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Establishing the evidence base for forest-based health promotion programs in Korea : 한국의 녹지이용 건강증진 프로그램 근거기반 구축 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수진

Advisor
백도명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Forest-based health promotion programsForest healingForest therapyForest healing programsHealth effectNature environment녹지이용 프로그램산림치유산림치유 프로그램건강영향자연환경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보건대학원 환경보건학과, 2021.8. 박수진.
Abstract
In accordance with entering aged society, modernization and growing interest in health, attempts are increasing to restore health conditions and improve quality of life by utilizing nature and forests. The natural environment offers a variety of benefits in terms of psychological, social, educational and physiological aspects. Green spaces such as forests, parks, trees, and gardens are known to have a direct and indirect impact on people's health and well-being in various ways. There are three main mechanisms by which green space exposure affects health: providing opportunities for physical activity, promoting and developing social activities, and improving health conditions through green space exposure itself. Researches into the link between health and green spaces are ongoing, and evidence is accumulating from diverse persp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scientific evidences for the effects of the use of green space, which is expanding beyond public service functions to prevent diseases and promote health, on the human body psychologically and physiologically. The current status of prior researches on health levels according to forest exposure was analyzed, and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effects of participation in forest-based health promotion programs were reviewed through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The current status of forest healing programs conducted in Korea was investigated, and the composition of the programs and the level of health-related evidence were evaluated. In addition, various interventions of forest exposure levels were carried out and the results of change in health indicators were identified.
Based on previous studies, 33 literature were analyzed and the activities performed in forest-based interventions were typified as staying, walking, exercising, and indirect exposure. In fact, walking in forests has consistently shown health improvement in the overall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domains. Forest-based activity programs have been shown to be effective such as depression, anxiety, cognitive function, stress hormones, and inflammatory relief, but lack evidence to assess differences in health effects according to activity types.
According to an analysis of 75 representative forest healing programs developed and operated in Korea, more than 90% of the programs were designed for the normal with the aim of promoting health. The participants in the program were teenagers and adults at a high rate. For detailed factors of forest healing programs, dynamic activities using plants or stimulating touch were the most common. In addition, the forest healing program consisted mainly of walking activities, and it was revealed that the program mostly consisted of one-day or accommodation-type forest healing programs, including more than 60 minutes of outdoor programs in spring and summer. As a result of classifying the level of effectiveness of forest healing program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hapter 2, on the psychological side, less than an hour of walking was found to have the greatest effect while less than an hour of staying and exercising was found to have the most considerable levels of effectiveness on the physiological aspect. However, current forest healing programs were mainly concentrated on walking and exercising for more than an hou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ctivities in areas with high levels of evidence when developing forest healing programs in the future.
To verify the health effects of forests, various health-related indicators were observed to analyze how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forest healing programs for two nights and three days causes changes in health conditions before, right after and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from the program participation. Short exposure times and activities alone had positive health effects such as immunity and cardiovascular conditions, and showed significant changes after the program.
This study examined the possibility of forest-based health promotion programs as a way to promote public health by objectively and quantitatively evaluating the health effects on forest exposur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basis necessary for designing forest healing programs in the future, and to arrange a foundation for big data base related to the effectiveness verification of green-space use.
고령사회로의 진입과, 현대화, 건강에 관한 관심증가에 따라 자연과 산림을 활용하여 건강을 회복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려는 시도가 증가하고 있다. 자연환경은 심리적, 사회적, 교육적, 생리적인 측면에서 다양한 혜택을 준다. 숲, 공원, 나무, 정원과 같은 녹지공간은 사람들의 건강과 웰빙에 다양한 경로로 직, 간접적인 영향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 녹지 노출이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잇는 주요한 메커니즘으로 녹지가 신체활동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 사회적 활동을 촉진시키고 발전시키는 것, 녹지 노출 자체가 건강에 도움된다는 세가지가 제시되고 있다. 건강과 녹지 간의 연관성에 대해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으며 다양한 관점에서 근거가 축적되고 있다.
본 연구는 공익기능을 넘어 질병의 예방, 건강증진의 활동으로 확장되고 있는 녹지가 심리, 생리적으로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과학적인 근거 마련을 위하여 수행되었다. 녹지노출에 따른 건강 수준의 연구 현황을 분석하고 체계적인 문헌고찰을 통해 녹지기반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심리, 생리학적 효과를 검토하였다. 국내에서 운영되고 있는 녹지 이용 프로그램의 현황을 조사하고, 프로그램의 구성현황과 보건학적인 근거 수준을 평가하였다. 또한 실제로 다양한 녹지 노출 중재를 수행하고 이에 따른 건강지표의 변화 수준을 확인하였다.
기존에 수행된 연구를 바탕으로 33개의 문헌을 분석한 결과, 산림 기반 중재에서 수행되는 활동을 머물러 있기, 걷기, 운동, 간접노출로 유형화하였다. 실제 녹지에서 행해지는 걷기는 심리적, 생리적으로 전반적인 영역에서 일관되게 건강증진 효과를 보였다. 녹지를 기반한 활동은 우울 및 불안, 인지기능, 스트레스 호르몬, 염증완화 등에서 녹지에서의 프로그램이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활동 유형에 따른 건강영향의 차이를 평가할 수 있는 근거는 부족하였다.
국내에서 개발, 운영되고 있는 대표적인 산림치유 프로그램 75개를 분석한 결과, 90%이상의 프로그램이 건강증진을 목적으로 하는 정상인을 대상으로 계획한 프로그램이었다. 프로그램 참여자는 청소년과 일반성인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 하고 있었다. 세부 인자는 식물을 활용하고, 촉각을 자극하는 동적인 활동이 가장 많았고, 주로 걷기를 하였으며, 봄과 여름철에 시행되는 60분 이상의 실외 프로그램으로 당일형과 숙박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 수준을 chapter 2의 연구결과에 따라 구분한결과, 정신적인 측면에는 걷기를 1시간 미만으로 시행하였을 때, 신체적 측면에는 머무르기와 운동을 1시간 미만으로 시행하였을 때 효과의 크기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현재 운영되고 있는 프로그램들은 1시간 이상 걷기와 운동에 대부분의 프로그램들이 집중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프로그램 개발 시 근거의 수준이 높은 영역의 활동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녹지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증하기 위하여 2박 3일간의 산림에서의 프로그램 참여 경험이 사전, 사후, 그리고 일정한 시간이 지난 다음에는 어떻게 변화하는지 다양한 건강영향 지표들을 활용하여 그 양상을 분석하였다. 짧은 노출시간과 활동만으로도 면역과 심혈관계 등 건강상의 효과가 있었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다
본 연구는 녹지노출에 대한 건강 영향을 객관적이 정량적으로 평가함으로써 국민건강증진을 위한 방안으로 녹지기반 프로그램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향후 산림치유 프로그램 기획 시 필요한 기초자료를 구축하고, 녹지 이용에 대한 효과 검증 빅데이터 구축을 위한 기초체계를 마련하였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7713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743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