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Misdiagnosis in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A Scoping Review and the Estimation of Missed Nonfatal Occupational Injuries using the International Labor Organization Occupational Injury Datasets : 직업환경의학에서의 오진 : 주제범위 문헌고찰 그리고 국제노동기구(ILO) 직업성 손상 데이터를 이용한 비치명적 직업성 손상의 보고누락 규모 추정
Misdiagnosis in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문진영

Advisor
백도명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MisdiagnosisCausation ModelScoping ReviewInternational Labor Organization (ILO) statistics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보건대학원 환경보건학과, 2021.8. 백도명.
Abstract
Introduction: Even though the topic, misdiagnosis in general medicine, was dealt with in many previous studies, the topic, misdiagnosis in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was not dealt with properly and completely in previous literature. This study aims 4 objectives: (ⅰ) The first objective is to build up a conceptual serial diagnostic framework for occupational diseases (ODs) and environmental diseases (EDs). (ⅱ) The second objective is to develop a classification framework for the causes of misdiagnoses in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OEM). (ⅲ) The third objective is to conduct a scoping review for delayed and wrong diagnoses in OEM. (ⅵ) The final objective is to estimate the magnitude of missed nonfatal occupational injury reporting using the International Labor Organization (ILO) occupational injury datasets.

Conceptual diagnostic framework and classification framework: With the 2 types of cognitive functions and the role of each sub-components of the social system considered, a conceptual serial diagnostic framework was devised. With reference to misdiagnosis articles in general medicine and the unique features of OEM considered, the causation model with 6 serial steps was devised.

Scoping review for wrong diagnosis (including delayed diagnosis): A total of 79 articles were included in the scoping review. For clinical specialty, pulmonology (30 articles) and dermatology or allergy (13 articles) specialty were most frequent. For each disease,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interstitial lung diseases (ILD), misdiagnosed as sarcoidosis (8 articles), and other lung diseases (8 articles) were most frequent. For the causation model, the first step, Knowledge base, was the most vulnerable step (42 articles). For reported articles, the frequency of false-negative (55 articles) outnumbered the frequency of false-positive (15 articles).

Original research for missed occupational injury reporting: The ratio of discovered nonfatal occupational injuries to total nonfatal occupational injuries was 0.33 (95% CI 0.28-0.40) for Convention 029, 0.13 (95% CI 0.12-0.15) for Convention 105, and 0.48 (95% CI 0.42-0.54) for Convention 087. In other words, about 52 to 87% of nonfatal occupational injuries are not being reported.

Overall discussion: Without the established criteria for the probability of causation, compensation disputes surrounding the OD or ED case would occur. The clarification of the concept between the probability of causation and relative risk is needed. According to the exposure assessment method and applied biological model, the dose-response relationship can be markedly different. Imperfect exposure assessment is another essential problem. OEM education and training for treating physicians and understanding the intentional behaviors of stakeholders are important. Previous literature about the causes of missed nonfatal occupational injury reporting due to employers, employees, and the government, respectively, was discussed. The role of the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system of the society in reducing the missed nonfatal occupational injury reporting was discussed.
서론: 비록 이전까지의 많은 연구들에서 일반 의학 관점에서의 오진은 많이 다루어졌지만 직업환경의학에서의 오진은 제대로 다루어지지 않았습니다. 이 연구의 목표는 4가지입니다. 첫째는 직업성 질병과 환경성 질병의 진단에 관한 순차적인 개념적 틀을 정립하는 것입니다. 두 번째는 직업환경의학에서의 오진을 그 원인에 따라 분류하는 개념적 틀을 정립하는 것입니다. 세 번째는 직업환경의학에서의 지연된 진단과 잘못된 진단에 관한 주제범위 문헌고찰을 수행하는 것입니다. 네 번째는 비치명적인 직업성 손상의 누락 규모를 세계 노동 기구 직업성 손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추정하는 것입니다.

순차적인 진단의 개념적 틀 및 원인 분류의 개념적 틀: 인간 인지 과정의 2가지 종류 및 사회 시스템 세부 구성 요소의 각 역할에 따라 순차적인 진단의 개념적 틀이 정립되었습니다. 일반 의학에서의 오진에 관한 문헌들과 직업환경의학의 독특한 특성을 고려하여, 진단의 각 세부과정 6개 단계에 따라 오진 원인 분류의 틀이 정립되었습니다.

잘못된 진단에 대한 주제 범위 문헌 고찰 (지연된 진단을 포함): 총 79개의 문헌이 주제범위 문헌고찰에 포함되었습니다. 임상 과목에 따라서 분류하면 호흡기내과가 30개 문헌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이 피부과와 알러지내과로 13개의 문헌보고가 있었습니다. 개별 질병에 따라 분류하면 유육종증 (8개 문헌) 및 다른 폐질환 (8개 문헌)으로 잘못 진단된 직업성 또는 환경성 간질성 폐질환이 가장 많았습니다. 앞서 정립한 원인 분류의 개념적 틀에 따르면 (causation model), 첫 번째 단계인 기반 지식 (knowledge base) 단계가 가장 오진이 많이 일어난 단계였습니다 (42개 문헌). 이렇게 수집된 문헌을 기반으로 했을 때, 위음성의 빈도가 55개 문헌으로 위양성의 문헌 빈도인 15개 문헌보다 훨씬 많았습니다.

비치명적 직업성 손상의 누락 규모에 관한 원저: 비치명적인 직업성 손상의 총 빈도수에서 보고된 케이스의 분율은 국제 노동 기구 29번 조약에 대해서는 0.33 (95% 신뢰구간 0.28-0.40) 이었고, 국제 노동 기구 105번 조약에 대해서는 0.13 (95% 신뢰구간 0.12-0.15) 였으며, 국제 노동 기구 87번 조약에 대해서는 0.48 (95% 신뢰구간 0.42-0.54) 였습니다. 다른 말로 하면 총 비치명적 직업성 손상의 52~87%가 보고되지 않고 누락되고 있음을 추정하였습니다.

전반적 고찰: 인과 확률 (probability of causation)에 대한 확립된 기준이 없다면, 직업성 질병과 환경성 질병을 둘러싼 보상에 관한 분쟁이 발생할 여지가 높습니다. 인과 확률 (probability of causation)과 상대위험도 (relative risk)의 정의에 대한 분명한 구분이 필요합니다. 노출 평가의 방법과 적용된 생물학적 모델에 따라 용량-반응 관계가 유의미하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불완전한 노출평가는 또 다른 중요한 오진의 원인입니다. 직업환경의학에 대한 교육과 수련이 의사 양성 과정에서 필수적이며, 각 이해관계자의 의도적인 행동도 충분히 고려되어야 합니다. 마지막 원저 부분에 대해서는 비치명적 직업성 손상이 누락되는 원인에 대한 선행 문헌들의 분석을 제시하였는데, 고용주, 노동자, 그리고 정부 측에서 기인한 원인을 각각 요약 제시하였습니다. 마지막으로 한 사회에서 누락되는 비치명적 직업성 손상의 분율을 줄이기 위한 직업 건강 및 안전 시스템의 역할이 강조되었습니다.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78135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638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