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An assessment of the benefits and results of the Arab Spring with focus on Tunisia for the period 2011-2020 : 아랍의봄의혜택과결과에대한평가 : 2011-2020 기간동안의튀니지사례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나디아

Advisor
신성호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Arab SpringArab RevolutionDemocracy transitioneconomic developmentpolitical system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국제대학원 국제학과(국제통상전공), 2021.8. 신성호.
Abstract
This article underlines that the Arab uprisings which swept across the Arab
region in 2011 (Tunisia, Egypt, Libya, Yemen, Syria, Jordan, Bahrain and Sudan)
surprised everyone and all States; since no one ever thought that the Arab people could
provoke such phenomena and bring down such authoritarian regimes which lasted
more than 20 years in this region and contradict that autocratic and authoritarian
regimes can only promote political stability and economic prosperity and that no
political force should challenge them. The Revolution was led by young people, who
took to the streets and demonstrated against these autocratic regimes and who managed
to overcome their fear of the repressive state, and thus restore their dignity. (Salih, The
Roots and Causes of the 2011 Arab Uprisings, Spring 2013) The economic
impoverishment of the majority of the population, spectacularly illustrated by the skyrocketing
food prices in the Arab region as well as by high unemployment rates,
especially among young people under 25 years who represent around 65% of the total
population of the Arab world. This is in stark contrast to the continued enrichment of
the ruling elites who, through corruption, have managed to amass a huge amount of the
national wealth. (Salih, The Roots and Causes of the 2011 Arab Uprisings, Spring
2013) Poor, frustrated and numerous young graduates eventually rose up against the
rich, corrupt ruling elites. The authoritarian and violent nature of Arab regimes is also a
primary factor among the important factors leading up to the Arab uprising of 2011.
Most Arab regimes are classified as a highly authoritarian system in which political
power is monopolized by a few rather than shared by the greatest number. Massive
human rights violations and the confiscation of basic individual freedoms such as
freedom of expression, freedom of the press, freedom of organization and freedom of
association were also another factor causing the popular uprisings in Tunisia.
Mass media communication has been dominated and monopolized by regimes which
have not allowed any individual or group to reflect views opposed to those of the
government; journalists, human rights activists, politicians and trade unionists are
regularly harassed by state authorities, tried on false charges, placed under constant
surveillance, subjected to blackmail and sometimes exposed to physical violence.
Most authoritarian regimes were managed to muzzle the protest movements, three
countries were in the grip of civil war (Syria, Libya and Iraq) then Egypt experienced,
in July 2013, a military coup bringing back to the political center stage an army which
had not given up on the exercise of power. Only Tunisia seems to float and be engaged
in a process of transition pact between the different political actors ( (Lieckfett, 2012)).
In this study, we discuss the Tunisian experience following the uprisings that marked a
sudden and unexpected transition from authoritarian to democratic rule and provided a
critical junction for political reform. Among the diverse and frequently interrelated
reform issues, we focus on the introduction and adoption of modern democracy
(Vermante, March 2013). After these uprisings, the major challenge was the
deterioration of the economy and whether the government manages to pursue sound
economic policies that lead to real living conditions despite the democracy expected
after the political uprisings.
이 기사는 2011 년 아랍 지역 (튀니지, 이집트, 리비아, 예멘, 시리아,
요르단, 바레인, 수단)을 휩쓸었던 아랍 봉기가 모든 사람과 모든 국가를
놀라게했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아랍인이이 지역에서 20 년 이상 지속
된 권위주의 정권을 무너 뜨리고 독재 정권은 정치적 안정과 경제적
번영만을 촉진 할 수 있으며 어떤 정치력도 도전해서는 안된다는 것과
모순되는 아랍인들이 그러한 현상을 유발할 수 있다고 아무도 생각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그들. 혁명은 거리로 나가 이러한 독재 정권에
대항하여 시위를 벌였으며 억압 국가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하고
존엄성을 회복 한 젊은이들에 의해 주도되었습니다.
인구 대다수의 경제적 빈곤은 아랍 지역의 급등한 식량 가격과 높은
실업률, 특히 아랍 세계 전체 인구의 약 65 %를 차지하는 25 세 미만의
젊은이들 사이에서 두드러지게 설명됩니다. 이것은 부패를 통해 엄청난
양의 국부를 축적해온 지배 엘리트들의 지속적인 풍요와는 극명한
대조를 이룬다. (Salih, 2013 년 봄) 가난하고 좌절하며 수많은 젊은
졸업생들이 결국 부유하고 부패한 지배 엘리트에 대항했습니다. 아랍
정권의 권위주의적이고 폭력적인 성격은 2011 년 아랍 봉기를 이끄는
중요한 요인 중 주요 요인이기도합니다. 대부분의 아랍 정권은 정치적
권력이 소수에 의해 공유되기보다 소수에 의해 독점되는 매우 권위적인
체제로 분류됩니다. 가장 큰 숫자. 대규모 인권 침해와 표현의 자유,
언론의 자유, 조직의 자유, 결사의 자유와 같은 기본적인 개인의 자유의
몰수 역시 튀니지에서 대중 봉기를 일으킨 또 다른 요인이었습니다.
대중 매체 커뮤니케이션은 개인이나 집단이 정부의 견해에 반대하는
견해를 반영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 정권에 의해 지배되고
독점되었습니다. 언론인, 인권 운동가, 정치인 및 노동 조합원은
정기적으로 주 당국에 의해 괴롭힘을 당하고, 허위 혐의를 받고, 지속적인
감시를 받고, 협박을 당하고, 때로는 신체적 폭력에 노출됩니다.
대부분의 권위주의 정권은 시위 운동을 총구로 삼았고, 세 국가는 내전
(시리아, 리비아, 이라크)에 휘말 렸고, 이집트는 2013 년 7 월 군사
쿠데타를 경험했습니다. 권력 행사를 포기했습니다. 오직 튀니지 만이
떠다니며 서로 다른 정치 행위자들 간의 전환 협정에 참여하고있는 것
같습니다 ((Lieckfett, 2012)).
이 연구에서 우리는 권위주의에서 민주적 통치로의 갑작스럽고 예기치
않은 전환을 표시하고 정치 개혁을위한 중요한 교차점을 제공 한 봉기
이후의 튀니지 경험에 대해 논의합니다. 다양하고 자주 상호 관련된
개혁 문제 중에서 우리는 현대 민주주의의 도입과 채택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Vermante, 2013 년 3 월). 이러한 봉기 이후 가장 큰 도전은
경제 악화와 정치 봉기 이후 예상되는 민주주의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실제 생활 조건으로 이어지는 건전한 경제 정책을 추구 할 수 있는지
여부였습니다.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77415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638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