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제1차 북핵위기 (1993-1994) 협상의 담론적 유산 : Discursive Legacies of the First North Korean Nuclear Crisis (1993-1994) Negotiations: An Analysis Through U.S. and South Korean Diplomatic History Records and First-Person Memoirs
미·한 외교사적 기록과 회고록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올타 케일라

Advisor
박태균; 한정훈; 최용섭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1차 북핵위기1994제네바합의남북한 관계미국의 외교정책외교사학정치담론분석논증적 담론분석내러티브 분석1st North Korean Nuclear Crisis1994 Agreed FrameworkU.S. Foreign PolicyNorth-South Korean RelationsDiplomatic HistoryPolitical Discourse AnalysisArgumentation Discourse AnalysisNarrative Analysis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국제대학원 국제학과(한국학전공), 2021.8. 박태균
한정훈
최용섭.
Abstract
본 논문은 1990년대에의 제1차 북핵위기를 둘러싼 담론적이고 논증적인 내러티브, 즉 담론적 유산(discursive legacies)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1994년 10월 21일, 미국과 북한 간의 제네바 기본합의서(Agreed Framework)가 체결되면서, 사실상 1차 북핵위기가 종식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실패사에 대한 정책적인 내러티브는 거의 30년이 지난 지금에도 풍부하다. 중요한 '담론적이 사건(discursive event)'으로써, 이 위기는 북한 비핵화를 위한 미국과 한국의 모든 후속 노력에 역사적인 출발점이 된다. 본 논문은 미국과 한국 정치관료자들과 정책계의 위기에 대한 인식과 논의를 조사함으로써, 양국의 정부 정책을 각각 설명하고 정당화하기 위해 어떻게 담론적이고 논증적인 서술, 즉 담론적 유산이 사용되는지를 질문한다. 학제간(interdisciplinary)의 접근방법을 채택한 본 논문은 내러티브 분석, 외교사 연구, 논쟁적 정치담론의 분석의 세 가지 분야에 대한 연구 방법론을 따른다. 160개의 기록된 문서와 21개의 인터뷰에 보존된 사회정치적 담론분석을 통해 1077쪽 분량의 연구 자료를 분석해 1차 북핵위기를 둘러싼 정치적 담론을 들여다볼 수 있다. 정치정책 입안자들의 집단 이념적인 담론 내에서 정책이 만들어지고 제정된다는 점을 고려하면서, 1993년~1994년 협상이 어떻게 제도적, 정치적 기억 속에서 논의되는지에 대한 심층적 조사는 담론 이후의 북한의 비핵화를 위한 한미 정책 계획과 참여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통찰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본 논문은 종종 간과되는 1차 북핵위기에 대한 서술에서 뉘앙스(nuance)를 발견한다. 둘째, 미국 정부의 기밀 해제된 문서를 분석한 결과, 미국 정책담론 흐름의 변화는 한미관계의 어려움은 물론 국내적 압박에 대한 대응이었던 것으로 나타난다. 이와 유사한 분석에서 한국 정부 기록도 위기에 대한 미국의 의견을 정기적으로 따랐던 정책담론을 발견한다. 셋째, 미국과 한국의 인터뷰에서 나타난 논쟁적 정치담론 분석은 어떤 담론적 테마들이 일반적으로 반복되는지 깊게 이해하는 결과를 낳는다. 미국 제네바합의의 옹호론자인 정치관료자들은 자신들의 견해를 정당화(justify)하기 위해 비판의 반박(counter-criticism)과 반사실적(counter-factual)인 추론을 활용했지만, 한국 정치인들의 경우, 위기 동안 한국 정부의 정책을 정당화하면서, 후건 긍정의 오류(fallacy of affirming the consequent)라는 논증적 추론을 되풀이하는 경향을 보인다. 따라서, 본 논문은 기밀 해제된 기록과 공개적으로 이용 가능한 인터뷰로 엘리트 정부(elite government)의 관료정치자들이 공포한 정치적 담론은 정부 조치의 정당성(justification)을 통해 대중을 설득하는 힘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주장한다. 다만, 이런 담론적 유산이 과거사 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며 향후 북한과의 비핵화 협상에 어떤 식으로 투영될지는 주목되어야 하고 신중하게 분석되어야 한다.
On October 21, 1994, the Agreed Framework was signed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North Korea, effectively ending the 1st North Korea Nuclear Crisis. However, nearly thirty years later, policy narratives on the failed history of the Agreed Framework still abound. As a pivotally important discursive event, the crisis serves as a historic starting point for all subsequent U.S. and South Korean efforts towards North Korean denuclearization. By investigating perceptions and debates about the crisis in U.S. and South Korean political bureaucracy and policy circles, this dissertation asks the question how are discursive and argumentative narratives, i.e. discursive legacies, used to explain and justify U.S. and South Korean government policies respectively. Employing an interdisciplinary framework, the dissertation follows research methodologies from three disciplines: narrative analysis, diplomatic history studies, and argumentative political discourse analysis. Through analysis of socio-political discourse preserved in 160 archival documents and 21 interviews, 1,077 pages of research material are analyzed, offering unique insight into political discourse surrounding the nuclear crisis. Given that political policies are made and enacted within the collective ideological discourse of individual policy makers, a deeper investigation into how the 1993-1994 negotiations are discussed in institutional and political memory could offer insight into how discourse has affected subsequent U.S. and South Korea policy planning and engagement for North Korean denuclearization. Firstly, the dissertation finds nuances in narratives about the first nuclear crisis which are often overlooked. Second, analysis of declassified U.S. government documents illustrates shifts in the flow of U.S. policy discourse, often in direct response to domestic pressures as well as difficulties in U.S.-South Korean relations. Similar analysis of Korean government records uncovers policy discourse which regularly followed U.S. opinion on the crisis. Third, argumentative political discourse analysis of U.S. and South Korean interviews resulted in a deep-level understanding of what discourse themes were commonly repeated. While U.S. policy officials, supporting the Agreed Framework, utilized counter-criticism and counter-factual reasoning to justify their perspectives, conversely, Korean officials revealed a tendency towards reiterating fallacy of affirming the consequent argumentation in their justification of the Korean governments policy during the crisis. In conclusion, political discourse, as promulgated by elite government officials through declassified documents and publicly available interviews, holds the power to persuade and convince the public of the justifiability of policy actions. As such, how these discursive legacies affect perceptions about past events and are projected onto future denuclearization negotiations with North Korea should be noted and cautiously analyzed.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8278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753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