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자기불일치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screpancy and Depression: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Absorption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자기몰입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한다솜

Advisor
김동일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자기불일치자기몰입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우울Self-DiscrepancySelf-Absorption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Depression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교육학과(교육상담전공), 2021.8. 김동일.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불일치와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몰입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독립적․순차적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만 18세 이상의 대학생 501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기 질문지, 자기 초점적 주의 성향 척도(SDSDAS), 한국판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척도(K-CERQ), 통합적 한국판 역학역구센터 우울 척도(CES-D)에 대한 응답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Spss 22.0과 Amos 22.0을 활용하여 수집한 자료에 대한 구조 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자기불일치는 자기몰입,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우울과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몰입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및 우울과 정적 상관을,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은 우울과 정적 관계를 보였다. 둘째, 자기불일치와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몰입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이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자기불일치와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몰입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이 순차적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자기불일치가 우울로 이어지는 과정을 정서 인식과 수정이라는 관점에서 통합적으로 확인함으로써 정서조절의 복합적인 측면에 대한 관심이 부족했던 선행연구의 한계를 보완하여 자기불일치와 우울의 관계에서 정서조절의 역할을 구체화했다는 의의를 가진다. 또한, 자기 개념이 단기간에 변화하기 어렵다는 것을 고려했을 때, 높은 자기불일치를 경험하는 우울한 대학생 상담에서 자기몰입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사용에 개입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absorption and mal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in the relation between self-discrepancy and depression by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For this, 501 university students were surveyed using Self-Questionnaire, Scale for Dispositional Self-focused Attention in Social situation(SDSDAS), Korean-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K-CERQ) and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CES-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elf-discrepancy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absorption, mal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depression. In addition, self-absorption correlated positively with mal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depression, and mal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depression. Second, both self-absorption and mal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ppeared to have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discrepancy and depression. Third, self-absorption and mal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showed a dual-mediating effect, which they mediated sequentially between self-discrepancy and depression.
This study has its implication in that it clarifies the role of emotion regulation in the relation between self-discrepancy and depression through the stages of emotion awareness and control, which has been unnoticed until now. Also, considering that self concept is difficult to be changed in the short-term,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self-absorption and mal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need t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counseling depressive university students with high self-discrepancy.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8250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757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