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1946년 1~2월 미소공동회담의 경과와 성격 : Progress and Implications of U.S.-Soviet Joint Conference in 1946 Korea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지현

Advisor
이동원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미소공동회담미소공동위원회모스크바 3상회의예비회담아놀드슈티코프U.S.-Soviet Joint ConferenceU.S.-Soviet Joint CommissionMoscow Conference of the Three Foreign MinistersPreliminary ConferenceA. V. ArnoldT. F. Shtikov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인문대학 국사학과, 2021.8. 이동원.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progress and implications of the U.S.-Soviet Joint Conference held in Seoul from January 16 to February 5, 1946. Previous studies tended to view the Joint Conference as a preliminary meeting of the U.S.-Soviet Joint Commission and underestimate its importance. This paper argues that the Joint Conference holds historical significance in illuminating the early problems faced by the U.S. and the Soviet forces in Korea and their reactions to these problems. The paper also aims to shed light on the transitional period between the Moscow Conference of the Three Ministers and the Joint Commission. Additionally, the paper narrates that the various Korean names for the Joint Conference reflect how the U.S. Command and South Koreans perceived the Joint Conference at the time.
The Joint Conference was convened to coordinate urgent economic and administrative issues that arose between the U.S. Command in the South and the Soviet Command in the North. After the liberation and division of Korea, people and goods were not able to move freely between the two zones, causing shortage of food and raw materials and, thus, paralyzing the industry and economy in both areas. The American and Soviet forces, respectively, attempted to secure industrial coal and food within their zones, but failed, and, as a next-best attempt, turned to the opposing occupational force to procure the scarce resources. This was also intended to shift the blame for the shortage onto the opposing side. Both the U.S. and the Soviet Command held steadfast to their missions to obtain resources from the other side, leading to a stalemate during the Joint Conference.
Additionally, the conflict between the two powers over the issue of establishing a central administration in Korea also induced the breakdown of the Joint Conference. The U.S. government sought to expand the administrative agencies under the U.S. Command in South Korea to North Korea. Likewise, the Soviet had already established a system of 10 administrative offices in North Korea before the Joint Conference, in order to secure the initiative in establishing administrative agencies in Korea.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U.S. and the Soviet over the issue of establishing a central administration in Korea was not resolved during the Moscow Conference, but reappeared in the agendas and discussions during the Joint Conference.
The U.S. and Soviet delegations clashed from the onset of the Joint Conference. The two delegations each prepared their own agendas in accordance with their respective countries' policies on Korea and insisted that they be discussed at the meeting. Particularly, the U.S. insisted on coordinating transport of coal and agricultural products from Manchuria to South Korea and prohibiting transfer of capital goods from Korea to abroad, while the Soviet vehemently disagreed discussing such issues. These were delicate issues, because they were tied to the food and coal situation in North and South Korea, the Soviet policy toward Japanese property, and the Japanese reparations to the Allied Powers. When some of the agenda proposals by the US delegation were turned away, the U.S. Command used this point to claim that the Soviet was halfhearted in facilitating the unification of Korea.
Among the agreed agendas, the two delegations fervently debated on the topic of rice, Japanese repatriation, and railroad transportation. The Soviet delegation demanded that the rice produced in South Korea be sent to North Korea, but the failure of the U.S. food policy resulted in shortage of rice in South Korea, making it difficult for the U.S. to trade rice with the Soviet. In addition, the two delegations fought over the issue of who should provide food and other resources for Japanese repatriates in North Korea, and this issue clearly show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nations policies and perspectives toward the Japanese. Moreover, the Soviet delegation requested that the U.S. send railroad cars and spare parts from South Korea, and the American delegation proposed that the two Commands establish Joint Transportation Commission to oversee transportation needs throughout Korea. This transportation agenda was essentially linked to the problem of establishing a central administrative organization in Korea. In the end, the two delegations could not agree on the rice issue, and the agreement on the repatriation issue was also delayed. Only the railroad issue was settled, but the two Command did not actually carry out the agreement.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all of the issues that were most heavily discussed in the Joint Conference were not resolved.
Along with the limited achievements of the Joint Conference, factors such as the exclusion of Korean representatives at the Joint Conference and the gradual 'abolition' of the 38th parallel by both forces, contrary to the expectations of the Koreans, heightened the dissatisfaction that Koreans had toward the Joint Conference. In order to ease the situation, the U.S. Command shifted the blame to the Soviet forces and began to disregard the status of the Joint Conference as an independent negotiation. The U.S. Command argued that the Joint Conference was expected to have disappointing results because it was just a preliminary meeting of the Joint Commission. Based on this propaganda by the U.S. Command, South Koreans started to regard the Joint Conference as the Preliminary Conference of the Joint Commission, as opposed to the original purpose of the Joint Conference.
본고는 1946년 1월 16일부터 2월 5일까지 서울에서 개최된 미소공동회담(U.S.-Soviet Joint Conference)의 경과와 성격을 고찰하였다. 그동안 선행 연구는 미소공동회담을 미소공동위원회의 예비회담으로 평가하며 생략 및 약술하는 경향을 띠었다. 본고는 미소공동회담의 사실관계를 밝히고 미소공동회담을 통해 드러난 한반도 점령 초기 문제점들과 이에 대한 미국과 소련의 인식 및 대응, 그리고 미소공동회담의 귀결과 역사적 성격을 살펴보고자 한다.
미소공동회담은 조선 주둔 미군사령부와 소련군사령부가 조선을 통치하면서 당면한 남북 간의 문제점들을 조율하기 위해 소집되었다. 일본의 패망과 미·소의 분할 점령으로 인하여 남북 간 사람과 물자의 이동이 중단되었고, 식량 및 원료 부족으로 산업과 경제가 마비되었다. 미군과 소련군은 각각 산업용 석탄과 식량을 점령지역 내에서 확보하고자 했으나 실패했고, 차선책으로 상대 점령군으로부터 부족한 자원을 조달하고자 했다. 이는 물자 부족의 책임을 상대 점령군에 전가하려는 의도도 있었는데, 상대측으로부터 물자를 받아내겠다는 양 점령군의 강경한 태도가 향후 미소공동회담을 교착 상태에 빠트렸다.
물자 부족 문제 외에, 조선의 행정기관 수립 문제를 둘러싼 미국과 소련의 갈등도 미소공동회담의 결렬 요인 중 하나였다. 미국은 남조선에서 설치한 미군 하의 행정기관을 북조선까지 확대하는 정책을 구상했고, 소련도 북조선에서 행정10국을 설치하여 조선의 행정기관을 설립하는데 주도권을 확보하고자 했다. 조선 행정기관 구상을 둘러싼 미·소 간 대립은 모스크바 3상회의때 해소되지 못한 채 미소공동회담의 의제와 논의에서 다시 드러났다.
미소공동회담에서 양 대표단은 의제를 결정하는 단계부터 충돌했다. 양 대표단은 본국의 정책과 관점, 행정기구 구상과 선전 전략에 따라 각자 의제들을 준비했고 이것들을 회담에서 논의할 것을 주장했다. 특히 대립했던 부분은 만주에서 남조선으로 석탄과 농산물을 수송하는 문제와 조선에서 자본재 반출을 금지하는 문제였는데, 여기에는 남북 식량 및 석탄 사정과 이에 대한 각 점령군 대응, 소련군의 적산 처리 방식, 연합국의 대일배상 정책 등 다양한 사안들이 엮여 있었다. 미국대표단이 제안한 내용 중 일부분이 회담 의제로 상정되지 않자, 미군은 소련이 조선의 남북 통합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인다고 조선인들에게 선전했다.
양 대표단은 합의한 의제들 중에서 주로 쌀, 일본인 귀환, 철도 문제를 두고 맹렬하게 논쟁했다. 소련대표단은 남조선에서 생산한 쌀을 북조선으로 보낼 것을 요구했는데, 미군은 식량정책의 실패로 인해 쌀을 확보하지 못했고 소련과의 협상카드로 이용할 수 없었다. 또, 양 대표단은 북조선에 있는 일본인 귀환자들에게 식량을 지원하는 문제를 두고 대립했는데, 이 문제는 일본인들에 대한 미·소의 관점 및 정책 차이를 명확하게 보여주었다. 그리고 소련대표단은 남조선에서 북조선으로 철도 차량과 수리 부품을 보낼 것을 요청했고, 미국대표단은 운수공동위원회를 설립해 조선 전역의 운수를 총괄할 것을 제안했는데, 이는 근본적으로 조선 행정기구 설치 문제를 둘러싼 미·소 간 대립과 연결되어 있었다. 결국 양 대표단은 쌀 문제와 관련하여 합의를 보지 못했고, 일본인 귀환 문제에 대해서도 협상을 지연시켰다. 철도 문제에 대해서는 합의를 보았으나, 강제력이 없었기 때문에 합의사항을 실제로 이행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미소공동회담에서 가장 비중 크게 논의되었던 문제들이 모두 해소되지 못했다고 볼 수 있다.
미소공동회담의 제한적인 성과에 더불어, 조선인들이 미소공동회담에 참여할 수 없었던 점, 조선인들의 기대와 다르게 양 점령군이 점진적으로 38선을 철폐하고자 했던 점 등의 요소가 미소공동회담에 대한 조선인들의 불만을 고조시켰다. 미군은 이를 수습하기 위하여 미소공동회담의 미진한 성과에 대한 책임을 소련군에 전가했으며, 미소공동회담을 미소공동위원회의 예비회담으로 선전하기 시작했다. 미군은 미소공동회담이 가졌던 독자적인 정식회담의 성격을 부정했고, 이러한 미군의 선전을 기점으로 남조선 언론에서 미소공동회담의 명칭이 미소공동위원회 예비회담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미소공동회담의 역사적 의의를 정리하자면, 미소공동회담은 한반도 점령 초기 다양한 현안에 대해 미군과 소련군의 인식과 정책이 서로 충돌한 현장이었다. 아울러, 미소공동회담은 미·소 간 조선 행정기구 문제 논의의 전후 경과를 보여주었기 때문에 모스크바 3상회의와 미소공동위원회 간의 관계를 온전히 설명하는데 중요한 배경 요소였다. 마지막으로, 미소공동회담 명칭의 변화는 당시 미군과 남조선 사회의 인식 변화를 극명하게 반영했다고 볼 수 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7362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858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