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초등학생 다문화역량 함양을 위한 체육중심 통합프로그램(GREET U) 실행 : Implementation of integrated sports-oriented programs to fost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tercultural literacy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은희

Advisor
이옥선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다문화역량초등학생 다문화역량다문화체육교육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체육교육과, 2021.8. 이옥선.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un a sports-oriented integration program in elementary schools to foster intercultural literacy, an essential ability to living in a intercultural society, and explore the effects and factors of the program.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set how is the sports-oriented integration program organized and operated for building intercultural literacy? Second, what are the educational effects of sports-oriented integration programs? Third, what are factors that influence the fostering of intercultural literacy?
The study utilize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nd was conducted for 20 months, from January 2020 to August 2021. The study was conducted in an elementary school with an intercultural student ratio of 26.7 percent Of those students, 12 fifth-grade students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in the study.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using open surveys, in-depth interviews, participation observations, field documents, and intercultural capability measure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Creswell (2015)'s spiral data analysis method. In order to enhance the integrity of the research, triangulation, peer debriefing, and member check were utilized and research ethics were observed.
The findings derived from the above research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the sports-oriented integrated program aimed at fostering intercultural literacy was organized and implemented through the following process. The principles for the program was derived as content-level systematic organization and integration, and method-level spontaneity, communication, and repeatability. The name of the program is "GREET U," which means meeting others, greeting them and getting along together. The contents of the program consisted of four projects on self-identity, community awareness, recognition and tolerance, and cultural diversity, which were based on intercultural elements of the curriculum organized by Kang & Jeong(2019). These projects corresponded with health, competition, challenge, and expression among the five areas of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and was finally reembodied as "healthy creators," "we are all MVPs," "golf craft gamers" and "world travelers," respectively. Finally, the study utilized blended learning, physical education class groups, and association with communities to effectively run the program.
Second, students were able to develop their intercultural literacy by participating in this program. Intercultural literacy is the ability to understand, respect,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an open manner in intercultural situations(Chen & Starosta, 2000), which can be seen as an essential aspect to living in a intercultural society. Although the concept and components of intercultural literacy have not been clearly identified, various studies confirmed that intercultural literacy consist of intercultural cognition, intercultural skill, and intercultural attitudes. As the students got to rethink and learn about the grouped concept Me-You-Us, they were able to love and live along with Me-You-Us.
Third, factors that affected students' intercultural literacy included holistic growth through physical activities, cooperative support of friends, teachers, and families, program contents that encouraged students' voluntary participation, and an intercultural environment. First of all, the key factor in this study is the holistic growth through physical activity. Students overcame linguistic limitations and actively participated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using physical language. Also, students were about to enjoy physical education through active exploration of physical activities, and students who used to be left out in class were able to experience teamwork and cooperation through the program. Thus, students achieved holistic growth by participating in this physical activity centered program, which confirms the effect of fostering students intercultural literacy.
The comprehensive discus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is research was able to integrate intercultural literacy through inter-disciplinary integration, focusing on physical education. Therefore, this program has the character of a holistic education that aims to nurture students as human beings with integrated intercultural literacy. Second, the study transferred the initiative of the program to students, addressing the difficulties students face and encouraging active participation. This reveals the characteristics of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which confirms that active participation leads to effective development of intercultural literacy. Third, the potential of physical activities for intercultural education was identified.
Finally, the proposal for field practice is to establish a cooperative system for intercultural physical education by utilizing resources inside and outside the school. Second, it is effective to use humanistic methods to introduce students to the culture contained within sports activities. Third, non-intercultural students and teachers should also learn and build up intercultural literacy not just multicultural students.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find out how the changes in intercultural cognition, attitudes and behavior affect the students in the long term. Second, research is needed to find out how the intercultural literacy is transferred to daily life.
본 연구는 다문화사회를 살아가는 데 필수요소라고 할 수 있는 다문화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체육중심 통합프로그램을 초등학교에서 실행하고 효과 및 요인을 탐색해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 문제는 첫째, 다문화역량 함양을 위한 체육 중심 통합프로그램은 어떻게 구성되고 운영되는가, 둘째, 체육 중심 통합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는 무엇인가, 셋째, 다문화역량 함양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무엇인가로 설정했다.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2020년 1월부터 2021년 8월까지 총 20개월 동안 수행되었다. 그리고 연구는 전체 학생 대비 다문화 학생의 비율이 26.7%에 달하는 초등학교에서 이루어졌으며 연구 참여자는 5학년 학생 12명이었다. 질적 자료는 개방형 설문조사, 심층면담, 참여관찰, 현장문서, 다문화역량 척도를 활용해 수집하였으며 Creswell(2015)의 나선형 자료 분석 방법을 활용해 분석했다. 그리고 연구의 진실성을 높이기 위해 삼각검증법, 동료 협의, 연구 참여자에 의한 연구결과의 평가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연구 윤리를 준수하였다.
이상의 연구 과정을 통해 도출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역량 함양을 목적으로 하는 체육중심 통합프로그램은 다음의 과정을 통해 구성 및 실행되었다. 먼저 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원리로 내용 수준의 체계성, 통합성, 그리고 방법 수준의 자발성, 소통성, 반복성을 도출했다. 이렇게 구성된 프로그램의 이름은 GREET U이며 이는 나와 다른 사람을 만나 반갑게 인사하며 함께 어울리는 모습을 의미한다. 그리고 프로그램의 내용은 강현주와 정세리(2019)가 교육과정에 나타난 다문화 요소를 정리한 자아정체감, 공동체의식, 인정 및 관용, 문화 다양성을 주제로 하는 4개의 프로젝트로 구성되었다. 이는 다시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체육과의 5개의 영역 중 건강, 경쟁, 도전, 표현으로 대응시켰으며 각각 건강한 크리에이터, 우리 모두 MVP, 골프 크래프트 게이머, 세계 여행가로 구체화되었다. 마지막으로 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블렌디드 러닝, 체육 모둠, 지역사회와의 연계하는 방법을 활용하였다.
둘째, 학생들은 본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다문화역량을 함양할 수 있었다. 다문화역량은 다문화 상황에서 개방적인 자세로 서로를 이해하고 존중하며 소통할 수 있는 능력(Chen & Starosta, 2000)으로 다문화 사회를 살아가는 데 필수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다문화역량의 개념과 구성요소에 대해 명확히 밝혀진바는 없지만 이를 연구한 다양한 연구를 분석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역량은 다문화 인지, 다문화 기술, 다문화 태도로 구성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학생들은 나·너·우리를 새롭게 알게 되었고, 나, 너, 우리를 사랑하게 되었으며, 나너우리와 더불어 살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
셋째, 학생들의 다문화역량에 영향을 미친 요인에는 신체활동을 통한 전인적 성장, 친구, 교사, 가족의 협력적 지원, 학생의 자발적 참여를 촉진하는 내용, 다문화에 친화적인 환경이 있었다. 먼저 본 연구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요인은 신체활동을 통한 전인적 성장이다. 학생들은 신체 언어를 사용하는 체육 수업을 통해 언어적 한계를 극복하고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하게 되었다. 그리고 체육을 탐구하며 즐거움을 느꼈고 소외를 경험하던 학생들이 체육 수업을 통해 함께함을 경험하고 협동심을 깨달았다. 이처럼 학생들은 신체활동이 주를 이루를 체육 교과를 중심으로 하는 본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이와 같은 전인적 성장을 이뤘고 이를 통해 다문화역량을 효과적으로 함양하였다는 것을 확인했다.
본 연구결과에 따른 종합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체육 교과를 중심으로 교과 간 통합을 통해 다문화역량을 통합적으로 함양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본 프로그램은 학생들을 다문화역량이 통합적으로 함양된 인간으로 길러내고자 하는 전인교육의 성격을 띤다. 둘째, 본 연구는 학생들에게 프로그램의 주도권을 이양하여 학생들이 겪고 있는 어려움을 해결하고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였다. 이는 참여적 실행연구의 성격을 띄는 것이며 적극적인 참여가 효과적인 다문화역량의 함양으로 연결됨을 확인했다. 셋째, 다문화 교육을 위한 신체활동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현장실천을 위한 제언으로는 학교 내외에 있는 자원을 활용하여 다문화 체육 교육을 위한 협력 체계를 구축해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둘째, 체육활동에 담겨있는 문화에 학생들을 입문시키기 위해서는 인문적 방법을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셋째, 다문화역량을 함양해야 하는 대상에는 다문화 학생만이 아니라 비다문화 학생과 교사가 포함돼야 한다.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본 연구를 통해 이루어진 다문화 인지, 태도, 행동의 변화가 장기적으로 학생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로 나타난 다문화역량이 일상생활로 어떻게 전이되는지 알아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8349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762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