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지식재산권법상 비밀유지명령제도의 민사소송법에의 도입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confidentiality protective order under the Intellectual Property Act into the Civil Procedure Ac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윤나리

Advisor
정상조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디스커버리보호명령뒤셀도르프모델인 카메라문서제출명령비밀유지명령증거수집discoveryprotective orderDusseldorf modelin camera proceedingthe order of submit documentconfidentiality protective orderaccess to evident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법과대학 법학과(지식재산전공), 2021.8. 정상조.
Abstract
In principle, the recognition of facts in civil litigation shall be based on
evidence.
Accordingly, each party shall explore and collect evidence in its own
favor about the disputed facts and present them in the defense. The
court will investigate such evidence and obtain verification and confirm
the facts accordingly. But evidence in one's favor is not always readily
available. It is common for a third party that has no interest or other
party to have conclusive evidence.
In particular, modern lawsuits, such as environmental lawsuits,
manufacturing liability lawsuits, medical malpractice suits, and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lawsuits, have many structural compilation of
evidence and information biased against parties who do not bear
burden of proof. For its correction, one-sided estimation, indirect
rebuttal, conversion of proof responsibilities, exploratory proofs, and the
party's obligation to explain the issue without burden of proof have
been discussed, but these are only a roundabout means to resolve the
structural arrangement of evidence. A more fundamental solution is to
- 103 -
seek direct measures to enable the evidence to emerge in the defense.
The goal of the fact-finding process is to prepare for practical
dialogue and discussion by allowing as much information as possible to
be presented to the mind as a communication litigation theory that
views trials as a process of correction and common perception. In order
to generate a common understanding between the parties and the
courts, information must be abundant. This is also necessary for the
parties to proceed with meaningful debate in earnest.
In this respect, information and evidence should be sufficiently
disclosed in civil litigation.
However, the value of civil litigation - the fairness of litigation and
the discovery of substantive truth - does not overwhelm all other
values.
There are also many values to be kept secret and protected, such as
protecting national interests, maintaining good customs, protecting
inviolable privacy, and protecting other people's important skills or
management secrets.
In particular, these secrets should be carefully protected in advance,
as once the secrecy is extinguished, it can have irreversible
consequenc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ind ways to protect secrets worth
protecting while ensuring sufficient information and evidence emerge in
the course of litigation.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review each country's systems first to
- 104 -
find out the effects and limitations of these systems in the actual
litigation process. And a review of whether these systems can be
applied to our reality is necessary.
The United States is the country that precedes the collection of
information and evidence, and the protection of secrecy in the process.
The U.S. has a protective order system that actively recognizes the
right to collect evidence but recognizes the judge's broad discretion
through the discovery and protective order system, so it can issue
various protective orders depending on specific matters. Among the
protective orders that the judge can issue is to disclose the evidence to
the applicant but impose a confidentiality obligation on him. However,
the U.S. protective order system is not a process for secrecy in
principle, but a system to compensate for the shortcomings of the
discovery system, and we are not introducing the system. In addition,
the protective order system is not a system in which the specific
details of the order are not set, but a system that allows judges to
devise and use orders that they think are appropriate and necessary on
a case-by-case basis, which is not a familiar form for Korean judges.
Germany is implementing the Düsseldorf model after combining the
existing independent evidence investigation procedures and the
disposition system for the right to claim documents. According to the
model, judges can only see the court-selected appraisal report on the
information, rather than the information themselves, and the parties
can only see the appraisal report on the information, not the
information itself, on the premise that the judge's permission is
- 105 -
compromised. Eventually, the Düsseldorf model provides complete
protection for the information itself, but the parties or judges must be
content to obtain only indirect information that can infer the
information without seeing the information itself. Therefore, there is a
limitation that the content of the information itself cannot be used on
essential issues.
Switzerland's in-camera system allows evidence to emerge in the
defense process, but protects the secret of the evidence completely.
The in-camera system refers to a system in which only judges can see
the evidence directly, and Switzerland allows the defense process of
civil lawsuits itself to proceed with in-camera procedures. However, this
clearly violates the parties' right to participate in the investigation. It is
the basic principle of civil litigation that evidence used in litigation
should be limited to the savourings and opportunities of impeachment,
and the right of the party to participate in these procedures is a
fundamental right guaranteed in civil litigation.
Currently, the secret protection system applied to civil litigation
procedures in Korea includes the in-camera system at the submission
order stage, the in-camera system under the Information Disclosure
Claim Act, and the confidentiality protective order system applied in
intellectual property infringement lawsuits.
However, the in-camera procedure in the document submission
command stage results in the judge depriving the document of its
opportunity to present itself as evidence if it is considered an exception
to the document submission obligation when the document is examined
- 106 -
according to the in-camera procedure. Therefore, the parties' right to
collect and certify evidence against the document is seriously infringed.
The damage is not just a violation of the party's procedural authority,
but also a shaking of the basic value of civil litigation as a fair trial
and the ideology of the rule of law that a fair judicial system seeks to
achieve.
Under the Information Disclosure Claims Act, the in-camera system is
applied only to limited cases of information disclosure claims. Using the
above system, only judges can see the evidence in their defense. As a
result, the party's participation is excluded, which not only violates the
procedural right of the party to participate in the investigation of
evidence, but also prevents the judge's self-esteem because there is no
basis for what the judge made the judgment.
On the other hand, the confidentiality protective order system applied
to intellectual property infringement suits cannot completely rule out
the possibility of confidentiality, but it allows the information to be
disclosed to the defense and judges as well.
However, under the current law, this system can only be used in civil
lawsuits, claims for damages, and disposals due to intellectual property
infringement, and there is a limit that even though the obligation to
maintain confidentiality is secured by criminal punishment, there is a
limit.
For now, however, the confidentiality protective orderr system applied
- 107 -
to intellectual property infringement suits is the only system that
protects secrets, if not completely, but allows necessary information or
evidence to be submitted and used smoothly in the defense process.
The risk of trade secrets and privacy infringement and the resulting
difficulty in finding substantial truth are the same in general civil
litigation as well as in lawsuits subject to the Intellectual Property Act.
Therefore, the process of expanding the confidentiality order system
under the Intellectual Property Act to the general system under the
Civil Procedure Act is essential.
민사소송에 있어 사실의 인정은 원칙적으로 증거에 의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각 당사자는 다툼있는 사실관계에 대하여 자신에게 유리한 증거를 스스로 탐색⋅수집하고 이를 변론에 현출한다. 법원은 이렇게 제출된 증거를 조사하여 심증을 얻고 그에 따라 사실관계를 확정하게 된다. 그러나 자신에게 유리한 증거를 언제나 쉽게 수중에 넣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상대방 당사자나 이해관계가 없는 제3자가 결정적인 증거를 소지하고 있는 경우가 흔하다. 특히 환경소송, 제조물책임소송, 의료
과오소송, 지식재산권관련소송 등 현대형 소송의 경우 증명책임을 부담하지 않는 당사자에게 증거와 정보가 편중되어 있는 소위 증거의 구조적 편재현상이 많이 발생되고 있다. 이의 시정을 위해 여러 가지 방안들이 고려되고 있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은 해당 증거가 변론에 현출될 수 있도록 하는 직접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재판을 판사뿐만 아니라 재판의 한 축인 당사자들이 함께 상호 인정하는 사실을 중심으로, 각 개인의 인지적 오류를 시정하여 공통된 인식에
도달하는 과정으로 바라보는, 즉 공정한 절차를 중시하는 의사소통적 소송이론에 따르면 당사자의 절차참여는 소송의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그리고 이 이론에 따르면 사실인정절차의 목표는 가능한 많은 정보가 심리에 현출되도록 하여 실질적 대화와 토론이 가능하도록 심리를 준비하는데 있다. 당사자와 법원 사이의 공통의 이해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정보
의 현출이 풍부해야하기 때문이다. 이는 당사자들이 본격적으로 의미있는 논쟁을 진행하기 위해서도 필요한 작업이다.
그러나 소송의 공정함, 실체진실의 발견이라는 민사소송이 추구하는 가치가 다른 모든 가치를 압도하는 것은 아니다. 국가적 이익의 보호, 선량한 풍속의 유지, 침범할 수 없는 사생활의 보호, 타인의 중요한 기술이나 경영상 비밀의 보호 등 공개되지 않고 비밀로 유지하며 보호되어야 할 가치들도 많다. 특히 이들 비밀들은 한번 비밀성이 소멸되면 돌이킬 수 없는 결과를 가져 올 수 있으므로 미리 조심스레 보호되어야 한다. 따라서 소송과정에서 충분한 정보와 증거가 현출되게 하면서도 보호가
치 있는 비밀들을 보호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그런데 이러한
비밀보호제도는 보호가치 있는 비밀보호 그 자체를 위해서도 필요하지만
분쟁의 해결에 필요한 정보나 증거가 변론과정에 더 원활하게 현출되기
위해서도 필요한 제도이다. 현재 상태에서는 비밀로 보호할 가치가 있으면 이를 공개하지 못하도
록 막거나 아니면 증거로 꼭 공개해야할 필요성이 있으면 비밀보호를 포
기하는 양자택일만 가능하다.
그러나 재판에서는 공개된다 하더라도 재판외에서는 비밀로 유지되게
할 수 있는 제도가 존재한다면 증거로 공개되는 것과 비밀을 보호하는
것 둘 중 하나만 선택하지 않아도 된다. 즉 공개된 증거에 비밀이 포함
되어 있을 경우 그 비밀을 소송수행 목적외의 다른 용도로는 사용될 수
없도록 하는 비밀보호제도가 잘 갖추어져 있다면 오히려 해당 증거를 더
쉽게 공개할 수 있다. 그러나 현행 민사소송법에는 그러한 제도가 없다. 부족하나마 증거수
집기능을 수행하는 문서제출명령제도와 이 과정에서 비밀이 누설될 가능
성을 피하기 위해 도입된 인 카메라절차가 있을 뿐이다. 그러나 문서제
출명령제도상 인 카메라절차는 변론절차 자체가 아닌 문서제출의무 여부
의 판단절차에만 적용된다. 그리고 인 카메라절차 진행결과 해당 문서에
기재되어 있는 사항들이 비밀로 유지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인정되
면 해당 문서는 변론절차에 증거로 제출되지 못한다. 즉 해당 문서를 증
거로 활용할 기회 자체가 박탈된다. 해당 문서에 대한 당사자의 증거수
집권, 증명권을 심각하게 침해하는 것이다.
따라서 현행 문서제출명령제도상 인 카메라절차는 해당 문서의 비밀을
보호하는 데에는 충분한 역할을 하지만 해당 문서가 증거로 활용될 수
- viii -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하지는 못한다. 이로 인한 폐해는 단순히 해당 당사
자의 절차적 권한에 대한 침해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공정한 재판이라는
민사소송의 기본가치 및 나아가 공정한 사법제도가 달성하고자 하는 법
치주의라는 이념까지 흔들리게 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서는 각국의 증거공개 및 비밀유지제도들
을 검토하여 이들 제도들이 실제 소송과정에서 일으키는 효과 및 한계를
비교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들 제도들을 우리의 현실에 적용
할 수 있는지에 대한 검토도 필요하다.
정보 및 증거의 수집, 그 과정에서의 비밀보호에 가장 앞서 있는 나라
는 미국이다. 미국은 디스커버리제도 및 보호명령제도를 통해 가장 활발
하게 당사자의 증거수집권을 인정해 주면서도 한편으로는 판사의 폭넓은
재량을 인정하는 보호명령제도를 두어 비밀유지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구체적 사안에 따라 다양한 보호명령을 발할 수 있다. 이렇게 판사가 내
릴 수 있는 보호명령 중에는 해당 증거를 신청 당사자에게 공개하되 그
에게 비밀유지의무를 부과하는 방안도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미국의 보
호명령제도는 원칙적으로 비밀보호를 위한 절차가 아니라 디스커버리제
도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제도인데 우리는 디스커버리제도를 도입하지
않고 있다. 뿐만 아니라 보호명령제도는 명령의 구체적인 내용이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라 사안별로 판사가 적정하고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명령
을 고안해서 사용하도록 하는 제도인데 이는 우리나라 판사들에게 익숙
한 형태가 아니다.
독일은 기존에 존재하던 독립적 증거조사절차 및 서류열람청구권에 대
한 가처분제도를 결합한 뒤셀도르프모델을 시행하고 있다. 이 모델에 따
르면 판사는 해당 정보를 직접 보는 것이 아니라 해당 정보에 관해 법원
이 선정한 감정인의 감정보고서를 볼 수 있을 뿐이고, 당사자도 판사의
허락이 떨어진다는 전제하에 해당 정보 자체가 아닌 이에 관한 감정보고
서를 볼 수 있을 뿐이다. 결국 뒤셀도르프모델에 의하면 해당 정보 자체
- ix -
는 완벽하게 보호할 수 있지만 당사자나 판사가 해당 정보 자체를 보지
못한 채 해당 정보를 추론할 수 있는 간접적 정보들만을 얻는 것에 만족
해야 한다. 따라서 해당 정보의 내용 자체가 꼭 필요한 사안에는 사용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변론과정에 증거가 현출되도록 하되 해당 증거의 비밀을 완벽히 보호
하는 제도는 스위스의 인 카메라제도이다. 인 카메라제도란 판사만이 해
당 증거를 직접 볼 수 있는 제도를 말하는데 스위스는 민사소송의 변론
절차 자체를 인 카메라절차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명백하게 당사자의 증거조사참여권을 침해하는 것이다. 소송에서 사용되
는 증거는 당사자의 음미, 탄핵의 기회를 거친 것에 한정되어야 한다는
것은 민사소송의 기본원칙이고 이러한 증거조사절차에 당사자가 참여할
수 있는 권리인 당사자의 증거조사참여권은 민사소송절차상 보장되어 있
는 기본적인 권리인데 스위스의 인 카메라제도에 의하면 이 권리가 명백
히 침해되는 것이다. 일본은 우리와 마찬가지로 민사소송법에는 문서제출명령과 관련된 인
카메라절차를 두고 있고, 지식재산권법에는 영업비밀보호를 위한 비밀유
지명령제도를 두고 있다. 우리 역시 일본의 영향을 받아 지식재산권법에 비밀유지명령제도를 두
고 있다. 지식재산권침해소송에 적용되는 비밀유지명령제도는 영업비밀
이 준비서면 또는 증거에 포합되어 있을 경우 이를 소송수행목적 외에는
사용할 수 없도록 법원이 비밀유지의무를 내릴 수 있는 제도이다. 비밀
유지의무를 위반할 경우 형사처벌이 가능하다. 이 제도는 해당 정보가
변론에 현출될 수 있게 해주고 판사뿐만 아니라 당사자 역시도 증거조사
과정에 참여할 수 있게 해주어 당사자의 증거수집권, 증거조사참여권, 증명권이 존중된다. 다만 이 제도는 현행법상으로는 민사소송사건 중 오
로지 지식재산권침해로 인한 금지청구, 손해배상청구, 가처분사건에서만
이용될 수 있을 뿐이고 일반 민사사건에서는 이용될 수 없다는 한계가
- 10 -
존재할 뿐만 아니라 비록 비밀유지의무가 형사벌에 의해 담보되기는 하
지만 비밀누설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이 제도가 비밀을 완벽하진 않더라도 충분하게는
보호하면서도 필요한 정보나 증거가 변론과정에 원활히 제출되고 활용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 유일한 제도이다. 따라서 지식재산권법상의
비밀유지명령제도를 민사소송법상의 일반적인 제도로 도입하는 방안을
진지하게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8324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665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