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지역의 메세지 프레이밍이 학습자의 장소애착감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local message framing on learners self-esteem
도시재생 텍스트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민주

Advisor
류재명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감정지리도시재생메세지프레이밍개인자아존중감집단자아존중감장소애착감Emotional geographyurban regenerationmessage framingindividual self-esteemcollective self-esteemlocal attachmen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사회교육과(지리전공), 2021.8. 류재명.
Abstract
Self-esteem is a key factor in determining a person's self-belief and confidence in life. It plays a major role in a person's attitude and sense of direction, especially during the stages of adolescence. There are several factors that influence self-esteem, some of which are based on the fact that human beings are inherently spatial. For example, a person's residential area or community tends to influence their self-esteem. Consider two key concepts: your degree of self-identity and geography education. Both of these concepts can affect students' self-esteem.
However, while humans understand space subjectively and personally, the space presented in textbooks is objective and rational. Thus, how can we influence the development of a learners self-esteem, and while doing so, also help them to see their living space differently? For this reason, we think educ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and through education, learners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growing their self-identity. At this point, it is important to present a properly framed learning situation to the students. This is because, even if it is the same content, it can convey conflicting positions to learners depending on how the teachers express learning situations and learning materials, which can ultimately affect learners' self-identity.

Social inequality is projected into spatial inequality, and at the same time, our society is trying to inject new power into space through urban regeneration. I am especially interested in urban regeneration because cities are home to nine out of ten people. After rapid industrialization, the regional gaps within cities have become noticeable, and areas where low-income people reside are exposed to poor living conditions due to aging and insufficient infrastructure (Basic Urban Regeneration Policy, 2013).

In line with that, it was assumed that the self-esteem of learners in the classroom would be positively impacted if they focused on the attractiveness of the residential area itself rather than on the social and economic conditions. Therefore, the study specifically examined the extent to which types of message framing affect learners' self-esteem. Message framing is divided into emotional and neutral messages. Emotional messages are divided into messages that express strengths and overcome weaknesses. Accordingly, there are three messages that express advantages, overcome disadvantages, and neutral messages. After exposure to each priming, subsequent surveys measured the learner's changed degree of place attachment and self-respect.

Analysis shows that the advantage expression message framing effect rather than neutral message framing for residential areas affects the learner's place attachment and collective self-esteem formation. At this time,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participation in the proposed message framing, the higher the experimental participants' imaginative immersion, in which case it also affected their collective self-esteem and individual self-esteem.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o learners the importance of looking at residential areas from a beautiful perspective.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leave open the possibility that the effect may be higher for students in relatively underdeveloped areas who are experiencing urban regeneration. We also propose the need for an emotional approach rather than a neutral and rational interpretation of the living space in classroom space.
자기 자신을 가치롭게 여기고 사랑하는 자아존중감은 한 사람의 삶의 태도와 방향을 결정짓는 핵심적 요소이며 특히 청소년기는 자아존중감 정립에 중요한 시기이다. 자아존중감은 여러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지만, 인간은 본질적으로 공간적 존재이기 때문에 거주 지역으로부터 영향 또한 매우 중요하다. 자신이 어떤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가가 자신의 자아정체성 정도에 영향을 준다면 장소와 공간을 핵심 개념으로 다루고 있는 지리교육은 학생들의 자아 존중감 형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만약 인간이 등질적인 지역에 거주한다면 거주 지역이 학습자에게 미치는 자아존중감은 고려 대상이 아니겠지만, 인간이 거주하는 지역은 사회적으로 불평등하다. 이는 필연적으로 공간적 불평등을 야기하고 상대적으로 빈곤한 지역에 사는 학습자들은 잠재적으로 낮은 자아존중감을 느끼게 될 것이다. 학습자들은 지역을 감정의 눈으로 바라보고 있으며 그 감정은 고스란히 학생들의 인지, 정서, 태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특히 거주 공간에 대한 개인의 해석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인간이 공간을 주관적이고 개인적으로 이해하는 데 비해 교과서에 제시된 공간은 객관적이고 이성적이다. 우리는 학습자에게 거주 공간을 어떻게 바라볼 수 있도록 도울 때 학습자의 자아존중감 함양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까? 교육은 학습자에게 다양한 메시지를 통해 자신의 자아정체성을 확립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요구받는다. 이때 학습자에게 적절하게 프레이밍(framing)이 된 학습 상황을 제시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동일한 내용이더라도 교사가 학습 상황과 학습자료를 어떻게 표현하는가에 따라 학습자에게 전혀 다른 의미를 전달 할 수 있고 이는 궁극적으로 학습자의 자아정체성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사회적 불평등은 공간적 불평등으로 투영되고 있지만 동시에 우리 사회는 도시재생을 통해 공간에 새로운 힘을 불어넣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특별히 도시재생에 관심을 둔 까닭은 국민 10명 중 9명이 거주하는 삶의 터전이 바로 도시이기 때문이다. 급속한 산업화 이후 도시 내 지역 격차는 두드러지게 되었고 특별히 저소득층이 주로 거주하는 지역은 노후화, 부족한 기반 시설 등으로 열악한 생활 환경에 노출되기도 하며(도시재생기본방침, 2013) 우리 사회의 중요한 화두가 되고 있다.

그에 발맞추어 교실 안에서 학습자들이 그들이 사는 지역을 사회적, 경제적 비교 대상의 관점이 아니라 거주 지역 자체의 매력에 집중하여 새롭게 해석하는 힘을 키워준다면 학습자의 자아존중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가정하였다. 따라서 연구에서는 메시지 프레이밍(framing)의 유형이 학습자의 거주 지역에 대한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메시지 프레이밍은 감정적 메시지 유형으로 장점발현 메시지 프레이밍과 단점극복 메시지 프레이밍으로 구분하였고 통제 집단으로 중립적 메시지 프레이밍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각각의 프레미잉에 노출된 이후 장소애착감, 개인적 자아존중감, 집단적 자아존중감에 관한 후속 설문을 통해 학습자의 변화된 장소애착감과 자아존중감 정도를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거주 지역에 대한 중립적 메시지 프레이밍보다는 장점발현 메시지 프레이밍 효과가 학습자의 장소애착감과 집단자아존중감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때, 제시된 메시지 프레이밍에 관여도가 높을수록 실험 참가자들의 상상 몰입도는 증가하였으며 이 경우 집단자아존중감과 개인적자아존중감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학습자에게 거주 지역을 물리적 조건에 상관없이 아름다운 관점으로 바라보는 것의 중요성을 제시한다. 특히 도시재생을 겪고 있는 상대적으로 낙후 지역의 학습자들에게는 그 효과가 더 높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열어둘 수 있다. 또한 교실 공간에서 거주 공간에 대한 해석 방향이 중립적이고 이성적이기보다 감정적 접근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8328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848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