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청년층 불안지대의 형성 조건과 과정 : Conditions and processes for the formation of youth Precarious zone : Focusing on the experience of housing precarity
주거 불안 경험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석준기

Advisor
박인권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청년층불안지대불안계급불안정 노동주거 불안정성주거정책YouthPrecariatPrecarious ZonePrecarious laborHousing PrecarityHousing Policy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2021.8. 박인권.
Abstract
본 논문은 불안정 노동에 종사하는 청년들의 주거 경험을 중심으로 청년들의 주거 불안 형성의 조건과 과정에 대해 탐색한 연구이다. 불안정은 생산-재생산의 관계 속에서 일정한 시공간을 형성하며 도시 공간 속 청년들의 삶과 깊이 천착된다고 보았다. 그에 따라 청년들의 주거 경험에 내재한 불안 요소들이 교차, 중첩되는 과정을 살핌으로써 불안이 심화 되는 조건과 과정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동시에 불안을 완화하고 해소할 수 있는 다양한 차원들의 경로를 살핌으로써 청년들의 주거 불안을 폭넓게 인식하고 또 해소할 수 있는 정책적 함의를 찾고자 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들의 주거 불안은 그 주거 공간에서만 기인하는 것이 아니라 노동, 지위와 같은 다차원적 요소들이 함께 작용하며 발현된다.
둘째, 불안의 요소들은 서로 교차하고 중첩되면서 불안을 더욱 심화하고 고착화하는 조건이 되며 이는 도시 공간 내에 일정한 시공간을 형성한다.
셋째, 해당 시공간 속에서 청년들은 불안을 더욱 강하게 경험하며 이는 주거불안을 중심으로 발현된다. 그리고 시공간 내에 장기간 고착되는 현상은 청년 층 내에서 불안에 대한 격차와 불평등을 형성하는 결과로 나타난다.
넷째, 불안을 둘러싸고 경제적, 정책적, 사회적 차원의 요인들이 상호작용을 통해 영향을 미침으로써 청년들은 해당 시공간에 진입·이탈의 과정을 갖는다.
다섯째, 청년들은 불안정성을 경험하며 포기, 순응 그리고 대안을 탐색하는 것으로 대처하였으며, 공통적으로 다양한 1인 가구의 필요성을 통해 단계적으로 삶의 안정성을 찾고자 하였다.

연구결과에 대한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거 정책적 대상을 불안의 측면에서 폭넓게 포섭할 수 있는 다차원적 조건을 제시하였다.
둘째, 지속되는 1인 가구와 그에 따른 다양한 주거 공간의 필요성을 청년의 생애 측면에서 도출하였다는데 그 함의가 있다.
셋째, 주거정책의 계획에 있어 청년들 내부의 격차와 불평등을 함께 고려해야하는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explores the conditions and processes of housing precarity formation among young people, especially focusing on the housing experience of young people engaged in precarious labor. Precarity forms a certain time-spa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ion and reproduction, and is deeply embedded in the lives of young people in urban space. Accordingly, it was intended to understand the conditions and processes under which precarity intensifies by examining the process of crossing and overlapping precarious factors inherent in young people's housing experience. At the same time, it was intended to find a policy implication to recognize and resolve the housing precarious of young people by examining various dimensions that can alleviate and resolve precarity.
The findings above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housing precarity among young people is not only caused by the housing space, but also by multi-dimensional factors such as labor and status. Second, the elements of precarity intersect and overlap with each other, further deepening and fixing precarity, which forms a constant time-space within urban space. Third, young people experience more intense precarity in the space and time, which is centered on residential anxiety. And the long-term fixation within time and space results in the formation of gaps and inequalities in anxiety within the youth. Fourth, young people have a process of entering and leaving the time frame by influencing economic, policy, and social factors through interaction surrounding anxiety. Fifth, young people responded by experiencing instability and exploring abandonment, conformity, and alternatives of housing. They commonly sought to find stability in life step by step through the "need of various single-person households."
The policy implications for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is paper present a multi-dimensional condition in which residential policy targets can be widely embraced in terms of precarity. Second, the implication is that the need for continuous single-person households and various residential spaces was derived from the perspective of youth's life. Third, it suggested the need to consider the gap and inequality within young people in planning housing policie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8341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758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