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중부지역 청동기시대 적색마연토기 연구 : A Study on Bronze Age Red Burnished pottery in Central Korea: Focusing on produc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생산, 유통, 소비 양상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부승아

Advisor
김장석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청동기시대중부지역적색마연토기유통망생산소비pXRF네트워크교류산지분석Bronze AgeCentral RegionRed Burnished PotteryPottery DistributionConsumptionProvenance studyRegional diversityNetwork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인문대학 고고미술사학과(고고학전공), 2021.8. 김장석.
Abstract
Red Burnished Pottery(RBP)is an earthenware found throughout the Korean Peninsula in the Bronze Age. Most research on RBP has focused on its origins, and due to its stylistic variety, unlike other Mumun wares, RBP has often been used to establish regional boundaries or develop detailed regional chronologies. While these approaches have focused on particular areas and styles, little attention has been given to the local diversity of RBP and interpreting these local differences. Instead, most scholarship has highlighted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RBP to propose that it was likely used for ritual or other special purposes.
This paper aims to compare several aspects of RBP by region in order to identify differences in produc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systems as well as investigate interaction among local groups. By comparing selected proxy such as the number of stylistic groups and their quantities, their relative frequencies, ubiquity, and associated artifacts, this study aims to examin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nsumption of RBP between regions and sites. The analysis focuses on residential features excavate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Korea Peninsula, which has been divided into the following sub-regions: the Namhangang River basin, the Asanman Bay area, and the upper and middle reaches of the Geumgang River.
Results of the analyses suggest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way RBP was consumed in each area. In the lower Geumgang or Asan Bay area, where large settlement sites appear and the distance between sites is relatively close, RBP was produced and consumed only within sites, and each site appears to have unique systems of distribution and use. On the other hand, although most sites are small and widely dispersed in the Namhangang River basin, RBP was consumed in a similar manner across sites, which suggests the possibility of local connections based on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RBP. However, in the upper reaches of the Geumgang River, it was found that RBP was relatively rare and used only sporadically, unlike the above areas.
A provenance analysis of RBP was conducted using pXRF on samples discovered in the Namhangang River basin, the sub-region that showed the strongest evidence for local networks. Five sites from the Pyeongchang and Yeongwol area, distributed relatively close to each other, were selected for anaylsis. The results of the provenance analysis comparing RBP and Mumun earthenware revealed that whereas Mumun samples were distinguishable between sites, RBP was difficult to distinguish, suggesting the possibility of an RBP distribution network among the sites studied. I propose that there were several short-range distribution networks in the Namhangang River basin. Through this network, RBP was distributed and used in similar ways and likely contributed to the maintenance of a similar material culture across the Namhangang River basin.
Regional differences in the production, consumption, and distribution of RBP were interpreted as relating to the unique social role of RBP in each area. In the Namhangang River basin, where small sites are dispersed over a wide area, RBP played a specific role in mediating between local groups and was used as a risk mitigation strategy. Local networks seem to have been formed and maintained through the informational exchange of RBP style. On the other hand, in the Asan Bay area and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Geumgang River, sites were densely populated and residentially stable, suggesting that there may have been less demand for maintaining regional connections through the distribution of RBP.
By investigating different aspects of social and economic interaction mediated by RBP within and between local groups, this study suggests the possibility that RBP, which had, until now, largely been described as a ceremonial earthenware, held different complex meanings within each region it was used.
한반도 적색마연토기는 청동기시대 전시기에 걸쳐 광범위하게 출토되는 토기로서 그 기원과 계통에 대한 논의가 중점적으로 이루어져왔다. 적색마연토기는 무문토기와 달리 다양한 기형으로 제작되며, 지역에 따라 출토되는 기종의 형식적 차이가 뚜렷히 나타난다는 점에서 지역 집단의 경계를 설정하거나, 세부 편년을 보조하는 핵심적 도구로서 여겨진다. 그러나 이러한 접근은 특정 지역이나 형식에 치중되어 적색마연토기가 보이는 지역적 다양성에 대한 면밀한 비교와 이러한 차이가 의미하는 바에 대해서는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였다. 이에 따라 적색마연토기의 성격에 대해서도 의례용 특수토기라는 논의만이 한정적으로 되풀이되고 있다.
본 고는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적색마연토기의 출토양상을 지역별로 비교하고, 그 차이를 각 지역별 생산, 유통, 소비체계 및 지역 집단 내 교류양상의 차이로 해석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출토양상 중 적색마연토기의 소비와 관련이 있다고 생각되는 출토기종 및 수량, 기종별 출토비율, 출토확률, 공반유물등의 지표를 선정하여 지역별, 그리고 지역 내 유적별로 비교함으로써 지역별 소비양상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후 대상 지역을 선정하여 성분분석을 진행함으로써 그 차이에 반영된 문화상을 좀 더 명확히 해석해보고자 하였다. 분석의 공간적 범위는 중부지역으로 남한강 유역, 아산만 지역, 금강 상류 및 하류역으로 지역권을 세분하였고 주거지 출토품만을 대상으로 했다.
그 결과, 각 지역별로 적색마연토기가 소비되는 방식의 유의미한 차이를 살펴볼 수 있었다. 대형취락이 나타나며 취락 간 거리가 비교적 가까운 아산만 지역과 금강하류역은 지역 내 유적별 출토양상의 편차가 커 적색마연토기가 각 취락 내에서만 자체적으로 생산, 소비되며 취락 간 적색마연토기가 유통된다거나 사용관습의 공유는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은것으로 파악된다. 이와 달리 남한강 유역은 소규모 유적이 분산되어 위치함에도 적색마연토기가 가장 유사한 방식으로 소비되며 유적 간 출토확률의 편차가 적고 넓은 범위에 걸쳐 유사한 양식이 분포하여 적색마연토기와 관련된 지역적 연결망의 존재 가능성을 살펴볼 수 있었다. 그러나 금강 상류의 경우 위의 지역들과 달리 적색마연토기가 매우 한정적으로 사용된 지역으로 파악된다.
출토양상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연구 대상 지역권 중 지역적 네트워크의 존재가능성이 가장 높은 남한강 유역을 대상으로 pXRF를 통해 적색마연토기의 성분분석을 진행하였다. 남한강 유역에서도 비교적 근거리에분 포하는 평창~영월 지역 다섯 유적을 대상으로 적색마연토기와 무문토기 성분을 분석해본 결과, 무문토기는 유적별로 변별이 비교적 잘되는데에 비해 적색마연토기는 상대적으로 변별이 어려워 남한강 유역에 근거리 유통망이 곳곳에 존재했을 가능성을 제시해볼 수 있었다. 이러한 연결망을 통해 적색마연토기가 취락 간 유통되며 남한강유역 내 유사한 물질문화상을 유지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본 고는 앞선 출토양상 분석과 성분분석결과를 종합하여 지역적 교류양상의 차이를 살펴보고, 각 지역별 적색마연토기의 사회적 역할에 대해 고찰해보았다. 넓은 지역에 소규모 유적이 분산되어 위치하는 남한강 유역의 경우 적색마연토기가 지역집단 사이를 매개하는 특정한 역할을 하며 지역적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전략(risk mitigation)으로서 활용되며, 양식의 정보전달적 기능을 통해 이러한 네트워크가 형성, 유지되고 있다고 보인다. 이와 달리 아산만과 금강 중하류역은 인구밀도가 높고 주거적으로 안정된 지역으로 지역적 네트워크의 형성 및 각 지역집단의 영역에 대한 호혜적 공유가 잘 이루어지지 않아 적색마연토기를 통한 범지역적 연결망의 필요성은 적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접근을 통해 주로 의례용 특수 토기로 전제되어왔던 적색마연토기가 각 지역권 내에서 서로 다른 복합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었을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토기의 사용과 관련된 지역 집단 내 사회, 경제적 상호작용의 측면을 살펴볼 수 있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8310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806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