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일정 시간의 시각적 인지를 위한 인터페이스 디자인 : Interface Design for Visual Perception of Event TIme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신수현

Advisor
김수정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시계시간 지각시지각일정 시간인터페이스 디자인정보 디자인ClockEvent TimeTime PerceptionInterface DesignInformation Design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미술대학 디자인학부, 2021.8. 김수정.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간을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과 그 효과를 알아보고, 효과적인 시간관리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디자인하는 것이다. 우리는 시계를 통해 시간을 관리하며, 시계 인터페이스의 시각적 형태는 시간의 지각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숫자로 시간을 인지하는 방법에 비해 좀 더 시각적인 시간의 인지 방법과 그 효과를 탐색하였다.
연구과정에서는 시간을 시각(時刻, present time)의 인지와 시간(時間, duration) 구성의 인지 2가지 주제로 나누고, 각 주제를 이론적 고찰, 사례연구, 표현연구 방법을 통해 살펴보았다. 첫 번째로 시각(時刻), 즉 현재 시간을 더 쉽게 인지할 수 있는 방법을 살펴본 결과, 시간을 시각적인 물리량으로 인지하는 다양한 방법과 효과를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방법들이 현재 시각뿐만 아니라 시간의 경과, 간격 및 길이를 더 쉽게 인지하는데 도움을 준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두 번째, 시간(時間), 즉 시각 사이의 구간의 구성을 시각적으로 인지하는 방법을 살펴본 결과, 시간의 구성을 자신에게 일어나는 사건(event)을 단위로 표현했을 때 시간을 더 쉽게 관리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시간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시간을 더 작은 단위로 쪼개어 보는 관점이 아니라 일정의 전체적인 구성을 이해할 수 있는 관점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최종 디자인한 인터페이스에서는 하루 중의 일정을 다양한 크기의 원의 연속으로 구성하였으며, 이는 다음 2가지 기능을 통해 시간관리를 돕는다. 첫째, 시간 인지에 필요한 수 개념을 원의 크기와 위치로 시각화하여, 사용자가 시간을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하였다. 둘째, 시간을 개인의 일정을 단위로 표현하여 시간을 계산하는 과정을 최소화하였다. 또한 일정 사이의 빈 시간도 개별적 원으로 표현하여, 하루 시간의 전체적인 구성을 인지할 수 있게 했다. 이 시계 화면은 스마트워치 화면을 위해 디자인하였으나 스마트폰, 데스크탑 모니터 등 다양한 전자기기의 화면에서도 출력 (display)할 수 있으며, 이때는 넓은 공간을 활용하여 하루뿐만 아니라 일주일, 월 단위의 시간도 인지할 수 있다.
지금까지 우리는 시계 화면의 형태를 주로 현재 시각을 알려주는 용도에만 맞추어왔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시계 화면의 새로운 디자인을 통해 현재 시각을 알려주는 기능에 전체적인 하루 일정을 시각적으로 확인하는 기능을 추가하여 사용자의 시간 인지를 개선하였다. 이 인터페이스는 향후 인공지능 기술이 발달된 고도의 정보화 사회에서는 더욱 유용하게 발전될 가능성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various methods and effects of visual perception of time, and to design an interface for effective time management. We manage time through clocks, and the shape of the clock interface influences our perception of time. In this study, I explored a more visual method of time perception and its effects compared to the numerical method of time perception.

In the research process, time was divided into two themes, 'awareness of present time' and 'awareness of structure of duration time', and each topic was examined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s, case studies, and expression research methods. As a result of examining methods for perception of current time, I found various methods and effects of visually perceiving time through physical quantity. I also found that these methods help us easily recognize the current time as well as the passage, interval and length of time. As a result of examining how to visually perceive the structure of duration time, that is, the intervals between points of time, I found it is easier to manage time through units of personal events. In addition, I found that in order to manage time efficiently, it is necessary to have a overview perspective of the structure of your events, rather than a perspective that divides time into smaller units.

In the final design of the interface, the schedule of the day is composed of a series of circles of various sizes, which makes it easier to perceive and manage time in the following two ways. First, the concept of number required for time perception was visualized as the size and position of a circle, so that the user could visually perceive time. Second, the process of calculating time was minimized by showing time in units of personal events. In addition, the empty time between events were expressed as individual circles, making it possible to recognize the overall composition of the time of the day. Although this interface was designed for the screen of a smart watch, it can also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various electronic devices such as smartphones and desktop monitors.

Until now, we have focused on the shape of the clock interface only to indicate the current time. However, in this study, the user's perception of time was improved by adding the function to visually check the overall daily schedule in addition to perception of the current time through the new interface. This interface has the potential to be developed further in a highly information-oriented society of the future, where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s developed.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8243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818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