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윤리적 시민교육의 실천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Practical Suggestions for Ethical-Civic Educatio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혜진

Advisor
정창우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윤리적 시민성윤리적 시민교육비판적 사고 및 성찰공감적 의사소통메타인지대화식 토론문제해결학습Ethical CitizenshipEthical-Civic EducationCritical thinking and reflectionempathic communicationmetacognitionDialogical discussionproblem-solving learning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2021.8. 정창우.
Abstract
In moral subjects, 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civic education according to with social changes and the demands of the future society. In the meantime, moral education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civic and citizenship education, but mainly has focused on direct learning and teaching on civic values ​​and virtues. As a result, there are still prejudices and stereotypes that civic education in moral subjects is indoctrinative and conservative. This acts as an obstacle to vitalization of civic education in moral subjects. Starting from this awareness of the problem, this study tried to redefine ethical citizenship in a way that matches the citizenship of the future society. Ethical citizenship refers to citizenship, which means to think critically and reflect on our life, social structures and institutions. And it approaches metacognitively and solves problems in communication with others. This is to discuss citizenship by expanding it as a moral competence rather than limiting it to issues of legal status, rights, civic duties and responsibilities. Lind said that competencies are formed when students deliberate, discuss, and solve moral issues on their own rather than are instilled with moral and civic values. This ethical citizenship emphasizes the content and direction of reflecting on better reasons and more appropriate actions in decision and choice rather than only the method such as democratic process. This means reinforced citizenship with more fundamental ethical elements to form a rigid democracy.
Therefore, ethical-civic education should focus on the competences of citizens with critical thinking and reflection skills to solve civil society problems in meta-cognitive level through empathic communication. To realize this, it is suggested that critical reflection on our life and society in general should be emphasized, communication and empathy should be strengthened, and problem-solving ability should be cultivated through meta-cognition. The reason is that critical thinking and reflective thinking not only help to dispel prejudices and misunderstandings about civic education in moral subjects, but are also a powerful driving force that leads moral action by combining thinking and emotion. In addition, critical thinking and reflection are higher-order thinking skills emphasized by Lipman, and correspond to meta-cognitive and self-control thinking. Empathic communication creates a stable and caring environment to induce moral behaviors such as caring. Habermas emphasized that the core of civil society is communication action in the public sphere, and smooth communication to resolve social conflicts. Meta-cognitive problem solving can alleviate cognitive biases and foster positive emotions and self-control. Fravell believed that meta-cognitive experiences have influenced on the meta-cognitive knowledge accumulated so far. And they help students to set tasks and goals. Based on the opinion above, the core competences of ethical-civic education are critical thinking and reflection competence, empathic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meta-cognitive problem solving competence. In order to analyze the sub-elements of citizenship, there are suggested framework and the selected content and elements to lay the basic foundation for ethical-civic education.
The sub-elements of ethical-civic education are knowledge, skills, values ​​and attitudes. For the knowledge dimension, contextual knowledge and procedural knowledge were emphasized. Contextual knowledge is defined as flexibly transferred knowledge to new situations through deep understanding. And it considers context in the process of acquiring knowledge. It acts as a driving force toward concrete and practical actions and practices. These experiences give students opportunities to gain knowledge and increase their confidence in the process of knowing.
Next, the functional dimension was classified into actual power and performance : meta-cognitive function, problem solving function, empathic function, communication function, critical thinking function and reflective thinking function. As the result, the emphasis on knowledge and skills for ethical citizenship naturally became the basis for cultivating values ​​and attitudes. Values ​​and attitudes are not emphasized as fixed identities, but important prerequisites in terms of practical competence, and are a natural result of realizing knowledge and skills.
The curriculum and textbook contents and inquiry activities were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ethical-civic education. In order to explore whether the knowledge, skills, values, and attitudes can become the curriculum design direction, the 2015 Revised Moral Education Curriculum and 28 textbooks for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were analyzed. The analyzed results are as follows. In the case of the 2015 Revised Moral Education Curriculum, the five elements of ethical-civic education were largely reflected, but it was difficult to find goals related to empathic communication skills. Although the term meta-cognition does not yet exist in the curriculum, the possibility of improvement and supplementation was found in the future. The reason is that civic education in moral subjects emphasizes the exploration of various problems. A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familiar examples and experiences in everyday life were mainly described. This can be seen as a reflection of practicality and contextuality in the textbook.
As a result of inquiry activity analysis, Content confirmation type was the most common in both middle and high schools. Overall, the Discussion or debate type is mainly presented, but the Meta-cognitive reflection type emphasized as important in ethical civic education is lacking, and the problem-solving type that reinforces the critical thinking type needs to be supplemented. The reason is that reinforcing meta-cognitive reflection by discussing moral issues at the social structural level is important for forming an ethical citizenship. In addition, we should try to differentiate our curriculum by expanding narrative-type inquiry activities to strengthen empathic communication skills.
Lastly, learning and teaching model was proposed to promote ethical-civic education. There are Socratic Seminar Dialogical Discussion Model and Meta-IDEAL Problem Solving Learning Model. These can solve the lack of inquiry activities emphasizing the empathic communication competence element and the critical thinking type and reflective thinking type. First, the Socratic Seminar avoids the pros and cons of refuting the other side's weaknesses in a competitive atmosphere. Instead, it is a dialogical discussion model in which students deliberate social problems critically through questions. The Meta-IDEAL problem-solving learning model was reconstructed by adding the meta-cognitive elements.
This study, however, has the following limitations. Considering the connection betwee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moral subjects, it was not possible to analyze all of them. Also, the analysis was limited to some units of middle school textbooks and high school textbooks. Therefore, systematic and in-depth follow-up studies that targe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re needed. Nevertheles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ets ethical citizenship in moral education as the new direction of civic education. Through this study, I hope to contribute the practical suggestions of ethical-civic education to schools.
사회 변화와 미래 사회의 시대적 요구에 맞춰 도덕과 시민교육을 새롭게 재정비할 필요가 있다. 그동안 도덕과 교육은 시민교육에 있어 주도적인 역할을 해왔으나 시민적 가치와 덕목에 대한 직접적인 교육 및 가르침을 중심으로 논의되었다. 이로 인해 여전히 도덕과 시민교육은 교화적이고 보수적이라는 편견과 선입견이 존재한다. 이는 도덕과 시민교육 활성화에 장애물로 작용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미래 사회의 시민성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윤리적 시민성을 재정립하고자 하였다. 윤리적 시민성이란, 우리 삶과 사회 구조에 대해 비판적으로 사고하고 성찰하며 타인과의 의사소통 속에서 메타인지적으로 문제에 접근하고 해결하는 시민성을 의미한다. 이것은 시민성을 법적 지위나 권리, 시민적 의무와 책임의 문제로만 한정해서 접근하기보다 도덕적 역량으로 확대해 논의하기 위함이다. 린트(G. Lind)는 도덕적 가치를 주입하기보다 학생들이 스스로 도덕적 문제들을 숙고하고 토론하며 해결하는 가운데 역량이 형성됨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윤리적 시민성은 민주적 절차와 같은 방법적 차원만을 강조하기보다 결정과 선택에 있어서 더 좋은 이유와 더 적합한 행동을 성찰하는 내용과 방향성에 강조점을 두고 있다. 이것은 견고한 민주주의를 형성하기 위해 보다 근본적인 윤리적 요소를 강화한 시민성을 의미한다.
따라서 윤리적 시민교육은 비판적 사고 및 성찰력을 갖춘 시민이 상호 공감하는 의사소통을 통해 메타인지적으로 시민사회 문제를 해결하도록 역량을 강화하는 교육이 되어야 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우리의 삶과 사회 전반에 대한 비판적인 성찰을 강조하고, 의사소통과 공감을 강화하며, 메타인지를 통한 문제해결 능력을 함양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그 이유는 비판적 사고 및 성찰적 사고는 그동안 도덕과 시민교육에 대한 편견과 오해를 불식하는 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사고와 정서를 결합해 도덕적 행동을 이끄는 강력한 원동력이기 때문이다. 또한, 비판적 사고 및 성찰은 듀이(J. Dewey)의 영향을 받은 립맨(M. Lipman)이 강조하는 고차적 사고력이며 메타인지적이고 자기 수정적 사고에 해당한다. 공감적 의사소통은 안정적이고 배려적인 환경을 조성해 배려와 돌봄과 같은 도덕적 행동을 유발한다. 하버마스(J. Habermas)는 시민사회의 핵심은 공론장에서의 의사소통 행위이며 사회적 갈등 해소를 위해 원활한 의사소통을 강조한 바 있다. 메타인지적 문제해결은 인지적 편향성을 완화할 수 있고, 긍정적 정서 함양과 자기 조절이 가능하다. 프라벨(J. H. Fravell)은 메타인지적 경험이 그동안 축적한 메타인지적 지식에 영향을 주어 과제와 목표 설정에 도움을 준다고 본다. 이를 토대로 도출한 윤리적 시민교육 핵심역량은 비판적 사고 및 성찰 역량, 공감적 의사소통 역량, 메타인지적 문제해결 역량이다. 역량 차원에서 시민성의 하위 요소를 분석하기 위해 구성 틀을 제안하고 내용과 요소를 선정해 윤리적 시민교육의 기본 토대를 마련하였다.
역량 중심 교육과정에 따라 구성한 윤리적 시민교육의 하위 요소는 지식과 기능, 가치・태도 요소이다. 이것을 기존에 도덕성의 구성요소로 강조했던 인지적・정의적・행동적 요소와 함께 연결해 분류하였다. 먼저 지식 차원에서 맥락적 지식과 절차적 지식을 강조하였다. 맥락적 지식은 지식 획득 과정에서 맥락을 강조하고 깊은 이해를 통해 새로운 상황에 융통성 있게 전이(轉移)할 수 있는 지식으로 정의하였고, 절차적 지식은 방법과 과정에 대한 지식으로 이상적인 문제해결에 도움이 되며,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행동과 실천을 가져오는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이로 인해 학생들은 주도적으로 앎의 과정에 입문하는 가운데 지식을 얻고 자신감을 높이는 계기가 된다.
다음으로 실질적인 힘이자 수행력으로 기능 차원을 분류하였다. 메타인지적 문제해결 역량과 관련된 메타인지 기능과 문제해결 기능, 공감적 의사소통 역량에서 비롯된 공감 기능과 의사소통 기능, 비판적 사고 및 성찰 역량과 연관된 비판적 사고기능과 성찰적 사고기능임을 제안하였다. 이와 같이 윤리적 시민을 위한 지식과 기능 차원의 강조는 자연스럽게 가치・태도를 함양하는 토대가 되었다. 이렇듯 가치・태도는 고정된 정체성으로서 강조함이 아니라 미래 시민으로 실질적 역량 차원에서 중요한 전제 조건이자 지식과 기능을 구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자연스러운 결과이다.
이어 윤리적 시민교육의 관점에서 교육과정과 교과서 내용 및 탐구 활동을 분석해보았다. 교육과정의 내용적 요소로서 제시한 지식과 기능, 가치・태도가 교육과정 설계 방향이 될 수 있는지를 탐색하기 위해 2015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과 중등 교과서 28권을 분석하였다. 먼저 윤리적 시민교육을 위한 다섯 가지 분석기준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생활 속 실제성을 갖추고 다양한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맥락성을 고려하는가? 둘째, 다양한 탐구 활동을 통해 학생들의 주도성을 높이고 수행 능력을 강화하는가? 셋째, 우리 주변의 삶에서 비판적 사고 및 성찰력을 강조하는가? 넷째, 타인과의 관계에서 공감적 의사소통 역량을 중시하는가? 다섯째, 복잡한 문제를 메타인지적으로 접근하고 해결하는가?이다. 이를 기준으로 도덕과 교육과정의 성격, 목표, 내용 체계, 교수・학습 및 평가 방향과 교과서 28권의 내용과 탐구 활동을 분석하였다. 중・고등학교 『도덕 1』, 『도덕 2』의 사회・공동체와의 관계 단원, 『생활과 윤리』의 사회와 윤리, 평화와 공존의 윤리 단원, 『윤리와 사상』에서 사회사상단원이 분석대상이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15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의 경우 윤리적 시민교육의 다섯 가지 요소가 대체로 반영되었지만, 공감적 의사소통 역량과 관련된 목표를 찾기 어려웠다. 아직 메타인지라는 용어가 교육과정에 전무(全無)하지만, 교과의 성격 차원에서 다양한 문제 탐구를 강조한다는 면에서 향후 개선과 보완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교과서는 중학교의 9종, 고등학교의 5종을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실제성과 맥락성을 위해 전반적으로 학생들에게 친숙한 예시 및 일상생활에서 겪는 경험을 중심으로 서술되어 있었다. 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 올라갈수록 학생의 일상생활보다는 신문기사와 같은 사회적 문제가 구체적으로 제시되는 경우가 더 많았다. 또한, 탐구 활동이 윤리적 시민교육의 성격에 맞게 구현되었는지 분석하고, 발문 형태가 수준별 기능성을 갖추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탐구 활동 분석 결과 중・고등학교 모두 학습 내용 확인형이 가장 많았고, 중학교 『도덕 1』은 생활 속 실천형, 『도덕 2』는 도덕적 추론형과 토의・토론형이 그다음이었다. 『생활과 윤리』는 자료 조사・작성형과 토의・토론형이, 『윤리와 사상』은 토의・토론형과 비판적 사고형이 그다음으로 많게 나왔다. 전체적으로 토의・토론형이 주로 제시되고 있으나 윤리적 시민교육에서 중요하다고 강조한 메타인지적 성찰형이 부족하고 비판적 사고형을 보강한 문제 해결형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그 이유는 사회 구조적 차원에서 도덕적 문제를 논의해 메타인지적 성찰력을 보강하는 것이 윤리적 시민 형성에 중요하기 때문이다. 또한, 공감적 의사소통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내러티브형 탐구 활동을 강화해 우리 교과만의 차별화를 시도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윤리적 시민교육 활성화를 위해 교수・학습 모형을 제안했다. 모형을 마련하기 위해 윤리적 시민교육의 실천 기준으로 비판적 사고 및 성찰 교육, 학생 주도성 교육, 앎과 삶이 일치하는 문제해결 교육을 강조하였다. 이를 토대로 수업모형으로써 소크라틱 세미나 대화식 토론모형과 Meta-IDEAL 문제해결학습 모형을 구체화하였다. 그 이유는 교육과정과 교과서 분석을 통해 공감적 의사소통 역량 요소와 비판적 사고형 및 성찰적 사고형을 강조하는 탐구 활동 부족을 해결하기 위함이다. 먼저 소크라틱 세미나는 경쟁적 분위기에서 상대방의 허점을 비판적으로 반박하는 찬반 토론을 지양한다. 그 대신 학생과 학생 간의 질문과 공감적 대화를 통해 의도적으로 문제를 제기하고 비판적으로 자기 자신과 우리 사회를 성찰하는 토론모형이다. Meta-IDEAL 문제해결학습 수업모형은 기존의 브랜스포드와 스테인의 이상적 문제해결가(IDEAL Problem Solver) 단계에 윤리적 시민교육에서 강조하는 메타인지적 요소를 첨가해 재구성하였다. 앞서 교과서 탐구 활동 분석에서 생활 속 실천형은 어느 정도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지만, 학생이 주도적으로 문제를 발견하고 정의(定義)하며, 협력을 통해 해결 과정에 대한 전략을 모색하고 직접 해결하는 탐구 활동은 다소 적었다. 따라서 이를 보완하기 위해 Meta-IDEAL 문제해결학습 5단계에 메타인지적 점검을 추가해 자기 인식과 판단뿐만 아니라 다양한 가능성과 해결전략까지도 고려하였다.
다만 본 연구는 초・중・고등학교 학교급의 내용상 연계를 고려하면서 전체를 분석대상으로 하지 못하고, 중학교 『도덕 1』, 『도덕 2』와 고등학교 『생활과 윤리』, 『윤리와 사상』 교과서 중 일부 단원을 중심으로 분석을 하여 연구의 한계점을 갖는다. 따라서 앞으로 초・중・고등학교 전체를 대상으로 하고 사회생활을 포함한 모든 영역을 분석하는 체계적이고 심도 있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도덕과 시민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윤리적 시민성으로 설정하고 이에 부합하는 의미 있는 시민교육을 교과교육 차원에서 구현한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학교 현장에 윤리적 시민교육을 실천하는데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고자 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8216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694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