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Evaluation of Hemolysis by Rapid Autologous Transfusion in Dogs : 개에서 빠른 자가 수혈 속도에 따른 용혈의 정도 평가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황혜진

Advisor
김민수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dogshemoglobinhemolysisrapidtransfusionautologous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수의과대학 수의학과, 2021.8. 황혜진.
Abstract
In very emergent situations requiring urgent blood transfusion, rapid transfusion can cause clinicians to worry about side effects of blood transfusion or mechanical hemolysis.1 At this time, the rate of blood transfusion is considered to be the least mechanical hemolysis. Several studies to determine the evaluation of hemolysis for transfusion made in vivo have limited the rate of transfusion, while in vitro, it was confirmed that hemolysis did not occur even after transfusion was conducted at the fastest possible rate (a rate over 8,000 mL/hr).3 4 5 Therefore, it was necessary to study whether the same result was obtained even in rapid blood transfusion in vivo.
After inhalation anesthesia from six healthy dogs, 20% of blood was collected from the jugular vein aseptically. The autologous transfusion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degree of hemolysis before and after transfusion with three methods; 1. slow method : the typical transfusion rate (5-10 mL/kg/hr), 2. full method : full drop via gravity flow which is the rate of transfusion used in emergencies (measured, mean 42 mL/kg/hr), 3. bolus method : and the rate of massive transfusion through 60 mL syringe and 18 μm filter (1.5 mL/kg/min, mean 88.24 mL/kg/h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free hemoglobin (p=.007) and hemolysis (p=.008) between the bolus method and slow or full method. This describes that when transfusions are performed in vivo, hemolysis occurs more at the bolus rate than slow or full rate.
In an emergency where blood transfusions are indicated at a rapid rate, transfusion at a rate of full drop via gravity flow will have a better prognosis.
응급실에서는 급성 실혈에 의해 반드시 긴급한 수혈이 필요한 상황들을 직면하게 된다. 하지만 매우 응급한 상황일지라도 빠르게 수혈을 하는 것은 임상 수의사에게 수혈 부작용이나 물리적인 용혈에 대한 걱정을 야기시키게 된다. 이때 어떤 수혈 속도가 가장 물리적 용혈이 덜 되는지에 고려하게 된다. 생체 내에서 이루어진 수혈에 대한 용혈의 정도를 파악하는 여러 연구들은 수혈 속도에 제한을 두고 있었고, 생체 외에서 이루어진 실험에서는 가능한 한 가장 빠른 속도 (8,000 mL/hr)로 수혈을 진행한 후에도 용혈이 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생체 내의 빠른 수혈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이게 되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였다.
실험 방법으로는 여섯 마리의 개에서 흡입 마취 후 경정맥에서 20%의 혈액을 채혈한 뒤, 자가 수혈을 이용하여 3가지 속도으로 전혈 수혈을 진행하였다. 일반적인 빈혈 환자의 최대 수혈 속도 (5-10 mL/kg/hr)와 응급 상황일 때 사용하는 수혈의 속도인 중력 full drop (본 실험에서는 평균42 mL/kg/hr로 측정됨)과 syringe와 filter를 통한 대량 수혈에 상응하는 속도 (1.5 mL/kg/min, 90 mL/kg/hr)로 수혈하여 수혈 전후의 용혈의 정도를 비교하였다. 일반수혈속도, 중력 full drop과 대량 수혈 속도 수혈의free hemoglobin(p=.007)과 hemolysis(p=.008)의 수혈 전후 차이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이것은 생체 내로 수혈을 할 때, 일반적인 수혈 속도나 중력 full drop속도에 비해 대량 수혈 속도에서 용혈이 일어남을 보여준다.
응급 수혈이 지시되는 상황에서 매우 빠른 속도로 수혈을 진행하게 된다면 대량 수혈의 속도로 수혈을 진행할 때에는 용혈이 일어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용혈에 의한 부작용이 걱정되는 환자에서 중력 full drop 정도의 속도로 수혈을 진행한다면 환자의 예후에 더 좋은 영향을 미칠 것이다.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77720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637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