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피리독주곡 '피리를 위한 <흐르고 흘러>' 분석연구 : An Analysis of Piri solo for the Piri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보들샘

Advisor
김경아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피리독주곡김성국창작국악피리 주법흐르고 흘러PirisoloKim seong-gukCreative Korean traditional musicPiri playing techniqueFlow through.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음악대학 음악과, 2021.8. 김경아.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2019년 발표된 김성국 작곡피리를 위한 를 분석연구 하였다. 필자는 작곡가 및 초연자와의 인터뷰, 악곡해설, 악보, 음원을 바탕으로 작곡가의 음악적 배경, 악곡 구조와 선율 분석 그리고 피리 주법을 살펴본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현재까지 발표된 김성국의 피리 작품은 7곡이며, 그는 전통음악을 시대의 요구에 맞게 새로운 음악으로 탄생시키는 것에 주목하여 작품을 풀어낸다. 는 그 중 가장 최근에 발표된 곡으로 시간에 대한 단상을 음악적으로 표현하였으며, 피리의 다양한 음색과 리듬적 역할 수행을 통해 기존 피리 창작곡에서 보지 못했던 피리의 새로운 모습을 곡에 담아내었다.

둘째, 본 곡은 총 272마디의 단악장으로 7번의 빠르기 변화와 8번의 전조가 이루어지며 63번의 박자 변화가 나타난다. 단락은 빠르기에 따라 󰍽-󰍾-󰍿-󰍽ˊ-󰍾ˊ의 5개의 단락으로 나누며 악절은 선율 진행, 중심음 그리고 리듬의 프레이징에 따라 21개의 악절로 나눌 수 있다. 단락󰍽는 지속음을 통한 서정적 선율 진행의 모습을 보이며 피리의 음색 변화가 특징적이다. 단락󰍾는 혼합박을 기반으로한 리듬형의 다양한 변화를 통해 선율을 전개하며 피리가 적극적으로 리듬 역할을 수행한다. 단락󰍿는 cadenza로 급격한 도약, 글리산도, 퇴성 그리고 셈여림 극대화 등 다양한 주법을 기반으로 전개하며 연주자의 해석에 따라 자유롭게 연주한다. 단락󰍽ˊ는 단락󰍽를, 단락󰍾ˊ는 단락󰍾를 발전시킨 형태로 각각 단락󰍽, 단락󰍾와 유사한 형태로 진행한다.

셋째, 출현음과 중심음 그리고 작곡가와의 인터뷰를 통해 본 곡이 전통선법 중 라를 중심으로한 5음음계를 기반으로 작곡되었으며 조성이 아닌 중심음의 변화를 통해 선율을 이끌어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5음음계 외에 다양한 변화음이 등장하며 이를 통해 전통선법 위주의 선율에 긴장감과 생동감을 부여한다.

넷째, 본 곡은 전통 주법부터 서양 주법, 그리고 작곡가가 제시한 주법까지 다양한 피리 주법을 활용한다. 전통 주법은 퇴성과 추성, 타공이 등장하며 서양 주법은 글리산도, 스타카토, 악센트, 꾸밈음이 등장한다. 작곡가가 제시한 주법으로는 피리의 음색을 나타내는 ㊀, sempre, natural, more natural이 등장하는데 이는 기존 피리 창작곡에서 제시되지 않았던 주법으로 피리의 음색을 규격화하고 다양화하는 새로운 시도로써 그 의미가 있다.

이상으로 본 고는 피리독주곡 피리를 위한 분석연구를 통해 음색의 다양화를 통한 피리의 가능성 확장과 선율악기인 피리로 표현할 수 있는 다양한 리듬적 역할 수행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가 피리연주자들에게 작곡가의 의도와 작품구조를 파악하고 악곡을 해석하는 데에 있어 실질적 도움이 되길 바라며 나아가 피리 창작곡 작곡에서의 폭넓고 다양한 시도로 이어지길 기대해본다.
In this study, Kim Sung-guk's compositionFor the Piri released in 2019 was analyzed. Searching the composer's musical background, musical structure and melody analysis, and Piri technique based on interviews with composers and a first-performer, musical explanations, piece, and acoustic sources, this writer drew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Kim Seong-guk's Piri works released so far is 7 pieces and he focuses on creating a new music with traditional ones to meet the needs of the times. is the most recently released song musically expressing the stray thought of time and captures the new aspect of the Piri not seen in the traditional Piri creations through various tones and rhythmic roles of the Piri.

Second, this song is a short movement with total of 272 words working seven rapid changes and eight prelude movements and appearing with 63 beat changes. Passages can be divided into five ones of 󰍽-󰍾-󰍿-󰍽ˊ-󰍾ˊ in line with the speed, and passage can be divided into 21 ones, depending on the progression of the melody, main tone, and rhythm phrasing. The passage 󰍽 shows lyrical melody progression through continuant and is characterized by changes in the Piri tone. The passage 󰍾 develops the melody through various changes in the rhythm type based on the irregular time and the Piri actively performs the rhythm role. The passage 󰍿 is the cadenza developing the piece based on various technique such as rapid leap, glysando, toeseong, and maximization of dynamics, and is freely played in line with the interpretation of the performer. As the passage 󰍽ˊ leads to developing the passage 󰍽 and the Passage 󰍾ˊ to the passage 󰍾, they are developing in the form of the passage 󰍽 and 󰍾 respectively.

Third, through starting pitch and center notes, and interviews with the composer, It was confiremed that the song was composed based on a pentatonic scale centered on Ra among traditional mode and led to the melody through changes in the main tone, not the key. However, a variety of altered notes appear with the pentatonic scale, which presents the tension and vitality to traditional mode melodies.

Fourth, this song utilizes a variety of Piri technique, ranging from the traditional technique to the Western playing technique, and technique suggested by the composer. Traditional technique includes Toeseong, Chuseong, Tagong, while Western technique features glysando, staccato, accents, and grace note. The composer's technique includes ㊀, sempre, natural, and more natural, which is meaningful as a new attempt to standardize and diversify the pipe tone with the technique not presented in the traditional Piri creation.

This is the analysis and study ofFor the Piri . This study confirmed the expansion of the possibility of the Piri through the diversification of tones and the performance of various rhythmic roles expressed with the Piri, a melodic instrument. I hope that this study will be of practical help to the Piri performers in understanding the composer's intentions and structure of work and music interpretation, and that will, by extention, lead to a wide variety of attempts in composing the Piri-creation music.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8391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781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