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New Expressions of Masculinity Demonstrated through Design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Mens Suit Collections : 현대 남성 수트 컬렉션의 조형적 특징과 새로운 남성성의 표현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회령

Advisor
하지수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MenSuitsMenswearMasculinityFlexible MasculinityPersonal TasteFreedom of Expressions수트남성복남자남성남성성유연한 남성성개인 취향표현의 자유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생활과학대학 의류학과, 2021.8. 하지수.
Abstract
오늘날 남성복은 그동안 여성복과 연관되어온 다채로운 조형적 특징과 담화를 그 어느 때보다 많이 공유하고 있다. 이러한 패션 현상이 사회적 시위의 일환으로 젠더 이슈에 민감하게 반응한 때문인지, 아니면 패션에 관심이 커진 남성의 취향 때문인지 흥미로운 질문들이 생기고 있다. 이런 변화는 2015년부터 특히 남성 수트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예절과 형식, 헤게모니적 남성성을 상징하는 수트에서 대거 등장하고 있는 화려한 디자인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현대 남성 수트의 새로운 조형적 요소를 분석해 남성성의 표현(expression of masculinity)이 이전에 견주어 어떻게 발전하고 있는지 밝히고, 이들의 사회문화적 요인들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양한 심층 문헌 연구와 패션 사진의 내용분석이 이루어졌다. 특히 패션 트렌드 리포트 (WGSN 보고서, 61pg; Vogue Runway 보고서, 236pg)의 코딩분석과 선택된 사진의 내용분석(2015S/S-2020F/W, 총 1155장의 사진)을 통해 글로벌 남성 수트 컬렉션에 나타난 여성적 디자인 요소를 분석했다. 실루엣, 디테일, 색상, 소재, 문양, 액세서리, 코디네이션 측면에서 분석이 수행됐고, 이를 토대로 남성성의 표현들을 도출했다. 연구 범위와 관련하여, 본 연구의 수트는 재킷, 이너웨어 및 바지(또는 스커트)로 구성된 세트를 의미하지만, 과감하게 수정된 세트도 트렌드 리포트에서 수트라 지칭하면 포함시켰다. 브랜드 선정을 위해, 패션 전문가 5명들에게 남성패션에서 주목할 만한 명성을 가진 브랜드를 선택하도록 요청했고, 가장 많이 언급된 상위 20개와 여성적 조형 요소가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브랜드를 최종 선정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빅토리아 시대부터 남성성과 여성성의 차이가 어느 때보다 크게 벌어졌고, 1987년 코넬과 그의 연구진이 창시한 헤게모니적 남성성에 도달하기까지 남성성의 개념은 이분법적으로 발달해왔다. 헤게모니적 남성성은 사회에서 남성의 지배적 위치를 정당화하고 여성과 소외된 남성의 종속을 당연시한다. 또한 헤게모니적 남성성은 8가지 규범과 행위로 특정할 수 있다. 하지만 1980/90년대부터 일부 남성들은 위기의 남성성(masculinity in crisis)을 겪기 시작했고, 이는 2000대에 여러가지 남성성(multiple masculinities)의 탄생으로 이어졌다. 여기에는 항의의 남성성(e.g. 논바이너리 젠더); 게이; 메트로섹슈얼, 우버섹슈얼, 크로스섹슈얼 등이 포함된다. 학계에서 논의된 가장 최근의 남성성은 하이브리드 또는 포용적 남성성이다. 하지만 여기서 언급된 남성성의 용어들 속에는 여전히 비하하는 의미도 들어있다. 이들은 여전히 백인 이성애자 남성이 본인 패션에 여성적 또는 게이 요소를 결합하는 것과 같은 표현을 사용한다. 이 용어들은 로맨틱의 경우처럼 여성적인 이미지로만 해석된다. 이는 학자들이 여전히 이분법적 해석 틀에 갇혀 있다는 사실을 드러낸다.

둘째, 19~20세기 남성 수트의 역사는 수트 디자인이 급격하게 바뀐 경우가 상대적으로 적다는 점을 보여준다. 심지어 2000년대 수트에서도 극도로 마른 실루엣이나 좀 더 다른 색을 사용한 것 외에 극적인 변화는 없었다. 2015년 이전에 나타난 수트 이미지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트레디셔널 클래식 & 레트로; 강한 & 근육질; 세련된 & 시크한; 우아한 & 로맨틱; 키치 & 관능적; 기능적 & 실용적; 파격적 & 자유로운. 1960년대 피콕 혁명처럼 남성 수트에 여성적 요소가 산발적으로 나타나기도 했지만, 이러한 옷은 하위문화나 소수 집단내에서 주로 착용이 허용됐다.

셋째, 2015S/S-2020F/W의 현대 남성 수트 실증분석을 통해 조형적 요소와 남성성의 표현에 큰 변화가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했다.

실루엣의 경우, X; Y; 슬림/박시한 H; A; I; 과장/왜곡된 라인 등 최소 8가지 유형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일부 스키니 X나 I라인이 2000년대부터 계속되지만, 더 이상 여성적인 이미지만 보여주지는 않는다. 또한 전반적으로 실루엣이 편안해진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수트의 팔이나 다리통을 과감히 잘라낸 cut-off 수트와 같은 혁신적인 수트도 나타난다. 오늘날은 다양한 실루엣이 체격이 다른 남성들에게 많은 선택권을 주고 있다.

디테일의 경우, 숄카라의 증가와 함께 이 카라가 장식적으로 확대/과장되어 남자의 큰 가슴이 더 도드라져 보이게 만드는 기법을 발견할 수 있다. 와이셔츠를 대체할 새로운 장식적 이너웨어; 술/자수로 뒤덮인 재킷; 내부 구성선을 밖으로 장식처럼 드러낸 인사이드아웃 재킷도 발견된다. 또한 실용적인 디테일에 과감한 색상대비를 추가하여 수트에 세련된 스트릿/아웃도어 이미지를 부여했다. 따라서 화려한 디테일은 더 이상 여성스러움만 보여주지 않고, 오늘날 창의적인 수단으로 사용된다.

색의 경우, 오늘날 수트는 아티스트로부터 영감을 받은, 난색, 고명도, 고채도, 파스텔 등 다양한 색상의 모든 색조를 보여준다. 뿐만 아니라, 디자이너들은 수트에 액티브 아웃도어 느낌을 더함으로써 익숙하지 않은 색을 남성들이 시도해 볼 수 있게 했다. 주목할 만한 것은 컬러필드 페인팅에서 영감을 받은 컬러필드 수트다.

소재의 경우, 오늘날 실크 파자마 수트처럼 여러 소재가 다양하게 수트에 사용되고 있다. 또한 부드러운 직물을 남성들이 더 시도해볼 수 있도록 돕는 참신한 방법들을 디자이너들이 고안해냈다. 그리스 영웅 이미지를 나타내는 볼륨감 있는 페이크 모피 정장은 한 사례다. 애슬레저를 접목한 하이브리드 수트도 두드러지게 나타나는데, 알록달록한 신축성 있는 소재나 방수 바이오코팅이 된 소재를 사용한다. 마지막으로 데드스톡 소재를 사용한 대비 소매(contrast sleeve) 재킷과 디지모더니즘(digimodernism)을 반영한 참신한 소재의 수트도 있다.

패턴의 경우, 아트워크, 꽃/식물/자연(업사이클 패턴 소재로 만든 독특한 패치워크, 자연의 디지털 클로즈업/고공 사진 등); 동물(환상의 동물부터 공룡과 작은 새까지); 지폐(부의 축적과 성공을 열망하는); 낙서나 레터링(사회적으로 의미 있는 문장) 등 다양한 모티프가 등장한다.

액세서리의 경우, 이전에 여성 것으로만 여겨지던 것들도 남성들에 의해 카리스마 넘치게 사용되고 있다. 반항적 정체성을 가진 남성들을 위한 과장된 액세서리도 있다. 새로움을 제공하기 위해 스트리트 브랜드와 수트 브랜드가 협업한 밝고 스포티한 액세서리들도 Z세대의 관심을 끌고 있다. 또 디지털 화면으로 잘 보이도록 모양이나 크기가 조절된 가방이나, 지속가능성을 위한 가방들이 수공예 기법으로 만들어지고 있다.

코디네이션의 경우, 디자이너 또는 런웨이에서 남성 개인이 자기 취향에 따라 조합한 독특한 스타일들이 대거 발견되고 있다. 예상치 못한 믹스&매치, 크로스오버, 무수히 많은 레이어링, 쿠튀르의 소재나 패턴으로 통일된 매칭 세트 등 과감한 스타일들이 나타난다. 무엇이든 내가 원하는 것(Whatever-I-Want)을 스스로 조합해 입는 스타일도 늘어나고 있다.

위 분석 토대로 다음과 같은 12개 남성성 표현 유형과 사회문화적 요인을 도출했다.

① Dont Care Gender 모던 로맨틱 남성: 여성스러움을 의미하지 않음; 감정에 충실한 남자; 세련된 섹시함; 우아함; 스키니 X-실루엣에 국한되지 않음; 장식적인 라펠, 자수; 시스루 가능; 미니백; 화려한 레이어링 등. 사회문화적 요인으로는 hyper-modernism, performatism, 인식변화 등이 있다.

② Subverted 아메리칸 카우보이: 섹시함 추구; 노골적으로 앤드로지너스한 모습은 원치 않아 카우보이 요소와 결합; 부드러우면서 터프함; 스키니 실루엣; 웨스턴 스타일 디테일과 액세서리. 와일드 웨스트 팝 문화의 부활로 생긴 남성 스타일.

③ Against Gender 반사회적 시인, 글램 록커: 사회에 저항하거나 속하지 않는 아티스트 시인 또는 글램 로커; 하위문화적; 젠더 블러링; LGBTQ+의 실제 차별과 고통을 있는 그대로 표현; 풍자; 캠프; 장난기 많은; 과장되거나 왜곡된, 화려한 디자인, 스타일; 성 소수자를 위한 다양하고 활발한 젠더∙사회 운동.

④ Visual 아티스트: 예술작품을 연상시키는 역동적인 색상, 패턴 또는 액세서리 활용; 예술가처럼 대담함; 예술가들이 영감을 준 색깔; 컬러필드 페인팅에서 영감을 받은 컬러 필드(color field) 수트; 최근 MZ세대가 유니크함을 더 추구하고 있고, 예술의 유니크함이 이를 충족, 따라서 예술적 영감의 수트 증가.

⑤ Active 커뮤터(출퇴근자): 아슬레틱 모더니티; 스트리트 문화에서 영감을 얻은 하이퍼모던 댄디즘과 수트의 결합; 손쉬운 착용; 박시; 조깅 팬츠/반바지 매치; 스포티한 디테일, 색상, 소재, 액세서리; 믹스&매치; 도시의 집값 상승, 출퇴근 시간 증가, 지구 온난화, 더워진 날씨 때문에 시원하고 편안한 출퇴근룩 요구.

⑥ Homebody 집돌이: 위 액티브 커뮤터보다 더 편안하고 휴식을 취할 수 있는 룩; 홈웨어, 파자마 같은 수트; 루즈핏, 헐렁한 핏의 소재; 실크 매칭 세트; 작은 클러치 백, 버킷햇, 버켄스탁 슬리퍼 등 가벼운 액세서리와 신발; 코로나 전염병 유행, 재택근무 증가에 따른 더 편안한 수트 룩.

⑦ Adventurer 모험가: 기능적인 디자인 요소 강조; 밀리터리; 하이퍼-아슬레틱 디테일, 색상, 소재, 액세서리. 스타일; 파카, 반바지 수트에 스포츠 레깅스, 플리스 재킷, 등산화, 배낭 등; 최근 MZ세대 익스트림 아웃도어 경험 추구.

⑧ Street 청년, 스케이터: 스마튼-업 룩과 스트리트 스케이터 룩의 융합; 터프하면서 쿨한 룩; 헐렁한 배기 실루엣; 운동화 끈 등 참신한 장식적 요소를 재킷 표면에 부착; 패치워크 패널 원단 사용 가능; 스케이터 액세서리, 겹겹 레이어링; 스트리트 브랜드와 신선한 협업 증가, 남성 본인이 직접 큐레이팅.

⑨ Technology 열광자: 끊임없이 변화하는 기술/미디어에 빠르게 적응 (e.g. TikTok); 디지털 스크린에서 잘 보이도록 조작한 소재/액세서리 활용; 공상과학 테마 패턴; 새로운 기술을 접목한 가방; 장인 공예도 존중; 최근 디지모더니즘과 패션 리포팅 증가로 남성도 개인 채널 운영.

⑩ Family 중시하는 강한 남성: 전통적인 남성 이미지에 제일 가까움; 근육질, 힘센, 아내/아이를 잘 돌봄; 이전보다 훨씬 패셔너블; 대담한 패션; 옛 영웅이나 장군을 연상시키는 술 장식 활발히 사용; 확장된 숄카라가 남성의 큰 가슴에 시선을 집중시킴; 일반적인 남성들도 패션 관심 대폭 증가.

⑪ Environmentally/Socially (환경/사회) 의식 있는 남성: 기후 변화, 인종차별 등 환경/사회 이슈에 큰 관심; 재활용 센터, 빈티지 샵, 인근에서 조달한 소재 사용; 업사이클링; 문양 들어간 데드스톡 소재 사용한 패치워크 패턴; 자선단체나 국립공원 협업을 통한 패턴 개발; 사회적으로 의미 있는 문구를 패턴으로 활용; 최근 지속가능성과 다양성에 관심 갖는 남성들 크게 증가, 가치 소비 중심.

⑫ WIW (내가 원하는 모든 것을 추구하는) 남성: 위 다양한 남성성의 표현 또는 그 밖의 표현에서 서로 다른 디자인 요소들을 자기가 원하는 대로 취사선택/ 결합할 수 있음; 남성의 취향에 따라 믹스&매치 스타일링; 셀프-큐레이팅; 색상, 텍스처, 패턴, 액세서리의 다양한 혼합; 런웨이에서 인플루언서 모델들이 자신만의 룩 직접 코디; 오늘날 개인취향 존중 증가.

오늘날 현대 남성 수트는 본래의 수트가 가지는 구속적인 이미지와 TPO를 초월할 수 있게 한다. 12개 남성성 표현 중 일부는 전통적인 남성성 표현과 수트의 이미지로부터 파생되어 발전한 것이지만 새로운 특징들이 추가되었다. 나머지 대다수 표현은 수트에서 완전히 새롭게 나타난 것이다. 12개 표현에서 가장 중요한 사회문화적 요소는 현대 사회와 문화가 부여한 개인 취향일 것이다. 사실 반항적 젠더 정체성을 표현하는 것도 넓은 의미에서 한 개인의 취향이기도 하다. 위 12개가 보여주듯이, 오늘날 많은 남성들은 더 이상 여성적 이미지와 관련 없는 여러 표현들도 채택한다. 더 이상 젠더 이슈에 관해 크게 고민하지 않고 다채로운 수트를 착용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 논문에서 새로운 표현을 쓰고 남성성 관련 기존 학술용어에 문제를 제기했기 때문에 새로운 용어 정의가 필요해졌다. 이 논문에서 새로 명명한 flexible masculinity는 개인의 취향에 따라 유연하게 장식적 디자인 요소, 액세서리, 코디 등을 선택하는 패셔너블한 현대 남성을 일컫는다. 이런 남성은 형형색색의 디자인 요소들을 순전히 창조적 또는 기능적 수단으로 인식하기 때문에 진정으로 자유롭고 다양한 표현들을 사용한다. 또한 셀프-큐레이팅 스타일을 통해 수트를 입는 남성이 디자이너에게도 영향을 줄 수 있다.

이 논문은 더 포괄적이고 다양하면서도 개별적인 남성성을 새로 제시했다는 점에서 이분법적 해석의 틀에 갇혀 있던 기존 연구의 문제점을 극복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이 연구는 더 많은 남성들이 다양한 디자인으로 자신을 표현하도록 도와줘서 해로운 남성성(toxic masculinity)에서 벗어나게 해줄 것이다.

하지만 이 연구는 런웨이룩과 트렌드 리포트만으로 남성성 표현을 분석했다는 점에서 한계도 있다. 오늘날 일상 생활에서 남성들이 실제 어떻게 수트를 착용하는지 인터뷰해서 남성성 표현의 후속 연구를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성들에 의한 여성성의 표현도 어떻게 발전해왔는지 후속 연구가 필요해 보인다.
Today, global menswear lines are sharing more than ever common ground with the colorful discourse associated with womenswear (McCauley-Bowstead, 2018). With important changes in social/cultural backdrops, it is crucial that this fashion phenomenon is examined. Interesting questions arise from this scrutiny, whether this phenomenon is a response to an issue of gender subversion as a social demonstration, or to an issue of development in taste by men as a genuine interest in fashion. These recent changes are especially noteworthy in mens suits since 2015S/S.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study the unprecedented scale of these new colorful design features in mens suits, garments that have quintessentially symbolized formality and hegemonic masculinity with 200 years of tradition.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new design characteristics in mens contemporary suits, to reveal how expressions of masculinity have evolved and investigate their socio-cultural factors.

For this investigation, a tho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photo content analysis were conducted. Through the color coding of fashion reports (WGSN reports, 61 pages; Vogue Runway reports, 236 pages) and content analysis of the selected images (2015S/S-2020F/W, total 1155 photos), feminine design elements shown in the suits of global collections have been analyzed. This was carried out in terms of silhouette, detail, color, fabric, pattern, accessories, and coordination. Regarding the scope, a suit here means a set, consisting of a jacket, innerwear, and pants(or skirt), in the form of a suit. Also included are those with which length/size have been modified. For brand selection, 5 specialists have been asked to pick brands of notable reputation in mens fashion from their own perspective. The top 20 brands most mentioned, also showing a prominent tendency of feminine design elements, have been selected in the end.

The findings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it was during the Victorian era that the difference between masculinity vs. femininity became more oppositional than ever. The concept of masculinity continued to develop based on this binary to reach what is known as hegemonic masculinity, coined by Connell et al. in 1987. This hegemonic masculinity justifies mens dominant position in society and legitimizes subordination of women and other marginalized males. Hegemonic masculinity can also be characterized by 8 norms/acts (pp.16-18). However, it was in the 1980s/90s that scholars began the masculinity in crisis argument. This led to the birth of multiple masculinities in the 2000s. This included Protest Masculinity (e.g. non-conforming genders); Gays; Metrosexuals; Ubersexuals; Crosssexuals. The most recent ones in scholarship are hybrid/inclusive masculinities. But the problem though with these masculinities is that they are still somewhat limiting, in terms of their definition. They still use phrases like incorporating feminine/gay elements into white heterosexual males. They also interpret their expressions with only feminine related images like romantic. This reveals that scholars are still trapped in the binary interpretive framework.

Secondly, the development of mens suits in the 19th/20thC shows that there were only relatively few cases where suit designs changed drastically. In fact, there still were not noticeably dramatic changes in suits of the 2000s, apart from extremely skinny silhouettes or using some different colors. Suits image before 2015 can be summarized as: traditional classic & retro; strong & muscular; sophisticated & chic; elegant & romantic; kitsch & sensual; functional & practical; unconventional & free. There were some sporadic instances of feminine suits in history, like the Peacock Revolution(1960s), but they were worn mostly by people who had a license for play or by societys minorities.

Thirdly, it has been discovered through the empirical analysis of contemporary mens suits in 2015S/S-2020F/W that major formal changes to design elements are taking place on an unprecedented scale.

For silhouette, there now exists more variety. At least 8 types are notable, from X, Y, fitted/boxy H, A, I, distorted lines, and many others. Some skinny X-lines continue from the 2000s, but they no longer show feminine images only. Overall, the silhouette has become relaxed for increased comfort. There are innovative suits such as the cut-off. Suit design is expanded to provide more choices for men of various physiques.

For detail, there are enlarged shawl lapels, which draw attention to mens large chests. There are new embellished innerwear to replace dress-shirts; and inside-out jackets covered in braids, or embroideries. Also, practical details are added with bold contrast colors, to add fashionable street/outdoor narratives. Thus, decorative details no longer show effeminacy, but are used as a creative means of expression.

For color, suits now present every shade ranging from warm, bright, and high-chroma colors to subtle tints and pastels. Designers have even devised ways that less confident men can try these colors, by giving active-inspired looks. Also, most notable are the artistic color field suits.

For fabric, there are various usages such as all-silk pajama suits. Designers are using their clever designs to help men try softer fabrics, e.g., voluminous fur suits with a Greek hero image. Also, there are novel athleisure and suit hybrids with colorful, stretchy fabrics and bio-coatings. Furthermore, today there are crafty contrast sleeve jackets using deadstock, and suits in novel materials, to reflect digimodernism.

For pattern, there are numerous varieties of flamboyant patterns such as artwork motifs; floral & vegetation (unique patchwork ones from upcycled prints and digital close-ups/aerial shots of nature). Various animal prints, ranging from fantasy beasts to smaller birds/dinosaurs, exist for less bold men as well. Money prints also show men aspiring to success. Lastly, there are doodle suits with social statements.

For accessories, even those that were once considered as feminine can be re-appropriated by men to show charismatic strength. There are exaggerated accessories for men who want to express a rebellious identity. Colorful collaborations with streetwear brands to create bright sporty accessories are attracting youths. Finally, there are restored bags for sustainability and size-manipulated bags for digital screens.

For coordination, there are now a myriad of unique combinations, forged by designers and intriguingly the men themselves on runways, according to their own tastes. There are bolder styles: unexpected mix & matches; cross-overs; riots of layering; matching sets in the most couture like fabric/pattern; and finally, coordinating Whatever-I-Want styles.

Based on this analysis, the following 12 expressions have emerged:

1. Dont Care Gender Modern Romantics: This expression is not about being feminine. These men are true to their emotions, and can show sophisticated sexiness and elegance. The silhouette is not restricted to skinny X. Can have decorative lapels, embroideries. Can be subtly see-through, include mini bags, and riots of layering. Socio-cultural factors giving rise to this expression include hyper-modernism, performatism and perception changes.

2. Subverted Americana Cowboy: These men want to look sensual, but not overtly androgynous, and therefore borrow elements from cowboys. The look displays tender toughness, skinny silhouettes, western details and accessories. Social-cultural factors include resurgence in pop culture of Wild West themes.

3. Against Gender Poet Maudits/Glam Rockers: A cross between poet living outside/against society and subcultural glam rocker. This look blurs gender, shows real pains of LGBTQ+, and expresses satire. There are elements of anarchic, camp, playfulness, exaggeration, distortion, and flamboyant design elements, accessories, styles. This expression is driven by social-cultural factors such as youth-driven (non-binary) gender issues and vibrant social movements today.

4. Visual Artist: These men love artwork-like dynamic elements in their fashion; independent-mind like artists; color/pattern deployments & accessories are key; colors inspired by artists; color field inspired suits. More and more Millennials and Generation Z are searching for uniqueness, and art has the quality to satisfy them.

5. Active Commuter: These men show athletic modernity; combine hyper-modern dandyism of street culture; dressed in haste look; boxy; running pants/shorts; sporty details, colors, fabrics, accessories; mix & match. The rise of active commuters is due to a significant increase in commuting times with an upsurge in house price of major cities. Also due to warmer summers, men are looking for a more comfortable look with their suits.

6. Homebody: More comfortable, relaxed, than active commuters; home-wear features, loose-fit, sinuous fabric - silk matching set; lightweight accessories - clutch, bucket hat, Birkenstocks. This expression has become high in demand since many workers are remaining at home due to the Covid Pandemic.

7. Adventurer: More survivalist-led, functional than active commuters; these men embrace military or hyper-athletic details, colors, fabrics, accessories, and styles – e.g. parka, short suits, leggings, fleeces, hiking boots, harness rucksacks. These days Generation Z men are pursuing extreme experiences, and urban/country pursuits are in high demand.

8. Street Youth/Skater: This expression is a fusion of sartorial skater and smarten up suited man: look tough or chilled-out. It is exemplified in baggy silhouettes; sneaker lace looping through jackets; use of patchwork panel fabrics; skater accessories; and many layers. These men like adopting clothing and accessories that have been made by collaboration between a luxury brand and a street giant (e.g., Louis Vuitton & Supreme), and love curating their own fresh skater looks.

9. Technology Fanatic: These men adapt to rapidly changing technology (e.g. YouTube, TikTok): fabrics & accessories manipulated specifically for digital screens; science-fiction motif patterns; bags with new technology; also having a respect for artisanal craft. Social-cultural factors giving rise to these technology fanatics include the prevalence of digimodernism today, an increase of fashion reporting by men, and many men now run their own media channels on fashion.

10. Strong Man But Family Focused: This expression is the closest to the conventional image of men: strong, muscular, caring. The key difference is they are now much more fashionable and daring: e.g. use of Ghillie tassels to reference old heroes; enlarged shawl lapel to draw focus on their large chest. The popularity of these men today is due to a slow move of men disregarding toxic masculinity. They use fashion like an outlet for their burdens as a man.

11. Environmentally/Socially Conscious Man: Concerned with climate change, racism, and other social issues. These men select fashion/brands that source materials locally from places like vintage shops & recycling centers. Use upcycled offcuts. Other elements include pattern – e.g. patchworks from deadstock, collaboration with national parks/charities, meaningful statements in lettering, Repurposed bags. More men are seeking to consume values today, supporting sustainability and diversity.

12. WIW (Whatever-I-Want) Man: This expression draws different elements from a variety of the above mentioned expressions, and/or others. They love mix & match styling according to their own unique taste; self-curated looks; a mix of color, texture, pattern, and accessories. An example is young influencers selecting their own style for runways. The utmost emphasis is on respecting each persons individual taste in societies/cultures today.

Overall, contemporary suits ensure male suit fashion will transcend its outmoded images and strict formal TPOs. Some expressions of masculinity have evolved from former ones and suits images, but they are updated with new features. Others are completely new regarding suits. Perhaps though, the most significant factor for the popularity of the colorful mens suits and these 12 expressions is the utmost emphasis on personal taste given by contemporary societies and cultures. In fact, non-conforming gender identities are in a broader sense also ones taste as well. As the 12 expressions above illustrate, more men today are expressing themselves in ways unlinked from the feminine, revealing that they no longer really think about gender issues. With the finding of these new expressions and the problems raised by the author previously, these require a new term. This has been coined as Flexible Masculinity in this research. It refers to fashionable men who select flexibly decorative design elements, accessories, and coordination according to their own personal taste. These men perceive colorful design elements purely as creative/functional means, and therefore, can explore various expressions. By self-curating, they also influence designers back. This flexible masculinity is regardless of ones sexual orientation.

This paper has suggested a new masculinity in scholarship that is more comprehensive, overcoming the existing problems of masculinity still trapped in the binary interpretive framework. Also, it will entice more men to open themselves to diverse, colorful designs as ways to express themselves, and thus, move away from toxic masculinity. There is a limit in analyzing expressions of masculinity only with runway looks. These looks tend to be more exaggerated, compared with actual clothes worn in daily life. Thus, as a follow-up study, it would be helpful to also study how men in everyday life wear suits by interviewing various men. Finally, as this is a study on the change in expressions of masculinity, it would be interesting to do a follow-up study on how expressions of femininity by women have changed as well.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78174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773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