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Ethmoidal-maxillary Nerve Block for Desensitization of the Nasal Cavity in Dogs : 사골-상악 신경차단을 활용한 개의 비강 국소마취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현석

Advisor
이인형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ethmoidal nervemaxillary nervenasal cavitylocal blockadedogm사골 신경상악신경비강국소 마취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수의과대학 수의학과, 2021.8. 김현석.
Abstract
Reflex movement and sudden changes in cardiopulmonary variables, which are induced by mechanical nasal stimulation, can cause complications during nasal procedures such as rhinoscopy, nasal biopsy or nasal surgery. To reduce the stimulation-induced responses during the procedures, ethmoidal and maxillary nerves associated with sensations of the nasal cavity should be blocked.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1) to develop the technique of ethmoidal nerve block (EBLOCK) in dogs and to compare an analgesic effect of the maxillary nerve block (MBLOCK), EBLOCK and their combination; 2) to compare the ethmoidal-maxillary nerve block (EMBLOCK) and topical nasal application of lidocaine gel (LGEL) for the proposal of an interchangeable technique according to clinical situations; and 3) to evaluate the clinical application of the EMBLOCK in dogs.
The approach to the ethmoidal foramen was determined in canine cadavers using computed tomography with iohexol injection. The different cardiopulmonary responses under the Control, MBLOCK, EBLOCK or EMBLOCK were evaluated during nasal stimulation in anesthetized beagle dogs. In addition, the cardiovascular responses after EMBLOCK or LGEL were compared during nasal stimulation in anesthetized beagle dogs. Furthermore, the clinical effect of EMBLOCK was assessed in 14 client-owned dogs with scheduled rhinoscopy with or without biopsy. The increase in cardiovascular variables (heart rate and arterial blood pressure), the anesthetic requirement and the occurrence of the reflex head movement were evaluated during rhinoscopy with EMBLOCK or hydromorphone injection (HINJECTION).
The injected iohexol was distributed around the target foramina in all cadavers. The physiologic responses were significantly attenuated with the EMBLOCK. Both EMBLOCK and LGEL significantly attenuated the cardiovascular responses. Moreover, the increase in cardiovascular variables and the anesthetic requirements were significantly lower with EMBLOCK than HINJECTION. In addition, the occurrence of reflex head movements was more frequent with HINJECTION.
The EBLOCK technique suggested in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dogs. The result of the nasal stimulation experiment indicates that EMBLOCK provides significant desensitization of the nasal cavity compared to either block alone. In addition, as LGEL has identical potency to EMBLOCK, both options can be selected interchangeably for nasal desensitization in circumstances which one of the two techniques cannot be applied. During rhinoscopy, the EMBLOCK provides cardiovascular stability, attenuates adverse response movements and reduces anesthetic requirement. Therefore, EMBLOCK can be suggested for stable anesthetic maintenance during nasal procedures in dogs.
본 연구의 목적은 1) 개에서의 사골 신경차단 기법을 개발하고 상악 신경차단, 사골 신경차단, 그리고 두 신경차단의 병용 시 그 효과를 비교하며, 2) 상호보완적인 기법을 제시하기 위해 사골-상악 신경차단과 리도카인 젤의 비강 국소 적용을 비교하고, 3) 개에서 사골-상악 신경차단의 유용성을 임상적으로 평가하는 것이다.
제1장에서는 개 사체에서 조영제 투여와 함께 컴퓨터단층촬영을 통하여 사골공 접근법을 설정하고, 전신마취된 비글견에서 대조군, 상악 신경차단, 사골 신경차단, 그리고 두 신경차단의 병용에 따라 비강 자극 시 심폐관계의 반응을 비교하였다. 자극에 대한 반응은 두 신경차단을 병용하였을 때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이 결과로부터 사골 신경과 상악 신경을 모두 차단하는 것이 각 신경차단을 단독적으로 적용하는 것보다 효과적으로 비강 감각을 차단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제2장에서는 전신마취된 비글견에서 사골-상악 신경차단 실시, 또는 리도카인 젤을 비강에 국소 적용한 후, 비강 자극 시 심맥관계의 반응을 비교하였다. 두 기법 모두에서 유의적으로 심맥관계 반응이 감소하였으며, 그 결과로부터 두 가지 기법은 서로 상호보완적으로 비강 감각차단을 위해 선택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제3장에서는 비강 내시경을 진행했던 14마리의 환견에서 사골-상악 신경차단의 임상적용을 평가하였다. 비강 내시경을 진행하는 중에 심맥관계 수치의 상승, 전신 마취제 요구량, 그리고 자극에 대한 반사 움직임을 사골-상악 신경차단을 적용한 그룹과 전신 진통제를 투여한 그룹으로 나누어 평가하였다. 심맥관계 수치의 상승과 전신 마취제 요구량이 국소마취를 진행한 그룹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 또한, 자극에 대한 반사 움직임이 전신 진통제를 투여한 그룹에서 유의적으로 빈번하였다. 실험 결과에 따라, 사골-상악 신경차단이 개의 비강 시술에 대한 효과적인 진통 기법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들의 결과를 통하여, 상악 신경과 사골 신경을 모두 차단하는 것은 비강의 감각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강 감각차단을 통해 사골-상악 신경차단은 비강 자극 시 심폐관계의 안정성 증진, 반사 움직임의 감소, 그리고 전신 마취제 요구량의 감소 효과를 보이기 때문에 개의 비강 시술 시 안정적인 마취 유지를 위해 적용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리도카인 젤의 비강 국소 적용은 사골-상악 신경차단과 동일한 효과를 보이기 때문에 두 가지 국소마취 기법 중 특정 방법을 적용하지 못하게 되는 상황에서 소동물 임상가의 판단 하에 상호보완적인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77717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747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