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1998년 이후 한국 디자인 행동주의 아카이브에 관한 시각적 연구 : A Study on Visualization about the Archives of the Korean Design Activism after 1998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민주

Advisor
김경선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한국 디자인 행동주의디자인 아카이브성찰적 디자인사회적 디자인시각문화운동Korean Design ActivismDesign ArchiveReflective DesignSocial DesignVisual Culture Movement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미술대학 디자인학부 디자인전공, 2021.8. 김경선.
Abstract
Design activism in Korea has been spreading and accepted through the participation and practice by not only the artists but also the general citizens, and settled in the society as daily design actions and practices. However, although design activism is a design practice of the social history that creates a significant flow in the visual culture, it has drawn less attention than commercial design and has not been sufficiently studied in a systematical manner.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based on the critical mind, is to collect cases of design activism scattered in fragments in Korean society and comprehensively review the practices and examples of design activism that is conducted invisibly or in a multilayered manner in order to establish a valuable visual archive of design activism.
Design activism has extensive and inclusive domains and themes and is practiced by a variety of design subjects. Viewing design activism as the actions and practices based on the ideology and autonomy of individuals premised on republic or democracy, the researcher presented the design activism which emerged with the development of the civil society from 1990s as the starting point of the archive. Rather than broadly covering the design activism, the researcher limited the scope of the study to the design activism as the independent social statement and actual participation by visual designers, and specifically described design activism from different angles in the context of the time and the design culture.
The relationship between design and society was reviewed to lay the theoretical ground for the study of design activism, and the ideological basis of design activism was investigated through the reflexive modernization theory and the reflective design discourse. The historical examples of design activism show that design activism has been succeeded from the reflective attitude of designers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the time and the social context.
The Korean design activism archive was established by collecting historical materials from the online design exhibit lists, which are aimed at recording and easily accessible, and then extending the scope of collection. The primary data included the design exhibit lists from the NEOLOOK Archive (https://neolook.com/archives) and DesignDB (http://www.designdb.com) and the major design magazines and literature. The historical materials for the archive were further specified on the basis of the interviews conducted with Professor Min-Soo Kim of the Design History & Cultural Studies Major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Beom Choi, a design critic; Su Hyeon Mok, an art historian; and Yeong Cheol Kim from the AGI Society.
The historical materials for the archive were arranged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system in terms of year, title, designer, medium, form, place, associated institution, key word and type, and the title for the entire archive was determined as List of Korean Design Activism Archive Since 1998. The place and associated institution information was used to verify the site-specificity and working mechanism of design activism. In addition, a key word analysis was performed to classify the design activism into a general society-criticism type, an internal design-criticism type, and a convergent type in which the issues of the general society are accessed through the internal issues of the design.
Based on the study mentioned above, the patterns of the design activism from 1998 to 2020 are described as below.
First, the design activism after 1998 persuaded and aroused sympathy from the public with refined letters and purified graphic images, rather than the rough, aggressive or emotionally appealing graphics of the 1980s and 1990s that emphasized the site-specificity, in order to awaken the consciousness of the public and change the reality. In addition,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media that extended the speech and participation by individuals, design activism began to be practiced as a new type of exploration and sharing, not as an exclusive property of designers.
Second, in 2010s, the design activism has been established as a communication means and a weapon of public discourses in the society and fields, not being limited to the activities in the design community. The outstanding method of the activities was to form a flexible organization through the solidarity among the designers and combined different projects. Rather than building doctrines based on meta-discourses, the designers spoke about the problems and issues of the time with a sustainable action program.
As the final product, the archive was prepared in the form of (1) digital archive and (2) printed publication.
The digital archive (http://koreadesignactivism.kr) proposes a nonlinear method to explore the historical materials of design activism through the introduction, year, events and issues, and key words. This method allows the users to categorize the historical materials of the design activism according to hierarchy and relationship or explore the design activism from a convergent and extensive perspective in association with the social history. The digital archive can be easily accessed by the public and updated continuously, and thus is expected to play the role of a long-term memory platform of visual cultures.
Two printed publications were prepared: Design Activism Archive of Korea Since 1998 and Key Publications of Design Activism. Design Activism Archive of Korea Since 1998 lists the events and issues in the Korean society and the historical materials of design activism according to the flow of time, revealing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design. Key Publications of Design Activism is a collection of the scanned images of the representative publications on design activism, granting tangibleness and feelings of presence to the digital images.
This dissertation provides the foundation for extending the studies on the design activism in Korea, which has not been sufficiently categorized and theorized in Korean design history. In addition, this dissertation also highlights the roles of designers as independent players of the actual society and producers of visual cultures, and explores the sociocultural concepts and values of design required by the contemporary world. With continuous academic interests in the design activism in Korea, further studies may need to be conducted to incur more meaningful interac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오늘날 한국 사회 속 디자인 행동주의는 디자이너, 예술가뿐만 아니라 일반 시민들의 참여와 실천으로 확산하고 수용되며 일상의 디자인 행동과 실천으로서 사회 속에 자리 잡아 가고 있다. 하지만 디자인 행동주의가 시각 문화에 중요한 흐름을 만들어 내는 사회사적 디자인 실천임에도 불구하고 상업 디자인보다 많이 주목받지 못하고 체계적인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한국 사회 속 파편적으로 흩어져 있는 디자인 행동주의 사례를 모으고, 비가시적이나 다층적으로 진행되는 디자인 행동주의 실천과 사례를 통합적으로 살펴 이를 가치 있는 시각적 아카이브로 구축하는 데 목적이 있다.
디자인 행동주의는 그 영역과 주제가 광범위하고 포괄적일 뿐만 아니라 다양한 디자인 주체에 의해 실천된다. 본 연구자는 디자인 행동주의를 공화국 또는 민주주의를 전제로 한 개인의 이념과 자율성에 근간을 둔 행위와 실천으로 바라보고, 1990년대 이후 시민사회의 발전과 더불어 출현한 디자인 행동주의를 아카이브의 출발점으로 제시했다. 그리고 디자인 행동주의를 폭넓게 살펴보기보다 시각 디자이너의 주체적인 사회적 발언과 현실 참여로서의 디자인 행동주의를 연구의 범위로 설정하고, 이를 시대적 상황과 디자인 문화의 맥락에서 더 입체적이고 구체적으로 서술하고자 했다.
디자인 행동주의 연구의 이론적 토대를 위해 디자인과 사회의 관계를 고찰하고, 성찰적 근대화 이론과 성찰적 디자인 담론을 통해 디자인 행동주의의 사상적 바탕을 살폈다. 또한 디자인 행동주의의 역사적 사례를 통해 디자인 행동주의가 디자이너의 성찰적 태도로부터 시대적 상황과 사회적 맥락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계승됐음을 알 수 있다.
한국 디자인 행동주의 아카이브는 기록을 목적으로 하고 접근이 쉬운 온라인상의 디자인 전시 목록에서부터 사료를 수집하며 그 범위를 넓혀가는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먼저 네오룩 Archives(https://neolook.com/archives)와 DesignDB(http://www.designdb.com)의 디자인 전시 목록, 주요 디자인 잡지와 문헌조사를 1차 자료로 검토하고, 서울대학교 디자인 역사문화전공 김민수 교수, 디자인 평론가 최범, 미술사학자 목수현, AGI Society의 김영철을 인터뷰한 내용을 바탕으로 아카이브 사료를 구체화했다.
아카이브 사료는 연도, 제목, 디자이너, 매체, 형식, 장소, 연대 기관, 키워드, 유형의 체계로 정리하여 <1998년 이후 한국 디자인 행동주의 아카이브 목록>으로 도출했다. 이 중 장소와 연대 기관의 정보를 통해서 디자인 행동주의의 현장성과 작동방식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키워드 분석을 통해 디자인 행동주의를 일반 사회 비판형, 디자인 내부 비판형, 그리고 일반 사회의 문제를 디자인 내부 문제로 접근한 융합형으로 분류했다.
위의 연구를 바탕으로 1998년부터 2020년까지 디자인 행동주의의 전개 양상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1998년대 이후 디자인 행동주의는 1980-90년대의 현장성을 강조한 거칠고 과격하거나 감정에 호소하는 그래픽보다는 정제된 글자와 순화된 그래픽 이미지로 대중을 설득하고 공감을 끌어냄으로써 대중의 의식을 일깨우고 현실을 변화시키고자 했다. 또한 디지털의 발달로 개인의 발언과 참여가 확장되면서 디자인 행동주의가 디자이너의 전유물이 아닌 새로운 탐험과 공유로 실천되기 시작했다.
둘째, 2010년대 디자인 행동주의는 디자인계 내의 활동으로 제한된 것이 아닌 사회와 현장 속, 대중 담론의 소통 도구와 무기로 자리매김했다. 특히 디자이너의 연대를 통해 유연한 형태의 조직을 구성하고 프로젝트별로 결합하는 방식의 활동이 두드러졌고, 거대 담론에 기댄 강령을 세우기보다 지속가능한 실행 프로그램을 가지고 당대의 문제와 이슈들에 발언했다.
최종 작품으로서 아카이브의 시각화 연구 결과물은 (1)디지털 아카이브와 (2)출판물의 형태로 제작되었다.
디지털 아카이브(http://koreadesignactivism.kr)는 소개, 연도별, 사건과 이슈, 키워드를 통해 디자인 행동주의 사료를 탐색할 수 있는 비선형적 방식을 제안한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 디자인 행동주의의 사료를 계층과 유기적 관계에 따라 범주화하거나, 사회사와 관계하여 통합적이고 확장적인 측면에서 디자인 행동주의를 탐색할 수 있다. 디지털 아카이브는 대중의 접근이 쉽고, 지속적 업데이트가 가능하므로 장기적인 시각 문화 기억의 플랫폼으로서 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
출판물은 <1998년 이후 한국 디자인 행동주의 아카이브>와 별책부록 총 두 권으로 제작되었다. <1998년 이후 한국 디자인 행동주의 아카이브>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한국 사회 속 사건과 이슈와 디자인 행동주의의 사료를 나열하여 디자인이라는 분야의 특수성을 살필 수 있다. 은 디자인 행동주의에 관한 대표적 출판물을 스캔하여 엮음으로써 디지털 파일의 이미지로만 존재하는 아카이브에 물성과 실재감을 부여했다.
본 논문은 한국 디자인사에서 범주화와 이론화가 되지 않은 채 부유하는 한국 디자인 행동주의에 관한 연구를 넓히는 실마리를 마련했다고 볼 수 있다. 아울러 현실 사회의 주체로서 그리고 시각 문화 생산자로서 디자이너의 역할에 대해 제고하고, 현시대가 요구하는 디자인의 사회문화적 개념과 가치를 모색하게 한다. 본 연구를 토대로 앞으로 새로운 의미 작용을 일으킬 수 있는 한국 디자인 행동주의에 대한 지속적인 학문적 관심과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7366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857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