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Created with a Silver Spoon? : 금수저 인플루언서들의 소속사 기반 스필오버 효과: 브이튜버 시장을 중심으로
Spillover Effects of Management Companies in the Vtuber Market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형서

Advisor
장정주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spillover effectviralitysocial media influencer (SMI)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경영대학 경영학과, 2021.8. 윤혜리.
Abstract
Increasing usage of social media has given subsequent birth to micro-celebrities, or social media influencers (SMIs). Despite the fact that SMIs function as key opinion-leaders in society and the market, little is known about what traits make an SMI popular in the first place. While SMIs are generally considered to gain popularity from rock-bottom through individual endeavors alone, we find an exceptional media sector consisting of virtual YouTubers (vtubers). A vtuber, unlike the usual human YouTuber, is an artificially created figure strictly managed by sponsoring companies from the beginning of his/her debut. Finding a similarity between sponsor-vtuber relationships and parent-child relationships within brand extensions, we ran a random effects model against 560 company-owned vtubers to check whether similar spillover effects can be observed in a social media context as well. Our research yielded positive results, suggesting the existence of persistent spillover effects based on parent-brand popularity. An additional time series analysis was conducted against the weekly changes in the size of management agency influence on their affiliated vtubers. An ARIMA(1,2,0) model demonstrates a high fit with our data, and we find that the model confirms a constantly decreasing size of influence along with the passage of time.
소셜미디어의 확산은 마이크로셀레브리티와 소셜미디어 인플루언서(SMI)의 등장을 초래했다. 이미 사회적, 경제적으로 SMI들이 오피니언 리더로서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이 정확히 어떤 근본적 요인으로 인해 대중적 인기를 얻게 되었는지에 대해 알려진 바는 많지 않다. 많은 경우에 SMI들이 순수하게 자력으로만 팬덤을 구축하는 것으로 간주되는 것에 반해, 필자들은 버츄얼 유튜버(vtuber) 업계로부터 예외적인 상황을 목격했다. 일반적인 인간 유튜버와 달리, vtuber는 데뷔 이전부터 소속사로부터 엄격하게 관리당하고 통제 받는 가상의 디지털 캐릭터들이다. 본 연구에서는 소속사 대 vtuber의 관계가 브랜드 확장 상태의 모브랜드 대 신규 브랜드의 관계와 유사하다는 점에 착안하여, 후자의 경우에 관찰되는 스필오버 효과가 전자에서도 발현되는지 검증하기 위해 소속사와 계약을 맺고 있는 총 560 명의 vtuber에 대해 임의효과 모형을 적용시킨다. 그 결과, 소속사의 영향력이 vtuber의 인기에 대해 긍정적 스필오버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 주차별 스필오버 효과 크기의 변화에 대한 시계열 분석을 통해 추세를 예측하는 데 적합한 모형으로 ARIMA(1,2,0) 모델을 특정해내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스필오버 효과가 감소하는 경향성을 지님을 검증했다.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77560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755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