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학교 무용예술수업에서의 "무용 잘 가르치기" : "Teaching well" in school art dance classes : inquire the meaning and Teaching Artis's qualities
의미 및 무용예술강사 자질 탐색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수영

Advisor
최의창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댄스 리터러시무용예술강사무용 잘 가르치기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체육교육과, 2021.8. 최의창.
Abstract
본 연구는 학교 무용예술수업에서 무용 잘 가르치기의 의미와 방법은 무엇이고, 잘 가르치기의 실행 과정은 어떠하며, 무용을 잘 가르치는 강사가 갖춰야 하는 자질은 무엇인가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 문제는 첫째, 학교 무용예술수업에서 잘 가르치기의 의미와 방법은 무엇인가, 둘째, 학교 무용예술수업에서 잘 가르치기의 실행 과정은 어떠한가, 셋째, 학교 무용예술수업에서 잘 가르치는 강사가 갖추어야 하는 자질은 무엇인가로 설정하였다.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으로 2020년 8월부터 2021년 6월까지 총 11개월 동안 수행되었으며, 연구의 절차는 크게 계획 단계, 자료 수집 및 분석 단계, 결론 단계의 3가지로 진행되었다. 연구 참여자는 총 10명의 학교 무용예술강사로 구성되었으며, 자료수집은 심층면담, 지도안, 반성일지, 사진 및 동영상을 통해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의 경우 Wolcott(1994)가 제시한 기술, 분석, 해석의 단계를 거쳤으며, 구성원 검토 작업, 동료 간 협의, 삼각검증을 통해 연구의 진실성을 확보하고 연구 윤리 규정을 준수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교 무용예술수업에서 잘 가르치기의 의미와 방법은 4가지의 움직임 교수학습방법으로 발견되었다. 무용예술수업의 1) 교육내용은 일상적인 움직임과 구분되는 기술적이며, 예술적인 움직임으로 나타났으며, ① 고정된 움직임, ② 구성된 움직임, ③ 변형된 움직임, ④ 해체된 움직임으로 구성되었다. 그에 따른 2)교수방법은 ① 움직임 전달, ② 움직임 탐색, ③ 움직임 발견, ④ 움직임 성찰로 발견되었다. 둘째, 학교 무용예술수업에서 잘 가르치기의 실행과정은 실행 의도와 실행 양상 그리고 실행 결과로서 다음과 같다. 1) 기능적인 무용교육에서 벗어나 문화예술로서의 무용교육을 실현하기 위해 무용예술강사는 ① 몸의 인식을 신장, ② 자기표현능력 증진, ③ 모든 학생 참여 유도, ④ 삶의 안목 형성을 위해 수업을 실행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의도를 지니고 있었다. 2) 예술강사가 강조하는 수업활동에 따라 ① 상태집중 감각형, ② 문질빈빈표현형, ③ 공감소통어울림형, ④ 만병처방즐김형의 4가지 수업방식이 나타났다. 3) 잘 가르치는 무용예술수업의 실행결과로 강사측면과 학생측면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① 강사들은 문화예술교육으로서 무용을 발견하고, 무용예술수업에 대한 책임감이 형성되었다. 아울러 수업 실행 양상에 따라 ② 학생들은 표면적, 내면적 측면의 변화가 나타나고, 무용향유력이 형성되는 모습이 나타났다. 셋째, 무용예술강사들이 잘 가르치는 무용예술수업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강사자질은 지식, 수행, 성찰, 태도의 4가지 측면으로 구성되었고, 자질을 형성하는 요인에는 촉진 및 저해요인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1)우선 강사자질은 ① 가르치고자 하는 내용에 대해 풍부하게 알고, 가르칠 수 있는 움직임 지도력, ② 진부한 수업에서 벗어나 수업의 내용과 방법을 새롭게 시도해 볼 수 있으며 무용에 대한 안목을 갖추고 있는 예술적 상상력, ③ 수업실행 중간과 후에 반성을 통해서 수업을 개선할 수 있는 지속적 성찰력, ④ 학생과 교감하고, 담임교사와 협력적인 관계를 맺을 수 있는 적극적 소통력으로 나타났다. 2)다음으로 자질 형성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환경적 요인과 개인적 요인 그리고 관계적 요인으로 강사 자질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기도 한 반면 부정적 영향을 끼쳐 수업에 대한 전문성을 저해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른 논의는 다음과 같다. 댄스 리터러시 관점에서 무용 잘 가르치기의 의미는 첫째, 기능 중심의 무용동작을 전달하는 것을 지양하고, 무용에 대한 학생들의 기능, 지식, 태도의 총체적 발달을 위해 하기(Doing), 알기(Knowing), 만들기(Making), 되살피기(Reflecting)의 체험이 총체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잘 가르치기가 이루어지려면 움직임 내용에 따른 적절한 지도방법이 연결되어 이루어져야 한다.
무용예술수업 실행에 따른 댄스 리터러시 함양으로는 첫째, 학생들이 무용을 습득하는 것에서 나아가 성숙하게 무르익도록 하기 위해서 무용예술강사는 수업에 대한 체계화된 전략을 통해 학생들의 성장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의도해야한다. 둘째, 장기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전 생애주기적 무용교육의 환경을 마련하여 학생들의 댄스 리터러시가 깊이 있는 수준으로 발전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잘 가르치는 무용예술강사 자질 및 형성요인으로는 첫째, 무용예술강사의 자질은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직무에 따른 역량중심이 아닌 수업 운영에 필요한 독특한 자질을 지식, 실행, 반성 그리고 태도 중심으로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무용예술강사의 4가지 자질이 균형적이고 계열적으로 질적인 발전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둘째, 무용예술강사의 자질 형성을 위해서는 전문성을 재고할 수 있는 기본 연수가 필수적이며, 예술강사의 자발적 학습공동체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구조적, 환경적, 개인적 요인이 뒷받침 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현장 실천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우선 현장실천을 위한 제언은 첫째, 댄스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교수・학습자료 및 실천 사례를 확보하여 무용예술강사의 교육연수에 활용해야 한다. 둘째, 무용예술강사 간 전문성의 격차를 줄여나가고, 예술강사의 총체적 자질을 지속적으로 고양하기 위해서는 학습공동체가 활성화되어야 한다. 셋째, 우수 무용교사 및 무용교육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해 대학교 내의 무용계열학과의 교육과정 개선이 필요하다. 다음으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첫째, 연구결과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 무용예술강사의 학력을 세밀히 고려하여 동일한 연구가 시행될 필요성이 있다. 둘째, 무용예술수업의 교수학습방법을 면밀히 살필 수 있는 참여관찰을 통한 연구가 실행되어야 한다. 셋째, 무용예술강사 자질 형성을 위한 교육방법에 대한 경험적 연구가 필요하다.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 and methods of teaching well in school arts dance classes, the practice process of teaching well in arts dance classes, and the qualities of teaching well that teaching artist should have.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re first, what is the meaning and method of teaching well in school arts dance classes, second, what is the practice process of teaching well in arts dance classes, third, what are the necessary qualities of teach well.
To address these issues the study used qualitative methods based on the interpretivism paradigm conducting over a course of 11 months from August 2020 to June 2021. 10 teaching artists who teach dance at the school were recruited.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lesson plans, self-reflection journals, pictures and video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on, analysis, and interpretation suggested by Wolcott(1994). To ensure the trustworthiness of the qualitative research, member checks, peer debriefing, and triangulation were used, and the research obtained approval of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IRB).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the meaning and methods of teaching well in arts dance classes was analyzed in four ways. 1) Learning contents of arts dance classes were presented as 'technical' and 'artistic' movements that were distinguished from ordinary movements, consisting of ①fixed movement, ②structured movement, ③modified movement, and ④liberated movement. Accordingly, 2) teaching methods were found to be ①movement transference, ②movement exploration, ③movement discovery, and ④movement reflection. Second, the practice process ofteaching well in arts dance classes is as follows: 1) Teaching artists had specific intentions to conduct classes which was ①to increase body awareness, ②improve self-expression, ③participate all students(encourage participation of all students), and ④develop outlook on life. 2) According to the class activities emphasized by teaching artists, four practice patterns were found: ①'sensitivity type', ②'expression type', ③'harmonizing type', and ④enjoying type. 3) As a result of the practice ofteaching well in art dance classes, ①teaching artists discovered dance as culture and arts education, and took responsibility for the classes. In addition, ②students showed changes in the surface and interior aspects, and formed the ability to enjoy dance in various ways. Third, the qualities required for practicing teach well in arts dance classes consisted of four aspects: knowledge, performance, reflection, andattitude. Also, It was found that there are facilitating factors and inhibiting factors that affect the formation of those qualities. 1) Teaching artists qualities are ①movement instruction which is having abundant knowledge and teaching techniques of the teaching contents, ②artistic imagination that allows new trials of various teaching contents and methods, and having a deeper understanding of dance , ③'continuous reflection' which refers to cycle of reflection during and after class that leads to improvement of class quality, and ④'active communication' which is the ability to sympathize with students and form a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the homeroom teacher. 2) Factors that influenced the formation of teaching artists qualities were environmental factors, personal factors, and relational factors, which affected the quality of teaching artists both positively and negatively.
The discus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in reference to dance literacy, the meaning of teaching well is providing experiences of doing, knowing, making, and reflecting holistically, instead of merely delivering functional-oriented dance movements, for the well-rounded development of students. Also, in order to accomplish the practice of teaching well, an appropriate teaching method must be linked to the contents of the movement. Next, in reference to the cultivation of dance literacy, teaching artists should maximize the growth of students through systematic strategies for the class in order to help students to move forward from acquiring stage to mature stage of dance. Moreover,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lifelong dance education environment so that students dance literacy can continuously develop more in-depth. Lastly, In reference to teaching artists qualities and affecting factors of teaching well, the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ed the unique qualities necessary for class operation was focused on knowledge, performance, reflection, and attitude, and development of these qualities must be well-balanced and systematic. In addition, educational training to reconsider and develop professionalism is essential, and voluntary learning community must be supported by structural, environmental, and personal factors.
The suggestions for field practice and follow up study are as follows: In regard of field practice, first, more teaching-learning materials and practice cases for cultivating dance literacy should be provided and utilized for the teaching-artist educational training. Second, in order to narrow the personal gap in professionalism among teaching artists and enhance the overall quality of teaching artist continuously, a learning community should be actively supported and operated. Third, in order to train competent dance teachers and teaching artis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curriculum of the dance department in universities. Regarding the follow-up research, first, similar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with consideration of the academic background of teaching artist in order to increase the reliability if the research results. Second, research through participatory observation that can closely examine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dance art classes should be carried out. Third, empirical research on educational methods for cultivating the qualities of teaching artist is necessary.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8394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688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