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융합적 전공의 조직맥락이 대학생의 학습과정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the organizational context of interdisciplinary majors on the learning process of undergraduate student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수민

Advisor
신정철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학사조직학과제융합적 전공융합 교육대학생 학습과정Academic organizationdepartment systeminterdisciplinary majorinterdisciplinary educationlearning process of undergraduate students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교육학과(교육행정전공), 2021.8. 신정철.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in depth how the organization context affects the learning process of students who study interdisciplinary major by analyzing the organizational context and learning process of the interdisciplinary major students. Amid the rapidly changing society, the government tried to strengthen the connection between the university and society through various financial support projects such as BK21 and universities tried to respond to this movement by utilizing highly adaptable interdisciplinary majors. However, there has been no in-depth study on how curriculum is formed and on how students study in these new educational units. Therefore, this study tries to understand in details the reality of interdisciplinary majors in practice.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how is the academic organization of interdisciplinary majors different from that of the typical academic organization?
Second, how is student's learning experience different from that of typical academic organizations due to the academic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of interdisciplinary majors?
For this purpose, a qualitative case study was conducted targeting three interdisciplinary majors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 framework of Terenzini & Reason(2014), which studied the effect of university organizational context on students' learning, was partially modified to provide a structural framework for this study. This study mainly uses literature research method and interviews. Various data sources such as self-written evaluation report on the interdisciplinary majors and interview scripts with 11 students and 6 professors and staff member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eering committee for the operation of interdisciplinary majors is an organization with high level of structural complexity, low formalization, and high centralization. The complexity of the organization is higher than that of other existing departments in that professors of more than one major generally participate, but it has a high degree of centralization in that actual decision-making and work are concentrated on the head professor. In addition, it shows low formalization level in order to be flexible in the establishment and abolition of the organization. Second, the level of decentralization of the university organization, differing graduation requirements, and low linkage among existing courses affect the level of participation of professors and the degree of interest of students in the interdisciplinary major. In particular, low formalization level and support at the headquarters level lead to different educational environments for each major, including the degree of support from the host department, the number of original courses, and the level of use of part-time instructors. Third, Seoul National University is a research-oriented university with a high tendency for professors prioritizing research and in particular, a strong departmentalized culture. As a result, it is difficult to appoint a professor exclusive to interdisciplinary major and the operation of the interdisciplinary major is highly dependent on the host department. This hinders the supply of resources in that they target students from many different colleges. Fourth, thanks to the flexibility of the interdisciplinary major, conditions for flexible curriculum change enough to reflect new fields are settled. Thus, students with high demand for new fields are likely to participate. However, it is difficult to utilize the flexibility due to low incentive for professors to invest in interdisciplinary major. Fifth, students experience a broad and shallow curriculum in the interdisciplinary major. On the one hand, this seems to be due to the curriculum consisting of courses provided by the established departments. On the other hand, it is because it is difficult to open their own original courses. In addition, weak interaction between established departments also acts as an obstacle for students' deep learning. These conditions make students without a clear vision of the course feel confused about the objective of the curriculum. Sixth, students broaden their perspectives and interests by taking classes of various departments and interacting with students from different majors. In particular, as interdisciplinary majors provide more original courses and more team-centered classes, there is a higher the level of interaction among students. On the other hand, there are cases where there is no interaction among students in the same course, which causes difficulties in learning.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presents the following policy recommendations. First,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disciplinary major,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not only to curriculum design, but also to student experience of the curriculum.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clearly recognize the level of resources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relevant majors and consider the level of connectivity between the existing curriculum and the new curriculum. Second,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consider the composition of the steering committee for the operation of the interdisciplinary major. In particular, specific institutional measures are needed to encourage the participation of a small number of dedicated professors in order to avoid the high level of complexity and to lower the centralization on the head professor. In particular, it should be noted that these institutional measures are sustainable only when they are consistent with the mission of the university. Third, a separate coordination unit is needed to manage the interdisciplinary major. Such adjustment unit should operate in a way that enhances adaptability, which is the strength of the interdisciplinary major. Specifically, it should function as a unit that can promote linkage with society, existing department units and headquarters, students, and operating faculty and instructors. Thus, it must participate as a member of the steering committee of each interdisciplinary major. Fourth, it is necessary to reach a certain level of agreement on the necessity and future direction of interdisciplinary education among members of the university. Interdisciplinary education is consumed in various contexts in our society, but the concept is rather vague. In this regard, it is necessary to create a common vision through the process of sharing opinions of members through public discourse at the university level. Otherwise, the policy will lose sustainability. Finally, various policies related to interdisciplinary majors at the level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should be reviewed more carefully. The interdisciplinary major is an educational unit in which it is difficult to guarantee quality education from an organizational point of view. In particular, it is difficult to exceed the quality of education provided by the participating departments. Therefor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quality of education can be guaranteed only when a rigorous review of the organizational context in which the interdisciplinary majors precedes.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융합적 전공이 처해 있는 조직맥락을 분석함으로써 이러한 조직맥락이 실제 융합적 전공을 이수하는 학생들의 학습과정에 어떤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심층적으로 분석하는 데에 있다. 사회가 급변하는 가운데 정부는 각종 재정지원사업을 통해 대학과 사회의 연계를 강화하고자 하였으며, 대학은 이에 대한 여러 대응의 하나로 적응성 높은 융합적 전공을 활용하였다. 그러나 융합적 전공이라는 새로운 교육단위 내에서 실질적으로 어떠한 교육과 학습과정이 나타나고 있는지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는 부재하였기 때문에 본 연구를 통해 구체적인 양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융합적 전공의 학사조직은 일반적인 학사조직에 비하여 어떤 특징이 있는가?
둘째, 융합적 전공의 학사조직적 특징으로 인해 학생들의 학습경험은 일반 학사조직 소속 학생들에 비하여 어떻게 다른가?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서울대학교에 설치되어 있는 세 개의 연합전공을 대상으로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학의 조직맥락이 학생들의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Terenzini & Reason(2014)의 틀을 일부 수정하여 연구의 큰 틀을 마련하였다. 본 연구는 크게 문헌연구방법과 반구조화 면담을 주된 연구방법으로 사용하였는데, 구체적으로 연합전공에 대한 자체평가 결과와 학생 11명, 교수 및 교직원 6명 등 총 17명에 대한 면담 결과를 중심으로 다양한 자료를 활용하여 심층적인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융합적 전공 운영을 위한 운영위원회 조직은 구조적으로 높은 복잡화, 낮은 공식화, 높은 집권화 수준을 보이는 조직이다. 기존 학과에 비해 더 많은 전공의 교수들이 참여한다는 점에서 기존 조직보다 복잡성이 높으나 이로 인해 실질적인 의사결정 및 업무가 주임교수에게 집중되어 있다는 점에서 집권화 수준이 높다. 또한 조직의 설치 및 폐지를 유연하기 하기 위해 낮은 공식화 수준을 보이고 있다. 둘째, 대학조직의 분권화 수준, 학과별로 다른 전공 이수 정책, 기존 전공 교과목들 간의 낮은 연계성 등은 교수의 융합적 전공에 대한 참여 수준 및 학생들의 융합적 전공에 대한 관심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낮은 공식성과 본부 차원의 낮은 지원 수준으로 인하여 전공마다 상이한 주관학과의 지원, 자체개설 교과목 개설, 비전임 교원 활용 수준 등의 교육환경이 마련되고 있다. 셋째, 서울대학교는 연구중심대학으로 교수들이 연구에 집중하는 경향이 높으며, 특히 학과주의적 문화가 강력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연합전공 자체 교수가 임용되기 어렵고, 연합전공의 운영도 학과 의존적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연합전공이 여러 단과대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연합전공에 대한 원활한 자원 공급에 방해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넷째, 자체 교수가 부재한 연합전공의 유연성으로 인하여 기존 학과에서 다루지 않는 새로운 분야에 대한 수요가 있는 학생들이 유입되며 교육과정의 변경이 용이한 조건이 형성된다. 그러나 실제로는 교수들이 해당 전공의 운영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유인이 없다는 점에서 유연성이 제대로 발현되기는 어렵다. 다섯째, 학생들은 연합전공에서 넓고 얕은 교육과정을 경험한다. 이는 한편으로는 참여 교수들이 소속되어 있는 기존 학과로부터 수 개의 교과목을 제공받는다는 특성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보이며, 다른 한편으로는 자체개설 교과목이 풍부하게 개설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기존 전공 과목들 간의 낮은 연계성은 학생들의 심화 학습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함과 동시에 진입 당시에 발생한 수준차를 극복하는 것을 어렵게 만든다. 이러한 환경적 조건은 목적의식이 분명하지 않은 학생들로 하여금 해당 전공의 목적성에 대한 혼란을 느끼게 한다. 여섯째, 학생들은 다양한 전공의 수업 수강과 다양한 전공 배경을 가진 학생들과의 교류를 통해 자신의 관점을 넓히고 관심사를 확장한다. 특히 자체개설 교과목이 많이 설치되어 있고, 팀 중심의 수업이 많을수록 학생들 간의 교류 수준이 높아진다. 반대의 경우에는, 같은 전공을 학습하는 학생들과의 교류가 전혀 없는 경우도 발생하며 이는 학습에 어려움을 초래하기도 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첫째, 융합적 전공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단순히 교육과정 설계의 측면에만 관심을 가질 것이 아니라, 학생들이 실제로 경험하는 교육과정의 측면에도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특히 해당 전공의 운영에 필요한 자원의 수준에 대해 명확하게 인식할 필요가 있으며,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교육과정과 새로운 교육과정 간의 연계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둘째, 융합적 전공의 운영을 위한 운영위원회의 구성에 대한 체계적인 고민이 필요하다. 특히 높은 수준의 복잡성을 지양하고, 주임교수의 집권성을 낮출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소수의 헌신적인 교수들의 참여를 독려할 수 있는 구체적인 제도적 방안이 필요하다. 특히 이러한 제도적 방안은 해당 대학의 목적성과 부합할 때 지속 가능함에 유의하여야 한다. 셋째, 융합적 전공을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조정 단위가 필요하다. 이러한 조정 단위는 융합적 전공의 강점인 적응성을 높이는 방식으로 작동하여야 한다. 구체적으로 자원의 확보 및 사회의 수요 반영을 위한 사회와의 연계, 기존 학과 단위 및 본부와의 연계, 학생과의 연계, 운영 교수진과 강사들 간의 연계 등을 촉진할 수 있는 단위로서 기능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 해당 조정 단위는 각 융합적 전공 운영위원회의 구성원이 되는 등의 방안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넷째, 학내 구성원들 간에 융합교육의 필요성과 방향성에 대한 일정 수준의 합의를 이루어 내야 한다. 융합교육은 우리 사회에서 다양한 맥락에서 소비되고 있으며 개념이 다소 모호하다. 그런 점에서 학교 수준의 공론화를 통해 구성원들의 의견을 공유하고 합의하는 과정을 통해 공통의 비전을 만들어낼 필요가 있다. 그렇지 않을 경우 해당 정책은 지속되기 어려울 것이다. 마지막으로, 교육부 차원의 융합적 전공과 관련된 각종 정책은 더 신중하게 검토되어야 한다. 융합적 전공은 조직 측면에서 보았을 때 양질의 교육을 보장하기 어려운 교육단위이다. 특히 각 대학의 맥락에 의존적이라는 점에서 기존 교육단위에서의 교육의 수준을 넘어서기 어렵다. 그러므로 교육의 질 보장의 관점에서 융합적 전공 단위만을 이수하고 졸업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법적‧제도적 시도를 재고할 필요성이 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8218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740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