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정일련 작곡 산조가야금을 위한 <기억 속의 노래> 분석 연구 : An Analysis of for Sanjo Gayageum Composed by Il-Ryun Chung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최은선

Advisor
이지영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가야금정일련기억 속의 노래가야금 창작곡GayageumIl-Ryun ChungSong in My MemoryGayageum contemporary music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음악대학 음악과, 2021.8. 이지영.
Abstract
본 연구는 정일련 작곡 산조가야금을 위한 를 분석하여 악곡의 특징과 구조를 밝힌 논문으로 작품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는 더 이상 기억하지 못하는 선율과 리듬을 추구하고 탐색하는 과정을 표현한 곡이다. 작곡가는 이를 음악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전통적 5음 음계의 구성음과 이와 어긋나는 음인 F#음을 함께 사용함으로써 불협화적인 선율 진행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도록 하였다. 또한, 본 곡에서는 전통 장단과 유사한 형태의 리듬이 일정한 패턴을 형성하며 나타나고 있는데 이때 그것과 대비되는 생소한 리듬이 악곡 사이에 불규칙적으로 삽입됨에 따라 박의 흐름이 일관성 있게 진행되지 못하고 계속 흐트러지는 모습을 보인다. 이러한 선율과 리듬의 진행은 이질적이면서도 친숙한 분위기를 자아내고 있으며 작곡가는 이를 통해 본 작품에서 표현하고자하는 아득한 기억의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자 하였다.
둘째, 의 악곡구조는 A·B·C·D의 4개의 단락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단락은 음악적 동기나 음형, 리듬과 같은 주요한 음소재를 다채롭게 변화하여 곡이 전개되고 있다. A단락은 본 악곡의 도입부로 특징이 되는 음악적 동기가 출현하며 5연음의 연속적 사용과 불협화적인 화음 진행을 통해 패턴을 형성해나가는 구간이다. B단락은 9박과 5박이 처음 등장하여 9+6+6+9와 연속적인 5박의 특징적인 리듬패턴이 교대로 나타나며 이것이 점차 형태를 갖추어가는 구간이며, C단락은 9박과 5박의 리듬이 더욱 심화되어 다양한 형태의 리듬으로 변용되어 나타난다. D단락은 긴장이 이완되며 점점 느린 호흡으로 종지감을 형성해나가며 곡이 마무리 된다.
셋째, 에서는 전통 장단을 연상시키는 3소박의 리듬과 당김음의 리듬이 다양한 형태로 발전되고 있으며 일관적인 박자체계 안에서 5박과 9박의 리듬이 다양하게 변용되어 악곡이 다채롭게 전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한국의 전통 장단의 요소를 근간으로 하여 리듬적인 전개를 심도 있게 다루는 작곡가의 작품경향이 본 곡에서도 강하게 드러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작곡가는 본 곡에서 뜯고 튕기는 주법과 농현, 여음연결 등의 전통적 주법을 주로 사용하였으나 이를 전통적인 사용법과 다른 맥락에서 사용함으로써 가야금이 가진 고유의 음색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현대 창작곡으로서의 작품성도 성취하였다고 볼 수 있다. 더불어 악곡에 나타나는 현대적인 음계와 선율의 진행에 음색의 다양성을 확보하고 각 주법의 효과를 최대한으로 극대화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가야금 연주자들이 산조가야금을 위한 의 작품의 구조를 파악하고 악곡을 해석하는 데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나아가 산조가야금의 가치와 음악적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작품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길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 of Song in My Memory for sanjo gayageum composed by Il-Ryun Chung.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ong in My Memory portrays the composers efforts to recall a melody and rhythm that have faded from memory. The composer musically depicts this theme by pairing the traditional pentatonic scale with a discordant F# and thus creating a dissonant melody progression. Moreover, the piece uses a rhythm similar to the traditional jangdan in a consistent pattern but interlaces it with an unexpected rhythm at irregular intervals, thereby disturbing the flow and preventing a uniform progression. These melodic and rhythmic progressions create a strange but familiar atmosphere for the listener and therefore effectively portrays the idea of a faded memory.
Second, the Song in Memory is structured into four sections—A, B, C, D—each of which progresses by varying the main musical elements such as motif, figure, or rhythm. As the introduction to the piece, Section A establishes the musical motif and builds a melodic pattern by the repeated use of quintuplet and dissonant harmonic progression. Section B introduces and gradually builds on the nine-beat and five-beat rhythms by alternating the distinctive 9+6+6+9 and continuous 5-beat rhythmic patterns. In Section C, the nine-beat and five-beat rhythms are further developed into various forms. Section D concludes the piece and creates feelings of closure by decreasing the intensity of the piece and gradually slowing down the tempo.
Third, Song in My Memory develops the 3 sobak(small beats) rhythm and syncopation rhythm, which are suggestive of the traditional jangdan, into various forms. The piece also varies the five-beat and nine-beat rhythms within a uniform rhythmic structure. These features are indicative of the composers musical style, which uses elements of Koreas traditional jangdan to build rhythmic progression with greater depth.
Fourth, the composer experiments with traditional playing techniques such as plucking, flicking, nonghyeon, and connecting notes through lingering sounds, by using them in contexts where they are not traditionally used. Through this approach, the composer was able to produce a masterful contemporary creative piece without compromising the Gayageums unique tone. Further, the use of modern scales and melodic progression in the piece has allowed variations in tone and maximized the effect of each playing technique.
The author hopes that gayageum performers find this study helpful in understanding the structure of and interpreting Song in My Memory for sanjo gayageum. Furthermore, the author hopes that research on pieces that can increase the value and musical potential of sanjo gayageum stays active.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8273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777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