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일상의 새로움을 뜨는 숟가락 : The Spoon that Scoops the Newness out of the Ordinary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형지인

Advisor
백경찬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숟가락사물새로움 spoonobjectnewness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미술대학 디자인학부 공예전공, 2021.8. 백경찬.
Abstract
이 연구에서 나는 숟가락이라는 사물을 정해놓고 하나의 사물에서 다양한 새로움을 표현하고자 했다. 숟가락이란 어떤 이에게는 한번도 생각해 본적이 없는 항상 언제나 그 자리에 있는 보통의 사물일 수 있다. 나의 연구는 이러한 일상적 사물인 숟가락을 수집하는 것에서부터 시작되었다. 외국에서는 기념품으로 그 나라의 도시의 풍경이 그려진 숟가락을 쉽게 접할 수 있다. 앤티크한 소품들을 취급하는 가게에 들러 옛 물건을 구경하길 좋아하는 나는 한 여행지의 빈티지 가게를 구경하다 구입한 숟가락 세트를 시작으로 다양한 숟가락들을 모았다. 일상의 사물에서 무언가 특별함을 발견하는 순간은 즐거웠다. 나에게 작업은 치유의 시간이고 스스로를 다듬는 과정이다. 나는 보통에서 반짝임을 발견하는 순간들을 더 자주 내 것으로 움켜쥐기 위해 작업을 한다. 작업을 통해 마음만 먹으면 얼마든지 보통적 일상에서도 새로움 이라는 감각을 꺼낼 수 있다는 것을 숟가락이라는 매개체를 통해 표현하고 싶었다.

숟가락은 인류와 오랜 시간 함께 하였으나 인식의 부재가 존재하는 것 같았다. 이러한 숟가락의 작품 연구 방식으로 숟가락이라는 하나의 사물을 다양한 관점에서 보려 노력하며 형태적 변형을 시도하였다. 소재로는 적동, 황동, 정은, 순은의 금속을 사용하여 하나의 기법을 주로 사용하기보다는 다양한 금속공예 기법들을 각각의 작업의 성질에 맞춰 활용하였다. 숟가락을 숟가락으로 만들어주는 기본 구조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숟가락의 새로운 모습들을 찾기 위해 노력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총 8가지 시리즈 작품을 제작하였다. 작업에 따라 숟가락의 기능에서 출발하기도 하였고, 숟가락의 의미에서 출발하기도 하였다. 이 연구는 하나의 틀 안에서 수직적으로 깊이 들어가기 보다는 숟가락에 대한 사고를 수평적으로 넓혀가기 위한 시도이다. 각각 다른 출발점을 가지고 있는 시리즈들은 하나의 사물을 어디서 바라보느냐에 따라서 결과물의 형태가 달라졌다.

이 연구는 숟가락의 실용적인 부분을 배제하지 않았으나 도구라는 한계에 갇히지 않고 변화를 추구하다 실용성에서 다소 멀어진 작업도 있다. 때로는 순기능을 어렵게 하는, 그리고 기능에 반하는, 형태의 결과물이 나오기도 하였고 실사용하기에 불편한 결과물이 되기도 하였지만, 오히려 그런 작업들이 갇혀있던 의식에 환기를 불러일으켜 새로운 방향성을 열어주었다고 생각한다. 익숙해서 눈에 띄지 않던 숟가락을 진득하게 바라보고 질문을 던져보며, 숟가락이라는 하나의 사물에서 다양한 면모를 발견할 때 당연한 것은 낯섦으로 치환된다. 이 연구를 통해 나의 매일의 일상과 평범함에 인식의 환기점을 부여하고 작업을 통해 사물과 소통하는 방법을 심화할 수 있었다.
In this study, I chose 'spoon' as a medium that expresses various newness. To many people, spoon is just an ordinary object that they use daily, without thinking. My research started with collecting this everyday object, spoon. In European countries, you can easily find spoons with the sceneries and landmarks engraved in the souvenir shop. I personally enjoy looking through vintage shops and love to discover something special. A set of spoons that I found at a vintage shop while travelling, was the beginning of my spoon collection. I found joy whenever I catch a special something from an everyday object. For me, crafting is a process of healing and self-discipline. I craft to grasp those moments of sparkling discoveries from the ordinary and to make them my own more often. Through my works, a spoon as a medium, I wanted to express that if you put your mind to it, you can bring out a sense of newness from your normal daily life.

Spoon has been with mankind for a long time but seem to exist in the absence of perception. For this study, I looked at the single object called 'spoon' from a variety of perspectives and attempted giving changes to its form. Rather than using one main technique, diverse crafting techniques were us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work and materials: copper, brass, sterling silver, and pure silver. I tried to discover new features of the spoon without breaking away from the fundamental structure of the spoon, a bowl with a handle. As a result of this effort, I produced a total of eight series of works. Some started with the function of a spoon, and some started with the meaning of a spoon. Rather than going vertically deep within a single framework, this study is an attempt to horizontally expand the idea of spoons. The series, each with a different viewpoint to start with, ended up with the changes of their form as a result.

This study did not rule out the practical function of the spoon, but some focused more on formative and symbolic aspects rather than practicality in order not to be trapped in the limitations of being a tool. This sometimes resulted in a form that was contrary to the function, which made it difficult to use in reality. However, such works opened up a possibility of a new direction of the spoon by ventilating the trapped consciousness. Looking closely and asking questions of a familiar object that you have not noticed such as 'spoon', I was able to find various new faces of spoons that has not been revealed, yet. And these findings replaced the boredom with something extraordinary. Through my study, I was able to experience evoking a unique and fresh perspective to my repeated daily life and rethink about what it means to really communicate with the objects in our live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8242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835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