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죽음과 목소리를 통한 결속 : Les solidarités à travers la mort et la voix : Une étude sur Les solidarités mystérieuses de Pascal Quignard
파스칼 키냐르의 『신비한 결속』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권현승

Advisor
유호식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파스칼 키냐르신비한 결속근원죽음목소리재현Pascal QuignardLes solidarités mystérieusesoriginemortvoixreprésentation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인문대학 불어불문학과, 2021.8. 유호식.
Abstract
Cette étude a pour objectif déclaircir comment lorigine est vécue et représentée dans Les solidarités mystérieuses de Pascal Quignard en lanalysant sous le thème du désir dorigine. Le désir dorigine s'incarne à travers les personnages à la recherche d'objets de désir perdus dans diverses œuvres de Quignard. Le concept de « origine » quignardien est significatif en ce quil ne se réfère pas simplement à un point particulier du passé, mais au temps préexistant créé par de tels passés, un monde non-linguistique qui est constamment rétroactif et s'échappe des tentatives de capture. L'origine de Quignard se représente comme un monde prénatal, suggérant que les humains en ont été expulsés à la naissance. En d'autres termes, lorigine quignardienne est un monde perdu qui n'est jamais remplacé par un autre objet. De plus, dans le monde quignariden, lexpérience de la perte est universelle et fondamentale pour deux raisons; elle se produit inévitablement dans le temps et elle est un point de départ qui rend toute autre expérience.
Dans la première partie, nous avons observé comment lorigine perdue fonctionne comme lobjet de désir et dexpérience. Nous proposons la notion de « lexpérience proche de la mort » pour démontrer le processus de faire expérience de lorigine. Si lhomme se sépare du monde originaire en naissant, la mort paraît le faire retourner au monde originaire. Donc, lexpérience proche de la mort fonctionne pour permettre aux hommes de faire momentanément lexpérience de lorigine sans jamais mourir. Lexpérience consiste à trouver des traces de la mort dans un lieu particulier, à y entrer, à prendre en contact avec l'objet originaire et, par conséquent, à subir une série de changements physiques et mentaux (lextase et la métamorphose). L'expérience de Claire, personnage central du roman, s'approfondit en trois étapes – lanimalisation, la déstabilisation et labandon de la forme. Cela veut dire que la mort est veçue comme une « chasse » mélancolique en ne renonçant pas à l'objet perdu. De ce fait, la nature est dépeinte comme un monde symbiotique où l'absence et la plénitude existent simultanément.
Ce qui est remarquable dans l'expérience proche de la mort de Claire, c'est qu'elle déclenche l'expérience des personnages environnants. Dans l'expérience proche de la mort, Claire s'abandonne et s'ouvre sur l'extérieur. Cettre ouverture entraîne les expériences des personnages autour de Claire, y compris son frère Paul, son amant Jean et Juliette la fille abandonnée de Claire.
L'attention portée à l'expansivité de l'expérience nous conduit à nous interroger sur les couches d'expansion ; y a-t-il une possibilité que l'expérience proche de la mort de Claire entraîne celle du lecteur ainsi que des personnages fictifs du récit ? Cette question nous oblige de demander la possibilité d'une représentation de lexpérience. Pour que l'expérience de Claire avec lorigine, qui est une simple expérience dun personnage de fiction, évoque lexpérience du lecteur propre, il faut que la représentation ait été suffisamment faite.
Dans la deuxième partie, Nous essayons de montrer lhomogénie de lexpérience proche de la mort et lécriture de Quingard. Nous utilisons le concept de « voix » de Maurice Blanchot. Selon lui, la voix révèle l'oubli, le silence et l'absence qui appartiennent au monde non-linguistique. Puisque le récit du roman prend la forme d'un témoignage de l'entourage de Claire, la représentation de l'expérience du roman dépend du fait que ce témoignage acquiert le caractère de la voix. Parmi 5 parties du roman, nous avons remarqué que les parties 3 à 5 où les personnages témoignent sont divisées en trois étapes (lassimilation, la fragmentation et la figuration de l'absence) selon leurs caractéristiques représentatives. Chaque étape de la représentation s'intensifie comme elle ressemble à chaque étape de lexpérience proche de la mort. Cette analyse montre que le témoignage des personnages secondaires devient progressivement une voix qui se situe entre labsence et la présence.
L'importance des solidarités mystérieuses dans le monde de Quignard est révélée dans son aspect relationnel. Pour faire l'expérience de lorigine, un autrui est toujours nécessaire en tant que sujet de la relation. En même temps, cette relation est perçue comme perdue ou reconstruite en liaison avec lorigine, sans jamais perdre son instabilité. En d'autres termes, la formation de relations avec des objets individuels est essentielle à l'expérience de lorigine, mais dans le monde quignardien, les relations sont significatives en tant que processus d'expérience pour un monde plus global et ne sont pas facilement positives en elles-mêmes. L'aspect relationnel des solidarités mystérieuses est également similaire au cadre suggéré ci-dessus, mais la fin de ce roman ne choisit pas entre l'extase de l'unité et la douleur de la séparation. Claire perd son objet bien-aimé, Simon, mais elle ressent l'absence de Simon avec plénitude à travers son expérience proche de la mort. À la fin du roman, bien que Claire meurt et disparaît, son absence est ressentie avec plénitude par les personnages et les lecteurs qui l'entourent. En somme, Les solidarités mystérieuses montre l'horizon le plus large que le monde de Quignard peut atteindre en montrant la possibilité d'une relation "mystérieuse" elle-même à travers la reconstitution de l'expérience de Claire et la voix qui la représente.
본 연구는 파스칼 키냐르의 소설 『신비한 결속』을 근원에 대한 욕망이라는 주제로 분석함으로써 이 소설에서 근원이 어떻게 체험되고 재현되는지를 규명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근원에 대한 욕망은 키냐르의 다양한 작품에서 상실된 욕망의 대상을 찾아 헤매는 인물들을 통해 구체화된다. 이때 키냐르의 근원 개념이 특이한 것은 이것이 단순히 과거의 특정한 한 지점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그러한 과거들이 쌓여 만들어지는 선존적 시간성, 끊임없이 소급되며 포착의 시도를 벗어나는 비언어적 세계를 지칭하기 때문이다. 키냐르에게서 근원은 주로 출생 전 모태 세계의 이미지로 나타난다. 이는 곧 인간이 출생과 함께 근원적 세계로부터 추방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키냐르에게서 근원은 다른 대상으로 대체되지 않는 상실된 세계로 나타난다. 나아가 키냐르적 세계에서 상실의 경험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모든 경험에 필연적으로 발생하며 그에 따라 모든 경험을 가능케 한다는 점에서 보편적이며 근원적이다. 이에 따라 근원은 단순히 모태 세계 혹은 지나가버린 어린 시절의 잃어버린 세계로 환원되는 것이 아니라 모든 경험에 필연적인 상실의 대상으로 확장되어 지각된다.
연구의 I부는 구체적으로 『신비한 결속』에서 상실된 근원이 어떻게 욕망의 대상으로 기능하며 또 어떻게 체험되는지를 살펴본다. 근원을 체험하는 방법으로서 우리는 죽음에 대한 근사 체험을 의미하는 죽음 체험이라는 개념을 이용한다. 인간이 출생과 함께 근원적 세계와 분리된다면 죽음이라는 사건을 통해 인간은 출생의 역방향을 향하여 근원으로 회귀하는 움직임을 보이기 때문이다. 이때 죽음 체험은 인간이 결코 죽지는 않으면서 순간적으로 근원을 체험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 죽음 체험은 특정 장소에서 죽음의 흔적을 발견하고 그 장소로 진입한 이후 근원적 대상과 접촉하여 그 결과로 일련의 육체적∙정신적 변화(황홀경과 변신)를 겪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소설의 중심인물 클레르가 겪는 죽음 체험은 세 가지 단계(동물화, 불안정화, 형상의 포기)를 거치며 심화된다. 이 과정은 죽음 체험이 상실의 감각을 극복함으로써 이뤄지는 것이 아니라 되려 상실된 대상을 포기하지 않는 그 자체로 멜랑콜리한 사냥을 통해 이뤄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때 소설에서 자연은 부재와 충만함이 동시적으로 존재하는 공생적 세계로 그려짐으로써 연이은 상실 속에서도 클레르의 죽음 체험이 이뤄질 수 있는 토대가 되어준다.
클레르의 죽음 체험과 관련하여 주목할 것은 이것이 주변 인물들의 죽음 체험을 유발하며 확장된다는 것이다. 죽음 체험 속에서 클레르는 스스로를 버리고 자신의 외부를 향해 개방되는데, 이때의 개방된 클레르는 그의 주변에 있는 불특정 다수를 향한다. 이 개방성은 죽음 체험 자체의 확장으로 이어져 클레르의 동생 폴과 폴의 연인 장, 클레르가 버린 딸 쥘리에트 등 클레르 주변 인물들의 죽음 체험으로 이어진다.
죽음 체험의 확장성에 대한 주목은 확장의 층위에 대한 물음으로 이어진다. 즉, 클레르의 죽음 체험은 서사 내 허구적 인물들뿐만 아니라 그것을 읽는 독자의 죽음 체험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없을까? 이 질문은 곧 죽음 체험에 대한 언어적 재현의 가능성을 묻는 것과 동일하다. 클레르라는 허구적 인물의 근원에 대한 체험이 독자 자신의 체험을 유발하기 위해서는 그 언어적 재현이 충분히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해야 하기 때문이다.
연구의 II부에서 우리는 죽음 체험과 그것을 서술하는 키냐르의 글쓰기 사이 상동적 관계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리는 모리스 블랑쇼의 목소리 개념을 사용한다. 블랑쇼는 목소리가 순간적으로 나타난다는 점에서 망각과 침묵, 즉 부재의 편, 비언어적인 세계를 드러낸다고 말한다. 소설의 서술은 클레르 주변 인물들의 증언의 형태로 이뤄지므로 소설의 죽음 체험 재현 여부는 이들 증언이 목소리로서의 성격을 획득하는지에 달린다. 소설은 총 5부로 나뉘며 인물들의 증언이 나타나는 3~5부는 그 성격에 따라 다시 세 가지 단계(동화, 파편화, 부재의 형상화)로 구분된다. 이때 우리는 각각의 재현 단계가 죽음 체험의 세 가지 단계와 상동한 양상을 보이며 심화됨에 따라 증언이 점차 목소리가 되어 클레르의 죽음 체험이 드러내는 부재의 세계를 있음의 세계로 환원하지 않고 부재 그 자체로 드러내는 것을 확인하게 된다.
키냐르의 작품 세계에서 『신비한 결속』이 가지는 의의는 이 작품에서 나타나는 관계 양상에서 드러난다. 근원을 체험하는 데에는 언제나 그 관계 대상으로서 타자가 필수적이다. 그러나 동시에 이 관계는 근원적인 것과 결부되어 상실된 것으로 지각되거나 새롭게 구성되어도 그 불안정한 토대를 벗어나지 못한다. 즉, 개별적인 대상과의 관계 형성은 근원 체험에 필수적이지만 키냐르의 작품에서 관계는 보다 포괄적인 세계에 대한 체험 과정으로 의미가 있지 그 자체로서는 쉽게 긍정되지 못한다. 『신비한 결속』의 관계 양상 역시 위의 제시된 틀과 유사하지만 이 소설의 결말은 합일의 황홀경과 분리의 고통 사이에 하나를 택하지 않는다. 클레르는 사랑하는 대상인 시몽을 잃지만 죽음 체험을 통해 시몽의 부재를 충만함으로 감각한다. 소설의 말미에서 클레르 역시 죽어 사라지지만 클레르의 부재 또한 클레르의 주변 인물들과 독자들에게 충만함으로 감각된다. 즉, 『신비한 결속』은 클레르의 죽음 체험 서사와 이를 이야기하는 목소리의 재현을 통해서 관계 자체가 신비해질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줌으로써 키냐르의 세계가 도달할 수 있는 가장 넓은 지평을 보여준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8298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809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