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1945~1950년 북조선민주여성총동맹의 조직과 활동 : Organization and Activities of North Korean Democratic Women's League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강수연

Advisor
이동원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북조선민주여성총동맹국제민주여성연맹조선여성북한 여성사회단체여성해방North Korean Democratic Women’s LeagueWIDFChosǒn yǒsǒngNorth Korean womensocial organizationgender equality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인문대학 국사학과, 2021.8. 이동원.
Abstract
The primary goal of this thesis is to empirically and concretely identify the organization and activities of the North Korean Democratic Womens League, which was the "only" women's organization and social organization in North Korea right after liberation.
On November 18, 1945, north of the 38th parallel, the North Korean Democratic women's league was launched as a unified organization of autonomous women's organizations. The leadership of the women's league which inherited the driving force of the socialist women's movement during the colonial period not only insisted on women's economic independence based on the Marxist theory but also interested in common issues of Korean women such as illiteracy and the poligamy. At the same time,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in the midst of immediate political and social demands of building a new state, the leadership recognized the state construction movement and the women's liberation movement as inseparable. The women's league tried to solve various agendas for women's liberation by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state construction movement.
In the beginning, the women's league focused on solving the women's problems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by supporting a series of "Democratic Reform" of the North Korean Provisional People's Committee. In particular, it focused on promoting and explaining the Gender Equality Law. The leadership believed that the institutional conditions for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had been completely resolved through the enforcement of the Gender Equality Law, so that they carried out a project to educate and raise awareness of women. The women's league argued that women should cultivate scientific and rational values ​​instead of feudal ideology.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in 1948, the women's league focused on political education programs to promote patriotism. The attendance rate was not as high as expected, which implicates that the program was not complete.
After the enactment of the Gender Equality Law, the women's league emphasized that women should devote themselves to the state building movement "just like men". Meanwhile, they demanded the dual roles of women in full responsibility for reproductive duties and household chores, and maintained awareness of gender division of labor in the national projects. The women's league participated in various projects: to support the military, schools, and workers, direct production in the agricultural and industrial fields, and to repair infrastructure. Before and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government in 1948, the women's league wanted to further enhance women's productivity based on patriotism, and specifically emphasized entry into the light industry and sericulture. The women's league also established day care centers for professional women, but the operation still had limitations. In addition, women's dual role demands acted as a real stumbling block for women to enter the workforce.
The scope of activities of the women's league was not limited to domestic area. Before the establishment of the government in September 1948, the women's league joined an international women's organization called the Women's International Democratic Federation (WIDF) and was active. The women's league promoted international activities as an indicator of North Korea's democratic development. and criticized the South Korean system in the atmosphere of the Cold War. However, these international activities carried other possibilities besides one-way propaganda. WIDF was not an organization that only women from socialist countries participated. Women from different countries, especially women from post-colonial countries, were able to share experiences of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and come up with countermeasures in this internaional organization.
During this period, the women's league was more than an organization for the state to unilaterally mobilize women. At that time, the concept of "mobilization" in North Korea existed in a state of mixing voluntary and involuntary. Many women responded to the logic and participated in various projects for a new democratic state that guranteed women's rights. Actually, the cultural level of women was further improved, and various policies for women such as the abolition of polygamy or the daycare system were realized. However, the women's league's business faced many difficulties in reality. Social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still persisted, women's burden of household chores had hardly been alleviated, and women's entry into the workplace had not been achieved as much as expected. In addition, the women's league revealed a logical contradiction: emphasizing entering into society "just like men" while demanding "women's role", and participating in international anti-colonial feminist solidarity movement while interpreting women's issue in the direction of defending the legitimacy of the domestic system.
본고는 해방 직후 북한 지역의 유일한 여성조직이자 사회단체였던 북조선민주여성총동맹의 조직과 활동을 실증적·구체적으로 규명하는 것을 일차적 목표로 삼았다. 이때 여맹을 일방적인 동원 기구 또는 여성의 지위 향상에 기여한 기구로 보는 이분법적 시각을 넘어 여맹의 성격을 복합적으로 이해하고자 했다.
1945년 11월 18일 38선 이북에서 자생적인 여성단체들의 통일조직으로서 북조선민주여성총동맹이 출범했다. 여맹 지도부는 여성의 처지 개선과 국가건설 사업 참여라는 목표를 함께 내세웠는데, 이는 식민지기 여성운동의 영향과 해방 직후의 정치사회적 상황이 혼합된 결과였다. 여맹 지도부는 식민지기 사회주의 여성운동의 동력을 이어받아 마르크스주의 이론에 근거해 여성의 경제적 독립을 주장하면서도 문맹퇴치나 축첩제와 같은 조선여성의 공통적인 문제에 관심을 가졌다. 동시에 해방 직후 여맹 지도부는 새로운 국가의 건설이라는 당면한 정치사회적 요구 속에서 국가건설운동과 여성해방운동을 불가분의 관계로 파악했다. 여맹은 국가건설운동에 적극 참여함으로써 여성해방을 위한 각종 의제들을 해결하고자 했다.
초기 여맹은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의 민주개혁을 지지함으로써 해방 직후 당면한 여성문제를 해결하는 것에 집중했다. 특히 남녀평등권법령을 선전하고 해설하는 사업에 주력했다. 여맹 지도부는 남녀평등권법령 시행을 통해 여성 차별의 제도적 조건이 완전히 해결되었다고 보고, 여성들의 교양과 의식화 사업을 벌였다. 여맹은 여성들이 봉건사상을 대신하여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가치관을 함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1948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여맹은 애국주의를 제고하는 정치교양사업에 집중했다. 정치교양사업 출석률은 기대만큼 높지 않았는데, 이러한 사례는 여맹의 선전교양사업과 의식화 작업이 완전하지 않았다는 점을 드러내준다.
남녀평등권법령 제정 이후 여맹은 여성들이 남성과 마찬가지로 국가건설운동에 매진해야 함을 역설했다. 그러나 동시에 여맹은 여성들에게 재생산 의무와 가정일의 전담이라는 이중 역할을 요구했으며, 국가사업 시행에 있어 성별 분업 인식을 유지했다. 여맹은 군대, 학교, 노동자 등을 원호하는 사업이나 농업·공업 분야의 직접 생산, 제방수리나 도로수선과 같은 수리 사업 등에 참여했다. 1948년 정부 수립을 전후해 여맹은 애국주의를 토대로 여성들의 생산성을 일층 제고하고자 했는데, 구체적으로는 경공업 분야로의 진출과 양잠업을 강조했다. 여맹은 또한 직업여성을 위한 탁아소 수립에 힘을 기울였으나, 여전히 탁아소 설립과 운영은 많은 한계를 지녔다. 게다가 여성의 이중역할 요구는 여성들이 직장에 진출하는 데 실질적인 고충으로 작용했다.
여맹의 활동 범위는 국내에 한정되지 않았다. 여맹은 1948년 9월 정부가 수립되기 이전부터 국제민주여성연맹이라는 국제여성단체에 가입해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 여맹은 국제활동을 북한의 민주주의적 발전을 나타내는 지표로 홍보했으며, 세계 선진 여성의 모습을 국내 여성들에게 선전함으로써 각종 건국운동에서 여성들의 참여를 이끌어내고자 했다. 다른 한편으로 여맹의 국제활동은 냉전의 자장 속에서 남한 체제를 비판하고 북한 체제를 선전하는 장으로 기능했다. 그런데 이러한 국제활동은 일방향적인 선전 외에 다른 가능성을 담지했다. 국제여맹은 사회주의권 국가의 여성들만이 참여한 기구는 아니었으며, 각국의 여성들, 특히 탈식민 국가의 여성들은 국제여맹이라는 국제적 연대 기구를 통해 여성 차별의 경험을 나누고 이를 위한 대책을 강구할 수 있었다.
이 시기 여맹은 국가가 일방적으로 여성을 동원하기 위한 기구 그 이상의 성격을 지녔다. 당시 북한에서 동원의 개념은 자발성과 비자발성이 혼재된 상태로 존재했으며, 여맹 지도부는 여성해방과 민족국가 건설을 불가분의 관계로 파악하고 이를 각종 사업에서 여성 동원의 핵심 논리로 내세웠다. 많은 여성들은 여맹의 논리에 호응하여 여성의 권리를 인정해주는 새로운 민주주의 국가를 위해 다양한 사업에 참여했다. 이 과정에서 여성의 문화적인 수준은 일층 향상했으며, 축첩제 폐지나 탁아소 제도 등 여성을 위한 다양한 시책이 실현될 수 있었다. 그러나 여맹의 사업은 실상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여맹이 지속적으로 강조했던 북한에서 여성이 이미 해방되었다는 주장은 현실적인 한계를 보였다. 여성에 대한 사회적 차별은 여전했으며, 가정일에 대한 여성의 부담은 거의 덜어지지 않았고, 여성의 직장 진출도 기대만큼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여맹은 논리상으로 내적인 모순을 드러냈는데, 남성과 동등한 사회 진출을 강조하면서도 여성의 일을 요구했으며, 국제적으로는 반식민 여성운동의 흐름에 적극 참여하면서도 여성운동의 과제를 북한 체제의 정당성을 옹호하는 방향으로 해석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7361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782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