있을 것이다.와 초등학교 교사의 온정적 성차별주의가 약할수록 높은 성평등적 교수 태도를 가지고 있을 것이다. 모두 채택되었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교사들은 명시적으로 보이는 적대적 성차별주의보다 암묵적으로 존재하는 온정적 성차별주의를 더 많이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지금까지 교사 대상의 연수와 학생 대상의 학교 교육에서 공식적으로 온정적 성차별주의를 다룬 경우는 매우 드물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참고하여 다른 차원의 성차별주의에 대해 논의할 수 있는 장이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교사들의 적대적 성차별주의와 온정적 성차별주의 모두 성평등적 교수 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그 중에서도 온정적 성차별주의는 더 큰 영향력을 지니고 있다. 만약 이러한 자각 없이 적대적 성차별주의에만 집중하여 성평등 문제를 개선하고자 한다면 교사들의 성평등 실천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고 있는 요인을 놓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정책과 교육 실효성의 제고를 위해 다양한 시각을 갖춘 성평등 의식 교육이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두 종류의 성차별주의를 불문하고 성역할과 성별 특성에 대한 이분법적 시각이 교사들의 성평등적 교수 태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회귀분석 결과를 봤을 때, 경쟁적 성역할 분화와 보완적 성역할 분화 항목이 동시에 종속 변인에 부적 영향을 주고 있었다. 성역할 분화란 남성과 여성의 특성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각 성별에 맞는 분야와 역할이 따로 있다고 믿는 시각을 의미한다. 교사들은 사회에서 맡는 직업이나 역할에 대한 고정관념은 많이 줄어든 상태이지만 성별 특성 고정관념에서는 아직 자유롭지 못한 모습을 많이 보여주었다. 따라서 사회적 역할과 가정에서의 일 분담에 관해 논의하기에 앞서, 더 근본적인 개인적 특성과 성격에 대해 고찰해보는 것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통제 변인의 영향력을 통해서 몇 가지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첫째, 통계적 검증 결과를 보면 양성평등 교육 연수가 교원들의 성평등 의식과 실천 의지를 진작시키는 데 큰 일조를 하지 못하고 있다. 현재 실시되고 있는 양성평등 교육 연수의 내용과 방법이 바람직한 결과를 산출하기에 적합하게 실시되고 있는지 고민해 보아야 할 필요가 있다. 둘째는 교사들의 양성평등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다. 절반에 가까운 교사들이 학생들의 시민성 함양을 위해 성평등 교육의 필요성을 절감하지만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현행 유지를 옹호하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이라면 사회과와 같은 교과 영역에서 더 적극적으로 관련 주제를 다루는 방안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사회과에서 추구하는 관용과 타협의 정신, 사회 정의의 실현을 도모하는 데 있어 현 사회의 시의성 있는 주제들을 학습 제재로 다룬다면 학생들이 좀 더 자신의 문제로 밀접하게 느끼고 적극적으로 민주 시민의 정신을 함양할 수 있을 것이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6731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552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