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조선 초기 군사훈련의례와 병학 : Military training rituals and Military science(兵學) in early Chosŏ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허대영

Advisor
문중양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군사훈련의례군사의례군사훈련병학병학사상講武大閱진법Military training ritualsmilitary trainingmilitary ritualsmilitary sciencemilitary thought- 290 - Gangmu(講武)Daeyeul(大閱)battle formation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인문대학 국사학과, 2021.8. 문중양.
Abstract
Military training i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combat skills of the soldiers and building the nation's military power through this. Military training was understood only as a result of organization of the military system, and attention has been focused on its military function and effectiveness, such as how well it was configured as a tool for realizing the tactics of that time. However, military training in which a large number of soldiers operat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ocedure has the character as a ceremony in itself. The pre-modern East Asian countries, which had Confucianism as their fundamental ideology, tried to realize the Confucian ideal through rule system by rites(禮治), and rituals(儀禮) was used as a major tool for deposits. Military training conducted by the emperor or king was recognized as a military ritual in the Confucian ritual system. It can be classified as a 'military training rituals' by highlighting the characteristics of military training in the Confucian society as both a military training and a ritual.
Chosŏn's military training was not just for training the soldiers' combat skills. Military training was also a national ritual to confirm the legitimacy of the exercise of military power by the king and to imprint the hierarchical order. After the founding of the Chosŏn Dynasty, the Confucian ritual system was reorganized, and military training was established as a 'military training ritual' named '講武(Gangmu)' and '大閱(Daeyeul)'. This thesis examines the process and changes in the establishment of Gangmu and Daeyeul in the early Chosŏn Dynasty, and their historical significance.
Large-scale military training led by the state were considered rituals from ancient times. In the Zhou, military training rites were stipulated in Rites of Zhou(周禮), which were conducted in the order of 'training-hunting-sacrificing' every season. The military training rituals of Rites of Zhou was handed down to future generations as the ideal. At Tang Dynasty which newly classified and systematized the Confucian national rituals into five rituals, also basically inherited the Rites of Zhou. However, military training rituals were divided into two types, hunting training and Jinbeop(陣法 : battle formation) training, and the specific training contents were also changed based on the rites theory of the time. Nevertheless, the Tang Dynasty's military training rituals were inherited as a new ideal model.
While the Tang Dynasty's military training rituals emphasized ideological and formal procedures, the military training rituals of the Song Dynasty emphasized practical functions as military training. These changes were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of Muhak(武學 : national academy of military science) in the Song dynasty, the implementation of Mugwa(武科 : state examination of military officer), and the establishment of Byeonghak(兵學 : military science). In the same context, the Song dynasty hunting rite gradually changed to a rite of loyalty between emperor and military officers rather than a military training ritual. at last it was stpped.
On the other hand, Mongolia has been conducting great hunting as an important national work since the time of Genghis Khan. Genghis Khan's great hunting was a military training and was for the order and harmony of the entire tribe, and it was also an economic activity for survival in winter. It was similar to ancient hunting rites. After the founding of the Yuan Dynasty, Kublai changed traditional hunting according to sitiation at that time. Every year, he toured the capital city and conducted a large-scale hunting with his imperial guards, Keshik, and along with this, local officials hunted in their territory and offered the game to the Khan. As a result, nationwide hunting was carried out as a ritual.
The hunting of the Yuan influenced the hunting of the Koryŏ at the end of 14th century. Kings of Koryŏ was in capital of Yuan as a hostage when they were crown princes, during the Yuan Intervention Period. For this reason, the kings of the Koryŏ conducted hunting to establish the king's authority and to grow the royal guards, especially Eungbang(鷹坊). The scholars criticized this as hunting for play.
The founding forces of Chosŏn pursued a Confucian state system, and tried to establish military training as an ideal military training rituals of Rites of Zhou. The work was led by Jeong Dojeon, who was supported by Taejo. However, the forces that were in control of the military power at that time did not understand that the establishment of military training rituals led by Jeong Dojeon did not mean that the authority of military operation belonged to the public organization of the state, but understood that it was the individual seizure of military power by Jeong Dojeon. Because of this, they resisted the military reform of Jeong Dojeon, and in the end, due to the prince's rebellion, Taejong took control of the government.
Taejong promoted reform of the military system, unifying the military authority to the national organization. Military training was also planned to be conducted under the leadership of the king, and first of all, hunting military training was carried out. As in the end of Koryŏ, the bureaucrats criticized the hunting training led by Taejong as hunting for play. In response, Taejong referred to the rites system of Tang and named hunting training Gangmu and established it as a military training ritual. At first, Gangmu did not conduct as a ritual, but it became a authentical military training ritual by improving the system.
In addition, as the local military system was improved in the King Taejong's reign, local troops were mobilized in Gangmu, and sacrifice were held in local mountains and streams during Gangmu. Through this, Gangmu was established as a military training ritual that symbolically and practically embodies the king's nationwide rule, and it imprints on the bureaucrats and soldiers the recognition that it is the exclusive authority of the state to determine and implement military training methods.
At the King Taejong's reign, Jinbeop training was implemented and expanded nationwide. Because the Jinbeop training was advantageous in managing and controlling the soldiers compared to the hunting training. Jinbeop training was conducted with the establishment in mind as a military training ritual from the beginning of its implementation. Taejong had Byun Gyeryang to determine the principles of Jinbeop operation by researching theories of Jinbeop delivered at the time. Jindobeop, the book of battle formations published in King Sejongs reign, was the result. With the compilation of Jindobeop, Chosŏn's theory of Jinbeop could be determined.
In King Sejongs reign, the military training rituals was reorganized based on the tradition model, and in the process, military science studies were conducted. First, various ceremonial procedures related to Gangmu were rearranged according to the tradition model. At the same time, institutional supplements were made to prevent various inconveniences that may occur during the Gangmu. The schedule of the Gangmu were kept constant, and the performance of the Gangmu was operated as planned in advance to strengthen the formality as a rite. Also enhanced the function of military training. The same signal system as the jinbeop training was operated during the Gangmu. And because it was difficult for the chasing cavalries to participate in the hunting during the Gangmu, hunting training for the chasing cavalries was institutionalized.
Next, the Jinbeop training ritual, the Daeyeul,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Tangs text of the rite such as Kaiyuan Rites. The ritual procedure of the Daeyeul followed Kaiyuan Rites, but the training procedure was based on the Jinbeop theory of Jindobeop. The training process of Jindobeop followed Jeong Do-jeon's theory, which pursued the system of Rites of Zhou. The goal of establishing the 大閱儀 as the military training ritual of King Sejongs period was to combine the ritual format of Tang and the training format of Rites of Zhou. Gyechuk Jinseol was the result of that thought. With the compilation of Gyechuk Jinseol, it was possible to establish a Daeyeul as the ideal jinbeop training ritual of the Chosŏn Dynasty.
During this process, Chosŏn reviewed various Chinese military books(兵書), and the overall level of understanding of military science including Jinbeop increased. As a result, for the operation of Jinbeop, not only the training of the soldiers but also the ability of the officers to command the army was considered to be important. So various military books were published and compiled in the King Sejong period. This compilation of military books improved the level of military science in Chosŏn, which changes in the military training rituals.
Munjong, who was interested in military affairs and military studies, recognized the problem with the training method in Daeyeul and tried to fix it. He tested the new training method by visiting the routine training such as Yeulmu(閱武) or Subjin(習陣). And compiled the (Owi)Jinbeop, it set the principle of ki-jung(奇正) operation and created a new jinbeop training process.
Changes in Jinbeop training continued after Munjong period, and gradually changed from ideological and formal training to practical and concrete training. In the Sejo period, it was attempted to improvising training similar to actual combat by breaking the fixed form. So, without a pre-determined procedure, the troops were divided into two group and training like in actual battle. And for testing the officers commanding ability, created a sudden situation such as having royal guard attack the soldiers in training. As regular training changed to practical training, the military training ritual, Gangmu and Daeyeol, focused on the ceremonial function as a royal rite rather than the function of military training. This change in military training rituals can be evaluated as progressing from mimicking the Confucian ideal type, transforming it into a military training method suitable for reality.
The establishing military training rituals in the early Chosŏn Dynasty was a establishing the principles of jinbeop operation based on military science while pursuing the Confucian ideal as a ritual. In addition, by establishing military training rituals, the task of determining and implementing the process of military training could be recognized as a public task determined by the state. As a result, research on the military knowledge required for the tactics and building the army was carried out in the country. Various military books were compiled from the late King Sejong to the King Sejos reign, and military education for officers was emphasized.
This can be understood as the establishing the military science of Chosŏn and forming a public military officer training system. It means that there has been a shift in the perception that military knowledge and skills can be transmitted through education. Also means that military knowledge are nurtured within the public system, rather than individually by passing.
군사훈련은 군사들의 전투 기술을 단련하고, 이를 통해 국가의 군사력을 건설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시행된다. 군사훈련은 군사제도 정비의 결과물로만 이해되었으며, 당대의 전술을 구현하기 위한 도구로서 군사훈련이 얼마나 적합하게 구성되었는가라는 그 군사적 기능과 효용성에 관심이 집중되어왔다. 하지만 많은 수의 군사들이 미리 정해진 절차에 따라 동작하는 군사훈련은 그 자체로 하나의 의식(ceremony)으로서 성격을 갖는다. 儒學을 국가 경영을 근본이념으로 하였던 전근대 동아시아 국가들은 禮治를 통해 유교적 이상을 구현하고자 하였고, 儀禮(rituals)는 예치를 위한 주요한 도구로서 활용되었다. 황제 혹은 국왕이 주관하는 군사훈련은 유교적 국가의례체계에서 하나의 軍禮로서 인식되었다. 이러한 유교 사회내의 군사훈련의 군사훈련이자 의례로서 특성을 부각하여, 군사훈련의례라 구분할 수 있다.
조선의 군사훈련 역시 단순히 군사들의 전투 기술을 단련하기 위한 일만은 아니었다. 군사훈련은 국왕에 의한 군사력 행사의 정당성을 확인하고, 국왕을 정점으로 한 위계질서를 구성원들에게 각인시키는 국가의례이기도 하였다. 조선 건국이후 유교적 의례제도를 정비하면서, 군사훈련을 講武와 大閱이란 이름의 군사훈련의례로서 정립하였다. 이 논문은 조선 초기 강무와 대열의 정립되는 과정과 변화, 그리고 그 역사적 의미에 대해서 고찰한 것이다.
국가 주도의 대규모 군사훈련은 일찍부터 의례로서 여겨졌다. 周代에는 매 계절마다 훈련-사냥-제사의 순서로 시행되는 군사훈련의례가 『周禮』에 규정되어 있었다. 『주례』의 제도는 군사훈련의례의 이상으로서 후대에 전해졌고, 유교적 국가의례를 새롭게 五禮로 분류하고 체계화하였던 唐 역시 기본적으로 『주례』의 제도를 계승하였다. 다만 사냥훈련과 진법훈련의 두 가지로 군사훈련의례를 구분하고, 구체적인 훈련 내용도 당대 예론에 입각하여 바꾸었다. 그럼에도 당의 군사훈련의례는 새로운 古制로서 후대에 계승되었다.
당의 군사훈련의례는 이념적이고 형식적인 절차를 중시하였다면, 宋의 군사훈련의례는 군사훈련으로서 실질적인 기능을 중시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송대 武學의 설립 및 武科의 실시, 그리고 병학의 정립과 관련된 것이었다. 같은 맥락에서 송대 사냥의례는 점차 군사훈련의례이기보다는 군신간의 충성의례로 변화하였고, 그 시행도 중지되었다.
반면에 몽골에서는 칭기즈 칸 시기부터 국가의 중대사로서 대사냥을 시행하였다. 칭기즈 칸의 대사냥은 군사훈련이자 전 부족민의 질서와 화합을 위한 일이었으며, 겨울철 생존을 위한 경제활동이기도 하였다. 이는 古制로서 사냥의례와 유사한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元 건국 이후로 쿠빌라이는 전통적인 사냥을 현실에 맞게 변화하여 시행하였다. 매년 兩都를 순행하며 자신의 숙위인 케시크와 함께 대규모 사냥을 시행하였고, 이와 함께 지방관들은 각지에서 사냥하여 그 사냥감을 칸에게 바치도록 하였다. 이로서 전국적인 사냥을 의례적으로 시행한 것이다.
이러한 元의 사냥은 고려 말 고려 국왕의 사냥 시행에 영향을 끼쳤다. 원 간섭기 고려 국왕들은 세자 시절 원 수도에서 숙위하였는데, 이때 원의 사냥을 경험하며, 이상적인 사냥의례로서 인식하였던 것이다. 때문에 고려 말의 국왕들은 국왕의 권위를 확립하고, 응방을 중심으로 국왕 친위세력을 양성하기 위해 사냥을 시행하였다. 이에 대해 신료들은 遊獵이라 비판하였던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새 왕조를 개창한 조선의 건국 세력들은 유교적 국가체제를 추구함에 따라 군사훈련도 『주례』의 이상적인 군사훈련의례로 정립하고자 하였다. 그 작업은 태조의 후원을 받은 정도전이 주도하였다. 하지만 당시 군사력을 장악하고 있던 세력들은 정도전이 주도한 군사훈련의례 정립을 군사 운용의 권한을 국가 공적인 조직에 귀속시키는 것으로 이해하지 못하였고, 정도전 개인의 군권 장악으로 이해하였다. 때문에 정도전의 군제개혁에 반발하였고, 결국 왕자의 난으로 태종을 위시한 세력이 정권을 장악하게 되었다.
정권을 장악한 태종 역시 군사력 운용의 권한을 국가 공적 조직을 중심으로 일원화하는 방향으로 군제 개혁을 추진하였다. 군사훈련 또한 국왕 주도로 시행하고자 하였고, 우선 사냥 형식의 군사훈련을 시행하였다. 고려 말과 마찬가지로 태종이 주도한 사냥 훈련에 대해 당시 신료들은 遊獵이라 비판하였다. 이에 대응하여 태종은 唐의 의례제도를 참고하여 사냥 훈련을 講武라 명명하고 군사훈련의례로서 정립하였다. 초기의 강무는 의례로서 제도를 갖추지 못하였지만, 태종 후반 강무와 관련한 일련의 제도를 정비하고, 행행의 규모도 갖추면서 명실상부한 군사훈련의례가 되었다.
또한 태종 후반 지방군사제도의 정비가 진행되면서, 강무에 지방군을 동원하고 강무 때 지방 산천에 제사를 지냈다. 이를 통해 국왕의 전국적인 지배를 상징적이고 실질적으로 구현하는 군사훈련의례로서 강무가 정착되었고, 군사훈련의 방식을 결정하고 시행하는 일이 국가와 국왕의 독점적인 권한이라는 인식을 관료와 군사들에게 각인시켰다.
태종대 군사훈련의례로서 강무 시행 정착과 전국적인 군사제도 정비, 그리고 군사훈련의 시행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이루어지면서 지방의 군사훈련의 내용과 시행도 국가에서 관리·통제하게 되었다. 태종 후반에는 진법훈련을 시행하고 전국적으로 확대시켰는데, 진법훈련은 평지의 훈련장에서 이루어지는 훈련의 특성상 사냥훈련에 비하여 군사들을 관리하고 통제하는 데 유리하였기 때문이었다. 태종대 진법훈련은 시행 초기부터 군사훈련의례로서 정립을 염두에 두고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태종은 변계량에게 당시 전하는 다양한 진법론을 고찰하여 진법 운용의 원칙을 정하게 하였다. 세종 초 만들어진 『진도법』은 그 결과물이었다. 『진도법』의 편찬으로 조선의 진법 정론이 정해질 수 있었다.
세종대에는 古制에 입각하여 군사훈련의례의 제도를 정비하고, 그 과정에서 진법 중심의 병학 연구가 진행되었다. 먼저 講武와 관련된 여러 의식 절차를 古制에 의거하여 정비하여, 군사훈련의례로서 격식을 갖추어나갔다. 이와 함께 강무 때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민폐를 방지하기 위한 제도적 보완도 이루어졌다. 강무의 일정과 규모도 일정하게 유지하고, 강무의 시행도 사전에 계획대로 운영하여 의례로서 정형성을 강화하였다. 이와 함께 군사훈련으로서의 기능도 보완하고자 하였다. 강무 때에도 진법훈련과 동일한 신호체계를 운용하게 하였고, 驅軍들은 강무때 사냥에 참여하기 어려웠기 때문에 강무이외에 정기적으로 군사들만의 사냥훈련을 제도화하였다.
다음으로 진법훈련의례는 『大唐開元禮』등 중국 禮典을 바탕으로 진법훈련의례인 大閱이 정립되었다. 이때 대열의 의례 절차는 『개원례』를 따랐지만, 진법훈련의 절차는 『진도법』의 진법론에 의거하였다. 『진도법』의 훈련절차는 『주례』의 제도를 지향하였던 정도전의 진법론을 따른 것이었다. 세종대 군사훈련의례로서 大閱儀 정립의 과제는 唐의 의례제도와 『주례』의 훈련 형식을 결합하는 일이었다. 세종대 편찬된 진법서인 『계축진설』은 그 고민의 결과물이었다. 『계축진설』의 편찬으로 조선의 이상적인 진법훈련의례로서 대열의를 정립할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 조선에서는 중국의 여러 병서를 검토하였고, 진법을 비롯한 병학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 수준이 높아졌다. 그 결과 진법의 운용을 위해서는 군사들의 훈련 뿐 아니라 군사를 지휘하는 무장의 역량이 중요하다고 여기게 되어, 무장을 대상으로 병학 교육을 강조하기 시작하였다. 세종 후반 이후 국가 주도로 다양한 병서를 간행하고 편찬하였던 것은 그 때문이었다. 이러한 병서 편찬은 조선 사회의 병학 수준을 향상시켰으며, 이는 다시 군사훈련의 형식과 방법에 변화를 가져왔다.
軍事와 병학에 관심이 많았던 문종은 재위 초부터 대열 훈련 방식에 대한 문제를 인식하고 이를 개선하고자 하였다. 일상적인 진법훈련인 閱武 혹은 習陣 등에 친림하여 새로운 훈련법을 시험하였고, 그 결과물을 정리하여 『(오위)진법』을 편찬하였다. 이전까지 조선에서 편찬했던 진법서에서는 중국 병학의 내용을 인용하여 정리하는 수준이었다면, 『(오위)진법』은 독자적인 奇正운용의 원칙을 설정하고, 이에 따라 새로운 진법훈련 방식을 창안하였다. 새로운 훈련법은 『(오위)진법』「대열의주」에 6가지로 정리되었다.
문종대 이후 진법훈련의 변화는 계속되었고, 점차 이념적이고 형식적인 훈련으로부터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훈련으로 변화하였다. 세조대에는 고정적인 형식을 탈피하여 실전과 같은 훈련으로 무장의 임기응변을 기르고자 하였다. 그래서 미리 정해진 절차 없이 군사들을 나누어 실전과 같이 전투하도록 하였고, 즉석에서 금군에게 훈련 중인 군사들을 공격하도록 하는 등 돌발적인 상황을 만들어 장수들의 지휘 능력을 시험하였다. 일상적인 훈련이 실전적인 훈련으로 변화하면서, 군사훈련의례인 강무와 대열은 군사훈련의 기능보다는 국왕의례로서 의례적 기능에 집중하였다. 이러한 군사훈련의례의 변화는 병학의 발전으로 유교적 이념을 추구한 훈련 방식을 모방하는 일을 넘어서, 유교적 이념을 추구하되 현실에 맞는 군사훈련 방식으로 변용하는 단계로 진전된 것이라 평가할 수 있다.
조선 초기 군사훈련의례의 정립과정은 의례로서 유교적 이상형을 추구하는 동시에 병학에 근거한 진법 운용의 원칙을 정하는 과정이었다. 또한 군사훈련의례를 정립함으로써 군사훈련의 내용을 정하고 시행하는 일은 국가에서 정하는 공적인 업무로 인식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국가에서 用兵 및 養兵에 필요한 전문지식, 즉 병학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세종대 후반부터 세조대까지 다양한 병서가 편찬되고, 무장에 대한 병학 교육이 강조되었다.
이는 조선의 병학이 정립되고, 공적인 무장 양성체제를 형성하는 과정으로서 이해할 수 있다. 병학 관련 지식과 기술을 교육을 통해 전달할 수 있다는 인식의 전환이 이루어진 것이고, 개별적으로 병학 지식을 전승하여 무장을 양성하는 것이 아니라 공적인 체계 내에서 무장을 양성하게 되었음을 의미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8285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793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