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장시간 근로가 미충족의료 경험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long working hours on unmet medical need : Using data from the Korean Health Panel
한국의료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송지훈

Advisor
백도명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임금근로자장시간 근로미충족의료 경험wage workerslong working hoursunmet medical needs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보건대학원 환경보건학과, 2021.8. 백도명.
Abstract
한국은 2018년 기준 연간 근로시간이 OECD 국가 중 3위로 장시간 근로는 우리 사회에 만연해있다. 이러한 장시간 근로는 근로자들에게 고혈압, 당뇨 등의 만성질환, 뇌심혈관계 질환, 우울증 등의 정신질환, 흡연 등의 건강위해행동의 위험을 높인다고 알려져있다. 이 외에도 의료서비스 접근을 제한하여 미충족의료가 발생하면서 질병의 악화에 기여할 수 있다는 문제제기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의료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장시간근로와 미충족의료 경험사이의 관계를 탐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한국의료패널 제6차(2011)~제9차(2014) 자료를 이용하여 만19세 이상 임근근로자를 대상으로 주당 근로시간이 미충족의료 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였다. 최종 연구대상은 16945인년(6444명)이 선정되었고, 주당 근로시간은 40시간 이하, 40시간 초과 52시간 이하, 52시간 초과 60시간 이하, 60시간 초과의 4개의 군으로 분류하였다. 이후 DAG를 통해 최종 선정된 통제변수를 바탕으로 일반화추정방정식을 시행하였으며, 사유별로 근로관련 조건이 미충족의료 경험에 미치는 요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남녀 각각 13.42%, 17.49%에서 미충족의료를 경험하였다고 응답하였으며, 남녀 모두 인구사회학적(나이, 소득분위, 교육수준) 및 근로관련 특성(직종, 근무형태, 고용형태)을 보정하여도 주당 근로시간 증가에 따라 미충족의료 경험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남성에서 주 40시간 이하 근로를 기준으로 했을 때 근로시간 범주의 증가에 따라 교차비가 1.37(95%CI : 1.17-1.60), 1.43(95%CI : 1.20-1.72), 1.80(95%CI : 1.45-2.23)로 증가하였고 여성에서는 1.18(95%CI : 1.02-1.38), 1.27(95%CI : 1.04-1.56), 2.30(95%CI : 1.78-2.97)으로 증가하였다. 이외에 남성에선 연령과 소득분위와 교육수준이, 여성에선 소득분위와 교육수준, 근무형태가 미충족의료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유별로 살펴보았을 때, 남성에서 연령, 소득분위, 고용형태가, 여성에선 소득분위와 교육수준, 고용형태가 경제적 사유로 인한 미충족의료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며 주당 근로시간의 영향은 없었다. 시간적 사유로 인한 미충족의료 경험은 남성에서 주당 근로시간, 근무형태가 영향을 미쳤고 여성에선 주당 근로시간, 근무형태, 고용형태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근무형태는 남녀에서 각기 다른 방향으로 미충족의료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다.
본 연구 결과, 장시간 근로는 시간적 사유로 인한 미충족의료 경험의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줄이기 위해선 근로시간의 실질적 단축, 상병수당 도입, 산업보건제도의 개편 등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In 2018, Korea ranked third among OECD countries with annual working hours, and long working hours is prevalent in our society. These long working hours is known to increase the risk of chronic diseases such as hypertension and diabetes, cerebral cardiovascular disease, mental illness such as depression, and health-related behaviors such as smoking.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t may contribute to the worsening of the disease as unmet medical needs occurs by restricting access to medical servic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long working hours and experience of unmet medical needs using data from the Korean Health Panel.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working hours per week on unmet medical needs for wage workers aged 19 or older, using data from the 6th (2011) to 9th (2014) of the Korean Health Panel. Working hours per week were classified into 4 groups: 40 hours or less, over 40 hours and 52 hours or less, over 52 hours and 60 hours or less, and over 60 hours. After that, a generalized estimation equation was implemented based on the covariates finally selected through DAG,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 unmet medical needs by work-related conditions for each reason were analyzed.
13.42% and 17.49% of men and women, respectively, answered that they experienced unmet medical needs, and both men and women reported working hours per week increase unmet medical needs significantly even if the demographic factor (e.g., age, income quintile, education level) and work-related characteristics (e.g., occupation, shiftwork, employment type) were adjusted. After stratification for gender, compared 40 hours or less, the odds ratio increased to 1.37, 1.43, and 1.80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the working hours category for men, and 1.18, 1.27, and 2.30 for women.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age, income quintile and education level for men, and income quintile, education level, and work type for women affected unmet medical needs.
When investigated by reason, it was found that age, income quintile, employment type in men, and income quintile, education level, and employment type in women influenced unmet medical needs due to economic reasons, and there was no effect of working hours per week. As for the unmet medical needs due to time reasons, it was found that working hours per week and shiftwork influenced men, and working hours per week, shiftwork, and employment type influenced women. Here, it appears that shift affects the unmet medical needs in different directions in men and women.
As a result of this study, long working hours were found to increase the risk of unmet medical needs due to time reasons. To reduce this,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effectively shorten working hours, introduce sickness allowance, and reorganize the occupational health system.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8257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662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